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3회
36 콜로이드계
One area of materials science where early electron microscopes were able to provide important new insights and understanding was in colloidal systems.
초기 전자 현미경이 중요한 새 통찰과 이해를 제공할 수 있었던 재료 과학의 한 분야는 콜로이드계에 관한 것이었다.
Colloid is a term covering a very wide range of materials.
콜로이드는 매우 광범위한 재료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It is generally applied to describe any two-phase substance where one of the phases consists of tiny particles — typically in the range of 5 to 1,000 nm — spread through a second substance.
그것은 두 가지 상을 가진 어떤 물질이든, 그 두 가지 상 중 하나가 다른 물질을 통하여 분산된 아주 작은, 대개 5~1,000나노미터 범위의 입자로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Perhaps, an easily visualized example of a colloidal system is smoke particles in air.
아마도 콜로이드계의 쉽게 시각화된 사례는 공기 중에 있는 연기 입자이다.
Particles in wood smoke are on average about 500 nm across.
목재 연기 속의 입자는 평균적으로 지름이 대략 500나노미터이다.
As an additional example, “smoke” particles of magnesium oxide formed by burning magnesium metal in air are typically only 100 nm or even less in diameter.
추가 사례로서, 마그네슘 금속을 공기 중에 연소시키면 만들어지는 산화 마그네슘 ‘연기’ 입자는 보통 지름이 단지 100나노미터 혹은 그보다 훨씬 더 작다.
This is much smaller than the range of even the best light microscope.
이것은 심지어 가장 성능이 좋은 광학 현미경 범위보다도 훨씬 더 작다.
The magnesium oxide particles appear as perfect cubes in the electron microscope.
산화 마그네슘 입자는 전자 현미경에서 완벽한 정육면체로 보인다.
Magnesium burns a very bright white and is used as a common constituent of fireworks to add white sparks and improve the overall brilliance.
마그네슘은 아주 밝은 백색을 내면서 타며, 백색 섬광을 더하고 전체적 밝기를 향상하기 위한 폭죽의 공통 성분으로 사용된다.
37 음악에 대한 고대 철학자들의 생각
The concept of leisure is not new.
여가라는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As long ago as the fourth century BC, Aristotle acknowledged that engagement in music — by which he referred to an active and embodied experience of melody, drama, poetry, and dance — as leisure w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life of Athenian citizens.
오래전 기원전 4세기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음악에 여가로 참여하는 것이 ― 그가 말한 음악에의 참여는 노래, 연극, 시, 그리고 춤의 생생하고 구체화된 경험을 가리켰다 ― 아테네 시민들의 생활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인정했다.
He conceived of such artistic experiences as noble uses of leisure time and essential in supporting the private happiness of citizens.
그는 그런 예술적 경험이 여가 시간의 고상한 활용이며 시민들의 개인적인 행복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In contrast, Plato saw music as a means for inculcating the citizen’s moral character, what he called ethos, and he argued for its necessity in a citizen’s education.
대조적으로 플라톤은 음악을 시민의 도덕적 품성, 즉 그가 ‘에토스’라고 부른 것을 가르치는 수단으로 보았고, 시민 교육에서 음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Aristotle took an expanded view, considering music to fulfill four functions, including amusement, making the best use of free time, a moral function (ethos), and purgation, cleansing the soul.
아리스토텔레스는 확대된 관점을 취하여, 음악이 오락, 여가 시간의 최적 활용, 도덕적 기능(‘에토스’), 그리고 정화, 즉 영혼을 청결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 가지 기능을 완수한다고 생각했다.
Music as amusement was seen as a “medicine for the ills of work.”
오락으로서 음악은 ‘노동이 주는 질병을 고치는 약’으로 간주되었다.
Music as “employment of leisure” could contribute to practical wisdom.
‘여가 활용’으로서 음악은 실천적 지혜에 기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Solmsen reminds us, however, that although Aristotle encouraged some practicing of music, he made it clear that “a person of liberal education should not aim at the degree of proficiency attained by professional musicians.”
그러나 Solmsen이 우리에게 상기시키는 바는, 비록 아리스토텔레스가 음악을 어느 정도 연습하는 것을 권장하기는 했지만, ‘교양 교육을 받은 사람은 전문적 음악가들이 도달하는 수준의 능숙함을 목표로 해서는 안 된다’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는 것이다.
38 축구에서 페널티 킥을 하는 방법
Most soccer players run up quite quickly to take a penalty, choosing before they do so which side of the goal to aim at, and kick the ball as hard as possible.
대부분의 축구 선수는 페널티 킥을 하기 위해 꽤 빠르게 도움닫기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전에 골문의 어느 쪽을 겨냥할지를 선택하고, 가능한 한 세게 공을 찬다.
The dis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hat if the goalkeeper guesses correctly which direction to dive, they have a reasonable chance of stopping the shot.
이 방법의 단점은 만약 골키퍼가 어느 방향으로 몸을 날려야 할지 정확하게 추측한다면 그 슛을 막을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점이다.
