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Week1 6강
7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Conflict is at the very heart of people-work, especially for professionals such as social workers, police and probation officers, who are often required to balance individual rights and freedoms against risks and harm to others. The very act of undertaking a risk assessment on an individual or family carries with it the likelihood of decisions being taken with which some of the people ① involved may violently disagree. To remove a child ‘at risk’ from a family to a place of safety, or ② to insist that someone in mental distress go into hospital for treatment, is to be involved in conflict. Within a multi-disciplinary hospital team, there could also be conflicting approaches to how to work most ③ effectively with, or treat, a particular individual or family. Most people-workers and healthcare workers can also give examples of times when they have had to deal with angry, distressed or disappointed people ④ whose response has often provoked high levels of conflict. To develop appropriate communication skills for dealing with conflict ⑤ being, therefore, essential.
probation: 보호 관찰
{소재}
사람을 다루는 업무의 핵심에 있는 갈등
{해석}
갈등은 사람을 다루는 일의 바로 핵심에 있는데, 특히 사회복지사, 경찰, 보호 관찰관과 같은 전문가들에게 그러하며, 이들은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타인에게 가해질 위험과 피해에 견주어 보도록 요구받는 경우가 많다. 개인이나 가정에 대한 위험 평가를 맡는 바로 그 행위가 관련된 사람들 중 일부가 격렬하게 다툴 수도 있는 결정이 내려질 가능성을 수반한다. ‘위험에 처한’ 아이를 가족으로부터 분리하여 안전한 곳으로 보내거나 정신적 고 통을 겪고 있는 누군가가 치료를 위해 입원하도록 주장하는 것은 갈등에 연루되는 것이다. 여러 전문 분야로 구성된 병원 팀 내에 서, 특정 개인이나 가정과 가장 효과적으로 일하거나 (그들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서로 충돌하는 접근법이 있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사람을 다루는 업무 종사자와 의료 종사자들은 또한, 화가 나 있거나 고통스러워하거나 실망한, 그리하여 그들의 반응이 많은 경우 높은 수준의 갈등을 유발한 사람들을 다루어야 했던 때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갈등을 다루기 위한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답/모범답안]
5
8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Drinking bypasses lots of our natural food control system. Just think how easy it is to drink a large glass of apple juice, yet you wouldn’t sit down and eat eight apples in one sitting — after the second one, the control system would step in and say you have had enough. The whole apple contains fibre, which slows the release of the apple’s sugar and, in doing so, balances the effect of eating it on our energy. Without the fibre in the juice, the sugar sends us on a rollercoaster of energy cycles, starting with a boost and ending in a crash. The crash may be just at the point when you are asked to stand up and present your ideas or you need to kick off that tricky task on your to-do list. It’s just not worth it. Sugary caffeine drinks have a similar, if not more profound, effect, yet large coffee shop chains take great delight in selling us expensive, iced or cream-topped drinks that are equivalent to an extra meal, but will simply not register as one — starting a blood sugar crash cycle all over again.
bypass: 무시하다
equivalent to: ~에 상당하는
① essential roles of sugar in human physiology
② common myths about how fruits help our health
③ the impact of drinking sugary beverages on our body
④ understanding the factors helping nutrient absorption
⑤ how to balance the energy we take in and the energy we burn
{소재}
당분 음료 섭취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해석}
마시는 것은 우리의 많은 타고난 음식 통제 시스템을 무시한다. 큰 잔으로 사과 주스 한 잔을 마시는 것이 얼마나 쉬운지를 한번 생각해 보라. 하지만 자리에 앉아 한 자리에서 사과 여덟 개를 먹지는 않을 것인데, 두 번째 사과를 먹고 난 후 통제 시스템이 개입하여 여러분이 충분히 먹었다고 말할 것이다. 통째로 된 사과는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것은 사과의 당분이 방출되는 것을 늦추고, 그렇게 하면서 그것을 먹는 것이 우리의 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에 균형을 잡아준다. 주스에는 섬유질이 없기 때문에, 당분이 우리를 에너지 사이클의 롤러코스터에 태워 보내는데, 급상승으로 시작하여 결국 급강하로 끝난다. 이 급강하는 여러분이 일어나서 아이디어를 발표하도록 요청받거나 할 일 목록에 있는 그 까다로운 작업을 시작해야 하는 바로 그 시점에 발생할 수도 있다. 그것은 정말 그럴 만한 가치가 없다. 당분이 든 카페인 음료도 더 심하지는 않더라도 비슷한 영향을 미치지만, 대형 커피숍 체인들은 추가적인 한 끼에 상당하는데도 전혀 그런 인상을 주지 않아 혈당 급강하 사이클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비싸고 얼음을 넣거나 크 을 얹은 음료를 우리에게 파는 데에서 커다란 즐거움을 얻는다.
