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7강 (2)

영어독해연습 7강 7~12번 (Week 4)

7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When our brains encounter something unfamiliar or potentially dangerous, we quickly shift to fight-or-flight response, in which all of our mental (and sometimes physical) energy is devoted to ① addressing the perceived threat. Researchers at Harvard Medical School have done extensive research into this response and found that when ② faced with information that feels unknown or threatening, our brains send out a distress signal to the rest of the body through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hich controls such involuntary body functions as breathing, blood pressure, heartbeat, and the dilation or constriction of key blood vessels and small airways.” These physical responses can be uncomfortable or even ③ painful, but more importantly they then trigger emotions that end up guiding our decision-making. We all know what it’s like to shake our heads and think, “I’d be so much smarter than that,” while watching the main character in a horror movie ④ makes a bafflingly terrible decision in the face of extreme danger. Chances are, however, we wouldn’t be smarter. In fight-or-flight mode, the part of our brain that takes over is only horror-movie-level smart, ⑤ which isn’t very smart at all.

dilation: 확장(증)
constriction: 수축(증)
bafflingly: 당황스럽게

{소재}
투쟁 혹은 도피 반응과 의사 결정

{해석}
우리의 뇌가 낯설거나 잠재적으로 위험한 것을 접하게 되면, 우리는 신속히 ‘투쟁 혹은 도피 반응’으로 전환하는데, 그 경우 우리의 모든 정신적 (때로는 신체적) 에너지를 인식된 위협을 다루는 데 쏟는다. 하버드 의학전문대학의 연구자들은 이 반응에 대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낯설거나 위협적으로 느껴지는 정보에 직면하게 되는 경우 우리의 뇌가 자율 신경계를 통해 신체의 나머지 부분에 위험 신호를 보내는 것을 발견했는데, ‘그것(자율 신경계)은 호흡, 혈압, 심장 박동 그리고 주요 혈관과 작은 기도의 확장 또는 수축과 같은 그런 불수의(不隨意)적인 신체 기능을 제어한다.’ 이러한 신체 반응들은 불편하거나 심지어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것들이 그러고 나서 결국 우리의 의사 결정을 이끌어내는 감정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공포 영화의 주인공이 극도의 위험에 직면하여 당황스럽게 끔찍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보는 동안, ‘나라면 저것보다는 훨씬 더 똑똑할텐데’라고 머리를 흔들며 생각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다. 그러나 아마도 우리가 더 똑똑하지는 않을 것이다. 투쟁 혹은 도피 모드에서, 우세해지는 우리의 뇌 부분은 공포 영화 수준으로 똑똑할 뿐인데, 이는 전혀 똑똑한 것이 아니다.

[정답/모범답안]
4

8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today’s digitally dynamic landscape, consumer behavior and experience play crucial roles in shaping the success of businesses across industries.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revolutionized the way companies understand, analyze, and respond to consumer needs. Through the amalgamation of advanced algorithms, machine learning, and data analytics, AI offers a profound opportunity to delve deeper into consumer behaviors, providing invaluable insights that facilitate personalized experiences and foster long-term relationships.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 lies at the heart of any successful business strategy. AI, with its ability to process vast amounts of data in real time, allow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sumer preferences, habits, and tendencies. By analyzing past behaviors and interactions, AI identifies patterns that might escape traditional analysis, enabling businesses to anticipate future needs and tailor offerings accordingly. Whether it’s predicting purchase patterns, understanding browsing behaviors, or understanding sentiment through social media interactions, AI-driven insights empower businesses to fine-tune their strategies for maximum impact.

amalgamation: 융합, 합병
delve into: ~을 철저하게 조사하다
sentiment: 감정, 정서

① challenges and constraints in applying AI-driven analytics
② ways of meeting the evolving demands of social media users
③ the need for ethical regulations surrounding the use of AI in businesses
④ the overestimated importance of data in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⑤ the critical role of AI in enhancing consumer understanding and driving profitability

{소재}
인공 지능을 통한 소비자 행동 이해와 그 효과

{해석}
오늘날 디지털 방식의 역동적인 환경에서 소비자 행동과 경험은 산업 전반에 걸쳐 기업의 성공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공 지능(AI)의 출현은 기업이 소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대응하는 방식에 혁신을 일으켰다. 고급 알고리즘, 기계 학습, 그리고 데이터 분석의 융합을 통해 AI는 소비자 행동을 더 깊이 철저하게 조사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를 제공하여, 개인화된 경험을 촉진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조성하는 매우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모든 성공적인 기업 전략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소비자의 선호도, 습관, 그리고 경향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과거의 행동과 상호 작용을 분석함으로써 AI는 전통적인 분석을 벗어날 수도 있는 패턴을 알아내어 기업이 미래의 요구를 예측하고 상품을 그에 따라서 맞추어 만들 수 있게 한다. 구매 패턴 예측이든, (온라인) 가게 안의 물건들을 둘러보는 행동의 이해든, 혹은 소셜 미디어 상호 작용을 통한 감정의 이해든 간에, AI 기반의 통찰력은 기업이 최대 효과를 내기 위해 자신의 전략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정답/모범답안]
5