However, there are a few players in the English Premiership who have developed a rather different penalty-taking technique.
하지만 영국 프리미어 리그에는 다소 다른 페널티 킥 기술을 개발한 선수가 몇 있다.
They run only slowly up to the penalty spot and then take an almost vertical leap into the air in their final stride before landing and aiming the ball almost accurately away from the goalkeeper’s dive.
그들은 페널티 지점까지 그저 천천히 도움닫기 하다가 마지막 걸음에서 거의 수직으로 공중에 뛰어오른 후 착지하면서 골키퍼가 몸을 날리는 방향에서 거의 정확하게 벗어나도록 공을 겨냥한다.
The hard landing produces a strong enhanced pendulum action that helps power the kick, but it does not make their shots more powerful than conventional penalty takers.
강한 착지가 킥을 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강력하고 향상된 진자 운동 동작을 만들어 내지만, 그것이 종래의 페널티 킥을 하는 선수들보다 슛을 더 강력하게 만들지는 않는다.
The advantage is that with a slower, more controlled approach, these strikers can keep their eyes on the goalkeeper for far longer, and only decide which direction to kick the ball after the goalkeeper has started to move.
장점은 이 스트라이커들이 더 느리고 더 통제된 접근법으로 골키퍼를 훨씬 더 오래 주시할 수 있고, 골키퍼가 움직이기 시작한 후에 바로 어느 쪽으로 공을 찰지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technique requires massive skill but can result in success rates of over 90 percent.
그 기술은 엄청난 기량을 요구하지만 90%가 넘는 성공률을 가져올 수 있다.
39 청소년의 우울증
Many parents are very attentive to signs of depression, but they make the mistake of believing that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appears the same as adult depression.
많은 부모가 우울증 징후에 매우 신경을 쓰지만, 그들은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우울증이 성인 우울증과 똑같아 보인다고 믿는 실수를 한다.
Adults who are particularly sad or depressed tend to have sleep disturbances, become withdrawn, lack energy, seem to have a lower capacity to experience pleasure, and often express hopelessness.
특별히 슬프거나 우울한 성인들은 수면 장애를 겪고, 위축되며, 활기가 부족하고, 즐거움을 경험할 능력이 떨어져 보이며, 자주 절망감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This is true of some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nearly half of adolescents who are depressed are irritable instead of withdrawn.
이것은 일부 아동과 청소년에게도 마찬가지이지만, 우울한 청소년들의 거의 절반은 위축되는 대신 짜증을 잘 낸다.
They may have boundless energy and are likely to act out with rage.
그들은 무한한 활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으며 분노를 표출하는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I have taken care of many depressed teenagers whose parents are loving and attentive but missed their child’s depression because it is sometimes difficult for parents to tell a normal teenager from a depressed one.
나는 많은 우울한 십 대들을 치료했는데, 그들의 부모는 애정이 있고 신경을 쓰지만, 부모가 보통의 십 대와 우울한 십 대를 구분하는 것이 때로는 어렵기 때문에 자녀의 우울증을 놓쳤다.
Normal teenagers have phases where they’re irritable at home and have occasional outrageous outbursts.
보통의 십 대들은 가정에서 짜증을 잘 내고 가끔 격한 감정을 표출하는 시기가 있다.
Because parents may have adjusted to this moodiness, they can miss a teen whose rage and irritability are signals of emotional distress or depression.
부모들은 이런 심한 기분 변화에 적응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분노와 짜증이 정서적 고통이나 우울증의 신호인 십 대를 놓칠 수 있다.
This is a critical reason that parents need to feel comfortable turning to a professional for an evaluation.
이것이 부모가 평가를 위해 전문가에게 의존하는 것을 편안하게 느낄 필요가 있는 매우 중요한 이유이다.
40 문화의 속성
Cultures suggest innumerable social worlds that are constantly contradictory and full of tension.
문화는 늘 모순되고 긴장으로 가득한, 셀 수 없이 많은 사회 세계를 시사한다.
When we are looking across cultures, we should never be at all surprised to find their enormous differences.
여러 문화를 ‘두루’ 살펴볼 때 그것들의 엄청난 다양성을 발견해도 절대 조금도 놀라지 말아야 한다.
But this is so also when we look inside specific cultures.
하지만 이는 우리가 특정 문화를 ‘들여다’볼 때도 역시 그러하다.
Cultures do not speak to consensus and uniformity; by their natures, they cannot.
문화는 합의와 획일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그 본질상 그럴 수 없다.
Thus, to speak of cultures as harmonious well-ordered consensual wholes is sheer nonsense.
따라서 문화를 조화롭고 질서 정연한, 합의에 따라 성립된 전체로 말하는 것은 완전히 말도 안 되는 것이다.
Shorthand talk of ‘Muslim culture’, ‘working-class culture’, ‘women’s culture’, or ‘British culture’ is, in truth, to construct a lie.
