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3회
18 레스토랑의 재개장 연기
Dear Customers, Hello! I’m Julian Opie, the owner of Mexican Stove.
고객 여러분께, 안녕하세요! 저는 ‘Mexican Stove’의 점주인 Julian Opie입니다.
We’ve been renovating since last August to accommodate more customers, and the renovations are now nearly complete.
저희는 더 많은 고객을 수용하기 위해 지난 8월부터 보수 작업을 해 왔고, 그 보수는 이제 거의 완료되었습니다.
Originally, we planned to reopen by October 21st, but we encountered some unexpected electrical issues that will take additional time to resolve.
원래 10월 21일까지 재개장하기로 계획했으나 저희는 해결하는 데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할 몇 가지 예상치 못한 전기적인 문제에 마주쳤습니다.
We now need to delay our reopening by two days.
저희는 이제 재개장을 이틀간 연기해야 하겠습니다.
We sincerely appreciate your patience while we work to welcome you back.
저희가 여러분을 다시 맞이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동안 여러분의 인내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We eagerly look forward to serving you again soon at our newly improved restaurant, featuring an attractive interior, expanded seating, and a spacious open kitchen.
매력적인 실내, 확장된 좌석, 그리고 넓은 개방식 주방을 특징으로 하여 새롭게 개선된 레스토랑에서 다시 여러분을 곧 모시게 되기를 간절히 고대하고 있습니다.
Thank you for your understanding! Sincerely, Julian Opie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Julian Opie 드림
19 뉴욕 지하철을 혼자 타는 도전
A few days after we arrived in the United States from China, my husband started working at a research institute at New York University.
우리가 중국에서 미국에 도착한 며칠 후 남편은 뉴욕대학교 연구소에서 일을 하기 시작했다.
I called him to say I was going to take the subway alone to see him.
나는 그에게 전화를 걸어 혼자 지하철을 타고 그를 만나러 가겠다고 했다.
The New York Metro was complicated, and since I couldn’t speak English very well, I felt a little anxious, but I decided to take the subway anyway.
뉴욕 지하철은 복잡했고 나는 영어를 매우 잘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약간 걱정스러웠지만, 여하튼 지하철을 타기로 결심했다.
I boarded the subway in the direction of New York University.
나는 뉴욕대학교 방향으로 지하철을 탔다.
When I stepped off the subway, I looked around the unfamiliar station.
지하철에서 내렸을 때 낯선 역을 둘러보았다. 갑자기 불안한 생각이 머릿속을 가득 채웠다.
Uneasy thoughts suddenly filled my head. I lingered in the subway station for a long time before I finally realized that I had gotten off one stop early.
한참 동안 그 지하철역에서 서성댄 후에야 나는 마침내 한 정거장 일찍 내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Luckily, I hadn’t left the station.
다행히도 나는 그 역을 떠나지 않았었다.
I reboarded the subway and soon arrived at my destination.
지하철에 재탑승했고 곧 목적지에 도착했다.
When I got off the subway again, I hummed as I happily walked toward the research institute where he worked.
지하철에서 다시 내렸을 때, 나는 그가 일하는 연구소를 향해 즐겁게 걸어가면서 콧노래를 불렀다.
I saw my husband walking toward me, waving his hands to get my attention, and my tension melted away.
나는 남편이 내 주의를 끌고자 손을 흔들며 나를 향해 걸어오고 있는 것을 보았고, 나의 긴장은 차츰 사라졌다.
20 취재원으로 부적절한 지인
Access is something feature reporters need the most, and it can be one of the most difficult things to obtain.
접촉 기회는 특집 기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며, 가장 얻기 어려운 것 중 하나일 수 있다.
Where do you begin to find people affected by home foreclosures or telemarketing scams?
주택 압류나 텔레마케팅 사기를 당한 사람들을 어디에서 찾기 시작하는가?
Chances are, you might know someone — a friend or family member — who has experience with the story you are reporting.
아마도 여러분은 보도하고 있는 기삿거리와 관련된 경험이 있는 친구나 가족과 같은 사람을 알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It is essential that you not use someone you have a relationship with as a source.
여러분과 친분이 있는 사람을 취재원으로 이용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
It would be nearly impossible for you to be unbiased.
여러분이 편견을 갖지 않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If you were interviewing a friend or family member, you might feel obligated to make that person look good, making it impossible for you to act independently without influence.
친구나 가족을 인터뷰하고 있다면, 그 사람을 좋게 보이게 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껴, 여러분은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You also might influence your sources in your questioning, guiding them toward a particular answer because you already know their story or how they will react to certain issues.
또한 그들의 이야기나 그들이 특정 문제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은 질문을 할 때 취재원에게 영향을 미쳐 특정 답변으로 그들을 유도할 수 있다.
Additionally, your friends and family members might try to guess at the answers they think you want to hear in hopes of pleasing you.
게다가 친구나 가족은 여러분을 만족시키고 싶어 여러분이 듣고 싶어 한다고 생각하는 대답을 짐작해 보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21 가축화 개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Domestication can sometimes seem to be taken for granted as a state of affairs the origins of which are now lost in the mists of time, the effects of which will be with us forever.