[정답/모범답안]
3
9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re are a lot of ways for an ad to go wrong. But its odds for success are increased by starting out with a smart, focused strategy. With such focus, the ad is able to deliver its singular message on the many levels in which advertising communicates. It bores down to make its point rather than making a big mess of itself. The chance for the reader to “get it” increases tremendously. The flip side is that an unfocused strategy leads to ads that must deliver many different points all at the same time. This is not effective. Here’s an analogy: Try throwing a dozen balls at someone all at once. It’s impossible to catch a single one. In fact, the impulse is to give up, shield your face, and try not to get hurt. Absolute chaos. But throw a single ball directly at the target and chances are, he or she will make the catch. That’s the difference between an ineffective ad with a fuzzy strategy and an effective ad with a focused strategy.
flip side: 이면
analogy: 비유, 유추
fuzzy: 모호한
① Navigating Responsibility in Advertising
② Ad Fusion: Blending Creativity with Data
③ Building Brand Loyalty Through Smart Ads
④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 Through Ads
⑤ Importance of Crafting Focused Advertising Strategies
{소재}
모호한 전략을 가진 광고와 집중된 전략을 가진 광고의 차이점
{해석}
광고가 잘못될 수 있는 방법은 많다. 그러나 광고의 성공 가능성은 똑똑하고 집중된 전략으로 시작함으로써 높아진다. 이러한 집중과 함께 광고는 광고가 소통하는 많은 수준에서 두드러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광고는 스스로를 크게 엉망으로 만들기보다는 파고 들어가 그것의 목적을 달성한다. 독자가 ‘그것을 이해’할 기회가 엄청나게 증가한다. 이면에는 집중되지 않은 전략은 많은 서로 다른 요점을 모두 동시에 전달해야 하는 광고로 이어진다는 것이 있다. 이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비유하자면 이렇다. 열두 개의 공을 한꺼번에 전부 어떤 사람에게 던져 보라. 단 한 개의 공을 잡는 것도 불가능하다. 사실 포기하고, 얼굴을 가리며, 다치지 않으려 애쓰는 충동이 일어난다. 완전한 혼란 상태이다. 하지만 단 한 개의 공을 목표하는 대상을 향해 똑바로 던지면, 아마 도 그 사람은 잡을 것이다. 그것이 모호한 전략을 가진 효과적이지 못한 광고와 집중된 전략을 가진 효과적인 광고의 차이점이다.
[정답/모범답안]
5
1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We are all able to think of words which have changed their meanings, or ① acquired additional meanings, in our own lifetimes, such as the changes in the use of words like chip, grass, joint and hardware. This demonstrates how words are mere labels for constructs of meanings. If these constructs have a different make-up from one person to another, the transitiv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② is not going to be complete or accurate. For those who are learning English as an additional language, apprehension of English forms and structures, and their meanings may pose difficulties, or even may be tinged with aspects of meaning from the characteristics ③ owned by the native tongue. Gradually, with full fluency and the commerce of using the language, commonality of understanding will be ④ generally achieved. However, it is important for those teaching children at early stages of the acquisition of English in our schools ⑤ attend to building the understanding of meanings behind the labels of the words and phrases being taught.
transitivity: 이행, 전이, 전달
tinge: 가미하다
{소재}
영어를 부가적인 언어로 배우는 사람들을 교육할 때 유의점
{해석}
우리는 모두 chip, grass, joint 및 hardware와 같은 단어 사용에서의 변화와 같이, 우리 자신의 일생동안 의미를 바꾸거나 추가적인 의미를 얻은 단어를 떠올릴 수 있다. 이것은 어떻게 단어가 의미 구성체를 위한 단순한 표시에 불과한지를 보여 준다. 만약 이러한 구성체가 사람마다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다면, 그들 사이 의사소통의 이행은 완전하거나 정확하지 않을 것이다. 영어를 부가적인 언어로 배우는 사람들에게, 영어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한 이해가 어려움을 야기할 수도 있고, 혹은 심지어 모국어가 가진 특성에서 오는 의미의 양상들로 가미될 수도 있다. 점진적으로, 완전한 유창성과 그 언어 사용의 교류를 통해 이해의 공통성이 대체로 달성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 학교에서 영어 습득의 초기 단계에 있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들이 가르치고 있는 단어와 어구의 표시 이면에 있는 의미에 대한 이해를 구축하는 것을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모범답안]
5
11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Many of us are prone to wanting instant gratification: constantly buying new clothes to be ‘trendy’, wanting the latest thing to ‘keep up’ or seeking immediate results or pleasure. Even though choosing something now may feel good in the moment, taking a longer-term view and developing self-discipline can result in bigger and better rewards in the future. ① Delayed gratification is our ability to resist these temptations of instant pleasure, allowing us to stay focused on our long-term goals. ② It’s important to have a big-picture goal, but it’s the significant short-term goals that get you to the end result. ③ It involves budgeting and spending mindfully, as well as developing discipline and patience to avoid impulse spending and decision making. ④ Think about instant vs delayed gratification when you are developing your own financial goals. ⑤ Consider whether your goals are focused on short-term gains or designed to look forward to a bigger picture.