‘무슬림 문화’, ‘노동 계급 문화’, ‘여성 문화’, 혹은 ‘영국 문화’라는 단순화된 표현은 사실상 거짓말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Immediately sociologists can recognize that human social worlds are stuffed full of ambiguities, contradictions, tensions — never worlds of agreed-upon consensus.
사회학자들은 인간의 사회 세계가 애매모호함, 모순, 갈등으로 가득 차 있으며, 결코 동의가 된 합의의 세계가 아님을 즉시 인지할 수 있다.
Social life as lived by all peoples at all times grows out of these tensions.
모든 시대에 모든 민족이 살아가는 사회적 삶은 이런 긴장으로부터 성장한다.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grasp this because views of cultures which fatten them, homogenize them and turn them into monologic, monolithic and mono-moral overly stable forms are very dangerous to sociological thinking — they foster the stereotypes of much everyday thought.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왜냐하면 문화를 부풀리고, 균질화하며, 단일 목소리, 단일체, 단일 도덕의 지나치게 안정적인 형태로 바꾸는 문화관은 사회학적 사고에 매우 위험하기 때문이며, 즉 그것이 많은 일상적 사고의 고정 관념을 조장하기 때문이다.
→ We should recognize that cultures are inherently conflicting and that the perspectives that deny or suppress this nature can promote stereotypes and inaccurate sociological understanding in everyday life.
우리는 문화가 본질적으로 상충되며, 이러한 본질을 부인하거나 억누르는 시각은 일상생활에서 고정 관념과 부정확한 사회적 이해를 조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41 무의식적인 행동을 정당화하는 설명을 만들어 내려는 본능
Through clever experiments, famed neuroscientist Michael Gazzaniga demonstrated how we instinctively create rational explanations to explain our unconscious behaviors.
유명한 신경 과학자 Michael Gazzaniga는 기발한 실험을 통해, 우리가 본능적으로 우리의 무의식적인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합리적인 설명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보여 주었다.
Gazzaniga worked with patients who had their cerebral hemispheres surgically separated as a treatment for severe epileptic seizures.
Gazzaniga는 심한 간질성 발작에 대한 치료로 대뇌 반구를 수술로 분리한 환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
Surgeons disconnect the side of the brain with language circuitry from the side that carries out simple commands.
외과 의사들은 언어 회로가 있는 뇌의 측면을 단순한 명령을 수행하는 측면으로부터 분리한다.
Through ingenious manipulation of experimental conditions, Gazzaniga was able to give a simple command to one part of the brain without the response part knowing.
실험 조건의 기발한 조작을 통해서 Gazzaniga는 반응하는 부분이 알지 못하게 뇌의 한 부분에 단순한 명령을 내릴 수 있었다.
He found that by giving the command “get up and walk” the patient would do so.
그는 ‘일어나 걸으라’는 명령을 내림으로써 환자가 그렇게 하리라는 것을 발견했다.
But when asked why he was up and where he was going, the subject replied creatively, “I’m thirsty. I thought I’d get a Coke.”
그러나 자신이 왜 일어났는지, 그리고 어디로 가고 있는지 질문을 받으면, 피실험자는 “저는 목이 말라요. 콜라를 가져오려고 생각했어요.”라고 창의적으로 대답했다.
When one hemisphere of the subject’s brain was commanded to laugh, he did.
피실험자의 뇌 한쪽 반구가 웃으라는 명령을 받으면 그는 그렇게 했다.
When asked why he was laughing, he responded, “You guys crack me up,” not “Because you told me to.”
왜 웃고 있냐는 질문을 받으면 그는 “당신들이 나에게 그렇게 하라고 말했기 때문이에요.”가 아니라, “당신들이 나를 몹시 웃기잖아요.”라고 대답했다.
After repeated trials, Gazzaniga concluded that many of our explanations about our behaviors are actually driven by the behavior itself.
되풀이된 시도 후에 Gazzaniga는 우리 행동에 대한 우리 자신의 설명 중 많은 부분이 실제로 행동 그 자체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고 결론지었다.
He believes that all of us do all sorts of things for reasons outside conscious awareness and that one of the main jobs of consciousness is to keep our lives tied together in an understandable and consistent package.
그는 우리 모두가 의식적인 인식 밖의 이유로 온갖 종류의 일을 하며, 의식이 가진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우리의 삶을 이해하기 쉽고 일관성 있는 하나의 패키지로 함께 묶이도록 유지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We do this by generating explanations that best fit our self-image.
우리는 우리의 자아상에 가장 잘 맞는 설명을 만들어 냄으로써 이런 일을 한다.
We instinctively invent reasons to explain our behavior, but remain unaware that these are creations because they fit seamlessly into a self-sustaining self-image.
우리는 본능적으로 우리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이유를 만들어 내지만, 이것들이 스스로 지속되는 자아상에 완벽히 들어맞기 때문에 만들어 낸 것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상태로 계속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