9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e of the key constraints on the development of sports tourism prior to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e lack of suitable transport. There were incremental improvements from the fifteenth century onwards involving more comfortable coaches 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greatly improved roads, at least in Britain if not everywhere in Europe. But transport was primarily slow and costly. For example, the journey time from London to Bath in 1680, a distance of 107 miles, was around sixty hours. Vastly improved roads had cut this time to ten hours by 1800 but the time and cost still meant that only the wealthy in society could travel substantial distances. It was not until the development of the railway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at a relatively cheap and efficient form of transport was afforded to the population at large, enabling sports tourism to develop beyond the small and exclusive upper class activity that had existed hitherto. As Wray Vamplew points out, the railways ‘revolutionized sport in England by widening the catchment area for spectators and by enabling participants to compete nationally’.

incremental: 점진적인
hitherto: 그때까지
spectator: 관중

① Regional Differences in Early Sports Tourism Practices
② Transport Breakthroughs: Decreasing the Cost of Traveling
③ The Influence of Local Rivalries on the Actions of Sports Fans
④ How Transport Advances Brought Change to Sports Tourism in England
⑤ Shift from Expensive Upper-class Travel Options to More Affordable Ones

{소재}
철도의 발달과 스포츠 관광의 발전

{해석}
19세기 이전의 스포츠 관광 발전에 대한 주요한 제약 중 하나는 적절한 교통수단의 부족이었다. 15세기부터 계속하여, 더 편안한 마차와, 그리고 18세기에는, 유럽 전역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영국에서만큼은 대폭적으로 개선된 도로를 포함한 점진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교통은 주로 느리고 많은 비용이 들었다. 예를 들어, 1680년에 107마일의 거리인 런던에서 바스까지의 여행 시간은 약 60시간이었다. 크게 개선된 도로로 1800년까지 이 시간은 10시간으로 줄었지만, 그 시간과 비용은 여전히 사회의 부유한 사람들만이 상당한 거리를 여행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 19세기에 철도의 발달이 있고 나서야 비로소 비교적 저렴하고 효율적인 형태의 교통수단이 일반 대중에게 제공되어 그때까지 존재했던 소규모의 상류층 전용의 활동을 넘어 스포츠 관광이 성장할 수 있었다. Wray Vamplew가 지적한 것처럼 철도는 ‘관중의 이동 가능 거리를 넓히고 참가자들이 전국적으로 경쟁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영국의 스포츠에 대변혁을 일으켰다.’

[정답/모범답안]
4

1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Cambridge biologist William Hamilton studied the social behaviour of ants and wondered to himself not only why they often sacrificed ① themselves for their nestmates, but also how it was that sterile worker ants might have arisen, given these females don’t breed but rather leave this to the queen. Hamilton solved this problem when he realised ② that, due to their particular method of breeding, these sterile worker ants share 75 per cent of their genes with their sisters. Hamilton then began to consider a ‘gene’s eye view’ of natural selection, and immediately realised such non-queen worker ants could actually pass on a larger proportion of their genes indirectly by, instead of breeding themselves, ③ helped to raise their younger sisters. For each sister raised, they are passing on 75 per cent of their genes rather than the 50 per cent that would be ④ passed on via normal sexual reproduction. To Hamilton, ant colonies should really be perceived as a form of extended family ⑤ where the genetic interests of all are served by the apparent altruistic behaviour of some.

sterile: 불임의
altruistic: 이타적인

{소재}
불임 일개미가 생겨난 이유

{해석}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생물학자 William Hamilton은 개미의 사회적 행동을 연구하면서, 개미가 왜 자주 서식처 동료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지 뿐만 아니라, 암컷 일개미가 번식하지 않고 오히려 이 일을 여왕개미에게 맡기는 것을 고려할 때, 불임 일개미가 대체 어떻게 생겨날 수 있었는지도 궁금해하였다. Hamilton은 특정 번식 방법으로 인해 이러한 불임 일개미가 자신의 유전자의 75퍼센트를 자매들과 공유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런 다음 Hamilton은 자연 선택의 ‘유전자적 관점’을 고려하기 시작했고, 그러한 여왕개미가 아닌 일개미는 직접 번식하는 대신 자신의 더 어린 자매들을 키우는 것을 도움으로써 실제로 더 많은 비율의 자신의 유전자를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즉시 깨달았다. 자매 한 마리를 키울 때마다, 그것은 정상적인 유성생식(有性生殖)으로 전달될 50퍼센트 대신 자신의 유전자의 75퍼센트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Hamilton이 보기에, 사실상 개미 군체는 일부의 이타적으로 보이는 행동을 통해 전체의 유전적 이익이 충족되는 확대 가족의 한 형태로 인식되어야 한다.