gratification: 만족
{소재}
지연된 만족
{해석}
우리 중 많은 사람은 즉각적인 만족을 원하는 경향이 있다. 즉 ‘유행을 따르기’ 위해 끊임없이 새 옷을 사거나, ‘유행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최신 제품을 원하거나 즉각적인 결과나 즐거움을 추구한다. 비록 지금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당장에는 기분이 좋을지 모르지만, 더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자제심을 발달시키는 것이 미래에 더 크고 더 나은 보상을 가져다줄 수 있다. 지연된 만족이란 이러한 즉각적인 즐거움의 유혹을 견디는 우리의 능력으로서, 우리가 장기적인 목표에 계속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큰 그림의 목표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지만, 여러분이 최종 결과에 도달하게 하는 것은 바로 중요한 단기적인 목표이다.) 그것은 충동 소비와 의사 결정을 피하기 위한 절제력과 인내심을 갖기 시작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중하게 예산을 세워서 소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러분이 자기 자신의 재정적 목표를 수립하고 있을 때 즉각적인 만족을 지연된 만족과 비교하여 생각해 보라. 여러분의 목표가 단기적인 이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 아니면 더 큰 그림을 기대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를 생각하라.
[정답/모범답안]
2
12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Uncertainty about what tool or procedure to use, and the risk that results are not what they appear to be, are problems common to all the scientific disciplines.
(A) Waffling is annoying when you are trying to make decisions on the basis of the scientific information that comes your way. However, if a new technique is the source of the uncertainty, time and future experiments will confirm or disconfirm its usefulness and clear up uncertainty.
(B) The development of new tools allows scientists to answer questions they could not answer in the past, and the answers to those questions will lead to new questions, and so on. Therefore, new technologies and procedures are crucial to the progress of science.
(C) At the same time, other scientists unfamiliar with a new tool may express skepticism and call for others to replicate the experiments. Because this skepticism often comes to us in the form of sound bites, and because uncertainty about experimental tools is an aspect of science that is not familiar to most people, even people with a bachelor’s degree in science, the skepticism may seem like waffling.
waffle: (결정을 못 내리고) 미적거리다
skepticism: 회의적인 태도, 회의론
sound bites: 짧고 기억에 남기 쉬운 한두 문장으로 요약된 말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소재}
새로운 기술과 절차의 불확실성에 대한 과학자들의 태도
{해석}
어떤 도구나 절차를 사용할지에 대한 불확실성과 결과가 보이는 대로가 아닐 위험은 모든 과학 분야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이다.
(B) 새로운 도구의 개발은 과학자들이 과거에는 답할 수 없었던 질문에 답할 수 있게 해 주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새로운 질문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런 식으로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과 절차는 과학의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C) 동시에 새로운 도구에 익숙하지 않은 다른 과학자들은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다른 사람들에게 실험을 정확하게 똑같이 반복해 볼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의적인 태도는 자주 짧고 기억에 남기 쉬운 한두 문장으로 요약된 말의 형태로 우리에게 오고, 실험 도구에 대한 불확실성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심지어는 과학 학사 학위를 가진 사람에게조차도 익숙하지 않은 과학의 한 측면이기 때문에, 회의적인 태도가 미적거리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A) 여러분에게 오는 과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결정을 내리려고 할 때 미적거리는 것은 짜증스럽다. 그러나 새로운 기법이 그 불확실성의 근원이라면, 시간과 향후 실험을 통해 그것의 유용성을 확인하거나 그것의 부당성을 증명하여 불확실성을 제거할 것이다.
[정답/모범답안]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