가축화는 가끔, 그 기원은 이제 매우 오래되어서 잊히고 그 영향은 영원히 우리와 함께할 상황으로서, 당연시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However, this fails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in global historical terms, domestication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on, and in population terms, more than 90 percent of Homo sapiens have lived by hunting and gathering.
그러나 이는 세계사적 측면에서 가축화는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고, 인구 측면에서 90%가 넘는 호모 사피엔스가 수렵과 채집으로 살아왔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This calibration helps to undermine some of the definitions of domesticity as the “natural” (ironically)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ir environment.
이렇게 (관점을) 교정하면, 가축화 상태에 대한 정의 중 일부를 인간과 그들의 환경 사이의 (아이러니하게도) ‘자연스러운’ 관계로 약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By making domesticity the hallmark of humanity, we exclude 90 percent of our ancestors from that category.
가축화 상태를 인류의 특징으로 만듦으로써 우리는 조상의 90%를 그 범주에서 제외하게 된다.
By including only the kinds of domesticatory relationships that are embodied by selective breeding and other features of post-industrial agriculture, we exclude 97 percent of the estimated 80 billion people who have lived.
선택적 교배와 산업화 이후 농업의 그 밖의 다른 특징에 의해 구현된 종류의 가축화 관계만 포함함으로써 우리는 지금까지 살아온 것으로 추정된 800억 명의 사람들 중 97%를 제외하게 된다.
At the symposium that gave rise to this collection, the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scales, priorities and histories of definitions and uses of the term domestication within subdisciplines encouraged each of us to look at the concept with new eyes.
이러한 (생각의) 축적을 낳은 심포지엄에서, 하위 학문 분야 내에서 가축화라는 용어의 정의와 사용에 대한 각기 다른 시간적, 공간적 규모, 우선순위, 그리고 역사가 우리 각자가 이 개념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도록 권장했다.
22 삼림의 총 수확량 개념
The concept of regulating the total quantity produced, or yield, over a period of years applies to whole forests or forest districts, rather than to particular stands which are the concern of silviculture.
수년에 걸쳐 생산된 총량, 즉 수확량 규제의 개념은 삼림 관리의 관심사인 특정 임분(林分)이 아니라 전체 삼림이나 삼림 구역에 적용된다.
In determining the rate at which forests should be exploited, it is designed to counter the free play of short-term market forces, which in many cases would dispose of the assets without replacing them.
삼림이 개발되어야 할 속도를 결정할 때, 그것은 자유롭게 작용하는 단기적인 시장의 힘에 대항하기 위해 설계되는데, 그 힘의 작용은 많은 경우 자산을 대체하는 것 없이 처분할 것이다.
The general aim of regulating the yield is to sustain it over long periods, often expressed as an aim to do so in perpetuity.
수확량 규제의 일반적인 목표는 장기간에 걸쳐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며 흔히 영구적으로 그렇게 하려는 목표로 표현된다.
The concept was originally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the amount of wood a forest can supply is not inexhaustible.
이 개념은 원래 삼림이 공급할 수 있는 목재의 양이 무한하지 않다는 인식에 기반했다.
If a continuous and permanent supply is to be assured, a forest can only be utilized at a rate corresponding to its natural rate of growth.
만약 지속적이고 영구적인 공급을 보장하려면 삼림은 자연적인 성장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만 이용될 수 있다.
The concept was extended in the 1990s to cover all the functions of a forest and the maintenance of its soil, biological diversity, and productivity.
이 개념은 1990년대에 확장되어 삼림의 모든 기능과 그것의 토양, 생물학적 다양성, 그리고 생산성의 지속을 포함하였다.
Its current definition includes elements of time, change, social function and duty, economical and ecological use, economic principles, and ethical obligations.
그것의 현재 정의는 시간, 변화, 사회적 기능 및 의무, 경제적 및 생태적 이용, 경제 원칙, 그리고 윤리적 의무의 요소를 포함한다.
23 타인을 동등하게 대하는 인간의 노력
A form of human-centeredness commonly talked about today is loyalty to all members of our own species.
오늘날 흔히 말하는 인간 중심주의의 한 형태는 우리 종의 모든 구성원에 대한 충성심이다.
Clearly, such loyalty to other human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ethical and political factor.
분명히 다른 인간에 대한 그러한 충성심은 매우 중요한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요소가 되었다.
Among the greatest achievements of humankind have been successful social movements that sought to abolish slavery and racism and to establish both moral and legal rights for individual humans.
인류의 가장 위대한 업적 중에는 노예 제도와 인종 차별을 폐지하고 인간 개개인의 도덕적 권리와 법적 권리 두 가지를 모두 확립하려는 성공적인 사회 운동이 있었다.
In a very real sense, these extraordinary achievements had to be consciously chosen to override the matter-of-fact realities of humans not treating each other as important, let alone as equals.
매우 실제적인 의미에서 이러한 놀라운 업적은 인간이 서로를 동등한 사람으로는커녕 중요하게도 대하지 않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중단시키기 위해 의식적으로 선택되어야만 했다.