[정답/모범답안]
3

11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The most common justification for a move to autonomous vehicles could well be called the argument from safety: the implementation of driving automation systems will reduce the risk of death or injury from automobile accidents. ① The basic premise seems reasonable enough: humans behind the wheel can be unreliable and, all too often, distracted, tired, or otherwise affected. ② This fallibility of human drivers no doubt contributes to a rate of injury and fatality that, in other contexts, would be considered a public health crisis. ③ Driving automation systems, by contrast, are supposed to be more reliable and, depending on the overall prevalence of autonomous vehicles and of the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m, may be able to coordinate with other vehicles to avoid accidents and other problems. ④ Despite the promise of safety, ethical concerns also arise regarding the use of autonomous vehicles, resulting in increased protests against their use. ⑤ On these premises, and assuming the new technology functions as advertised, it only makes sense to replace an unstable and unreliable human control system for something demonstrably better.

autonomous: 자율 주행의, 자율의
premise: 전제
fallibility: 불완전성

{소재}
자율 주행차로의 전환

{해석}
자율 주행차로의 전환에 대한 가장 흔한 명분은 어쩌면 안전에서 나온 주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즉 운전 자동화 시스템의 시행은 자동차 사고로 인한 사망 또는 부상의 위험을 줄일 것이다. 그 기본 전제는 충분히 합리적인 것 같은데, 운전석에 있는 인간은 신뢰할 수 없으며, 너무 자주 산만해지거나, 피곤하거나, 혹 은 (그 외의) 다른 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인간 운전자의 이 러한 불완전성이 다른 상황에서는 공중 보건 위기로 간주될 수 있는 부상 및 사망률의 원인이 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에 반해, 운전 자동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더 신뢰할 수 있다고 여겨지므로 자율 주행차와 이를 지원하는 기본적 시설의 전반적인 보급에 따라 다른 차량과 협력하여 사고 및 그 밖의 문제를 피 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전에 대한 전망에도 불구하고, 자율 주행차 사용에 대한 윤리적 우려도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그것의 사용에 대한 반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그리고 그 새로운 기술이 광고된 대로 작동한다고 가정하면, 불안정하고 신뢰할 수 없는 인간 통제 시스템을 명백히 더 나은 것으로 대체하는 것이 오로지 타당하다.

[정답/모범답안]
4

12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Most students can provide numerous examples of common sense, such as never putting a fork into an electrical outlet, not sticking your tongue on a pole covered with ice or placing your hands in boiling water, avoiding looking directly into the sun, and not attempting to attend a state dinner at the White House without an invitation.

(A) Experience teaches us to act routinely in most social situations. Before long, such expectations come to be viewed as common sense.

(B) And yet, none of these examples of common sense represents knowledge that we were born with; instead, we have learned all these things.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emphasizes that knowledge is gained through trial and error, experience, and the influences of others in the social environment.

(C) However, because each of us has unique social experiences, we come to view common sense differently — we see it from our unique perspective. Thus, if one has not been exposed to a particular behavior — labeled by some as commonsense knowledge — one is not capable of acting in an obvious, or routine, manner.

outlet: 콘센트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소재}
학습된 사회적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상식

{해석}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많은 상식의 예시들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기 콘센트에 포크를 꽂지 않기, 얼음으로 덮인 기둥에 혀를 대지 않거나 끓는 물에 손을 넣지 않기, 태양을 직접 바라보는 것을 피하기, 그리고 초대 없이 백악관에서 열리는 국빈 초대 만찬회에 참석을 시도하지 않기와 같은 것이다. (B) 그러나 상식에 대한 이 예시들 중 어느 것도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지식에 해당하지 않는데, 대신, 우리는 이 모든 것을 배워 왔다. 사회학적 관점은 지식이 시행착오, 경험, 그리고 사회적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의 영향을 통해 얻어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A) 경험은 우리가 대부분의 사회적 상황에서 관례적으로 행동하도록 가르친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러한 기대는 상식으로 여겨지게 된다. (C) 그러나 우리 각자가 고유한 사회적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우리는 상식을 다르게 바라보게 되는데, 즉 우리는 자신의 고유한 관점에서 그것을 본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어떤 사람들에 의해 상식적 지식이라고 불리는 특정 행동을 경험하게 되지 않으면, 그 사람은 명백한, 즉 일상적인 방식으로 행동할 수 없다.

[정답/모범답안]
2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1강 (2)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5강(2)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