The long history of some humans dominating other humans provides evidence that individual humans do not naturally develop a powerful loyalty to all members of their species, but must choose this loyalty.
일부 인간이 다른 인간을 지배하는 오랜 역사는 개개의 인간이 자신의 종의 모든 구성원에 대한 강력한 충성심을 자연적으로 갖게 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충성심을 선택해야만 한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What everyday life realities suggest strongly, then, is that humans consistently develop allegiance only to some humans, such as family members or their local community.
그렇다면 일상생활의 현실이 강력하게 시사하는 것은 인간이 가족 구성원이나 자신의 지역 사회와 같은 일부 인간에게만 일관되게 충성심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This is our biological reality, while the affirmation of the fact that we can, with effort, develop a species-wide loyalty in order to affirm human dignity is a choice and today an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human species.
이것이 우리의 생물학적 현실인 반면, 인간의 존엄성을 확언하기 위해, 노력하면 종 전체에 대한 충성심을 갖게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언하는 것은 하나의 선택이면서 오늘날 인간 종의 중요한 업적이다.
24 미국의 박물관과 정부의 지원
The American museum movement began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when private charitable gift giving, testifying to the spirit of individual initiative, played a large part in the country’s growth.
미국의 박물관 운동은 개인적 솔선수범의 정신을 보여 주는 민간의 자선 기부가 그 나라의 성장에 큰 역할을 했던 19세기 중반에 시작됐다.
Perceived as a public benefit, charitable donation was encouraged under subsequent tax legislation and continues to be a primary source of museum income.
자선 기부는 공공의 이익으로 인식되면서 이후의 조세 입법하에서 장려되었으며 계속해서 박물관 수입의 주요 원천이 되고 있다.
Most museums are thus quasi-public institutions, incorporated along with hospitals, churches, and various educational and service agencies as nonprofit organizations.
이처럼 대부분의 박물관은 병원, 교회,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및 서비스 기관과 함께 비영리 조직으로 설립된 준공공 기관이다.
In principle, they are thus nominally independent of government supervision, unlike their nationalized European counterparts.
원론적으로, 그것들은 따라서 국유화된 유럽의 박물관과는 달리 명목상으로 정부의 감독에서 독립되어 있다.
In this century, however, most nonprofits have received state financial assistance in the form of grants and subsidies, which enable the government to impose restrictions as a condition of receiving aid.
그러나 금세기에 대부분의 비영리 단체는 보조금과 지원금의 형태로 국가의 재정 지원을 받아 왔고 이는 지원을 받는 조건으로 정부가 제약을 부과할 수 있게 한다.
Unable to survive on exclusively private funds, most museums, like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have reluctantly accepted the compromise and lived uneasily with its consequences.
오로지 민간 자금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으므로 대부분의 박물관은 다른 비영리 단체와 마찬가지로 마지못해 타협을 받아들이고 불안 속에 그 결과를 받아들였다.
26 Frank Lloyd Wright의 생애
Frank Lloyd Wright was born on June 8, 1867, in Richland Center, Wisconsin.
Frank Lloyd Wright는 1867년 6월 8일 Wisconsin 주 Richland Center에서 태어났다.
His father was a preacher and a musician and his mother was a teacher from a large Welsh family.
그의 아버지는 목사이자 음악가였고 어머니는 웨일스계 대가족 출신의 교사였다.
Wright enrolled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to study civil engineering.
Wright는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 입학하여 토목 공학을 공부했다.
To pay his tuition, he worked for the dean of the engineering department and assisted the acclaimed architect Joseph Silsbe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Unity Chapel.
자신의 수업료를 마련하기 위해 그 공학과의 학과장 밑에서 일하며 그는 칭송받는 건축가 Joseph Silsbee가 Unity Chapel을 건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The experience convinced Wright that he wanted to become an architect.
그 경험은 Wright에게 그가 건축가가 되고 싶다는 확신을 주었다.
Later, Wright established his own architectural firm and designed the Winslow House in River Forest.
나중에 Wright는 자신의 건축사 사무소를 설립했고 River Forest에 Winslow House를 설계했다.
With its horizontal emphasis and expansive, open interior spaces, the Winslow House is the first example of his revolutionary style, later named “organic architecture.”
수평의 강조와 넓고 개방적인 실내 공간과 함께 Winslow House는 훗날 ‘유기적 건축’으로 명명된 그의 혁신적인 스타일의 첫 번째 사례이다.
Considered the greatest American architect of all time, Wright perfected a distinctly American style of architecture that emphasized simplicity and natural beauty in contrast to the elaborate architecture that had prevailed in Europe.
역대 최고의 미국 건축가로 여겨지는 Wright는 유럽에서 만연해 왔던 복잡한 건축과 대조적으로 단순함과 자연미를 강조하는 뚜렷이 미국적인 건축 양식을 완성했다.
He designed more than 1,000 buildings during his lifetime, nearly one-third of which came during his last decade.
그는 평생 1,000개가 넘는 건물을 설계했고, 그중 거의 3분의 1은 그의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