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1회
26 러시아 동시 작가 Korney Chukovsky의 생애
Korney Chukovsky was born in St. Petersburg to a young peasant woman and her Jewish husband.
Korney Chukovsky는 St. Petersburg에서 젊은 소작농 여성과 그녀의 유대인 남편 사이에서 태어났다.
Korney Chukovsky began his career as a journalist in Odessa, where he and his mother moved while he was still in school.
Korney Chukovsky 는 아직 재학 중일 때 어머니와 함께 Odessa로 이주하여 거기서 기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He served as a foreign correspondent in London from 1903 to 1905, having taught himself English.
그는 영어를 독학으로 익힌 뒤 1903년부터 1905년까지 런던에서 외신 특파원으로 근무했다.
Upon his return to Russia, he immersed himself in the literary scene, translating Walt Whitman and other Anglophone poets, as well as writing lively and penetrating essays on the leading Russian writers of the day, including the poet Aleksandr Blok, who was a personal friend.
러시아로 돌아오자마자 그는 문학계에 몰두하며 Walt Whitman과 다른 영어를 말하는 시인들의 작품을 번역했고,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친구이기도 했던 시인 Aleksandr Blok을 포함해 당대 주요 러시아 작가들에 대해 생생하고 통찰력 있는 글을 집필했다.
Between 1907 and 1913, the young Chukovsky flourished as a writer and intellectual.
1907년부터 1913년 사이에, 젊은 Chukovsky는 작가이자 지식인으로서 활약했다.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Chukovsky remained in the Soviet Union and concentrated on translation and children’s poetry, for which he is now best remembered.
러시아 혁명 이후 Chukovsky는 소비에트 연방에 남아 번역과 동시 창작에 전념했으며, 이것으로 그는 오늘날 가장 잘 기억되고 있다.
In 1962 he received an honorary doctorate from Oxford University.
1962년에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29 정보 시각화의 발전
There are several fields of expertise found in the intersection of graphic design and science that are about visualizing complex information.
그래픽 디자인과 과학이 만나는 교차점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정보를 시각화하는 것에 관한 여러 전문적 기술 분야가 존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field is to make information accessible.
이 분야의 주요 목적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There is a direct line from diagramming to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design.
도해화에서 정보 시각화와 디자인까지 직선으로 이어진다.
Diagrams are as old as advanced human culture.
도해는 고도로 발전된 인간 문화만큼 오래된 것이다.
One could say we draw diagrams with our hands when gesturing.
우리가 손짓을 할 때 손으로 도해를 그린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However, diagrams developed to visualize ever more complex issues.
그러나 도해는 훨씬 더 복잡한 문제를 시각화하기 위해 발전했다.
Florence Nightingale was an early user of diagrams to communicate statistics.
Florence Nightingale은 통계를 전달하기 위해 일찍이 도해를 사용한 사람이었다.
Her diagrams are an excellent example of how quantitative data is made accessible with visualization to trigger action and change.
그녀의 도해는 시각화를 통해 정량적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행동과 변화를 유발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훌륭한 예이다.
In our times, it developed into a universe of advanced diagrams described by, for example, Tufte.
우리 시대에는 그것이 예컨대 Tufte에 의해 설명된 고급 도해의 영역으로 발전했다.
With the rise of the computer information, visualization crystallized in several streams, one based on graphic design and the other driven by scientific visualization.
컴퓨터 정보가 등장하면서 시각화는 몇 개의 흐름으로 구체화되었는데, 하나는 그래픽 디자인에 기반한 흐름이고 다른 하나는 과학적 시각화에 이끌리는 흐름이다.
Rich quantitative information that before was impossible to interpret was now visualized in a way that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patterns and phenomena in the data.
이전에는 해석이 불가능했던 방대한 정량적 정보가 이제는 그 데이터 내의 패턴과 현상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방식으로 시각화되었다.
Information visualization is developing its aesthetics and as a craft and, one might say, an art form.
정보 시각화는 자체의 미학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일종의 공예이자 예술 형식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30 윤리학의 성격
Ethics is about our thinking process.
윤리학은 우리의 ‘사고 과정’에 관한 것이다.
The experience of learning about ethics can be frustrating for students who expect to walk out of class armed with clear-cut answers for how to deal with different types of problems.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명쾌한 해답으로 무장한 채 수업을 마치고 나오기를 기대하는 학생들에게는 윤리학에 대해 배우는 경험이 불만스러울 수 있다.
But in fact, such direct answers are rare in ethics.
하지만 사실 그런 직접적인 답은 윤리학에서는 드물다.
Instead, ethics is concerned with asking the right questions.
대신에 윤리학은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The focus is on the quality of the deliberative process and not on the outcome.
초점은 결과에 있는 것이 아닌 ‘깊이 생각하는 과정’의 질에 있다.
This can be discomforting because so much of Western culture is goal oriented.
이것은 마음이 불편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서구 문화의 매우 많은 부분이 목표 지향적이기 때문이다.
We care deeply about good performance, about results, about the bottom line — often with only passing interest in how we achieve those goals or what we do to attain “success.”
우리는 좋은 성과에 대해, 결과에 대해, 최종 결산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지만, 그 목표를 어떻게 달성하는지나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하는지에는 흔히 일시적인 관심만이 있다.
But expecting ethics to provide the necessary “correct” answers usually just leads to moralizing — making broad, often unsubstantiated claims about a course of action that some will accept as reflecting their moral beliefs and others won’t.
그러나 윤리학이 필요한 ‘올바른’ 답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대개 ‘도덕적으로 설명하기’로 이어질 뿐인데, 이는 어떤 사람은 자신이 가진 도덕적 신념을 반영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것이고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을 행동 방침에 대해 광범위하고 흔히 근거 없는 주장을 하는 것이다.
Most ethical dilemmas don’t present any fully acceptable solutions and instead offer several options that are unsatisfactory in some way.
대부분의 윤리적 딜레마는 어떤 완전히 수용 가능한 해결책도 제시하지 않으며, 대신 어떤 면에서는 불만족스러운 몇 가지 선택안을 제시한다.
The trick is to figure out which one is most justifiable as you see it and which embodies key values.
요령은 어떤 것이 여러분이 보기에 가장 정당하고 어떤 것이 핵심 가치를 구현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31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의 의미
If you go to the store to buy a gallon of milk, you probably think of milk as the product, and in many ways, it is.
우유 1갤런을 사러 가게에 가면, 아마 우유를 제품이라고 생각할 텐데, 여러 면에서 우유는 그러하다.
But if the producer of that milk thought as you did, they would expect you to show up at a spigot with a jug you could fill with milk.
하지만 그 우유의 생산자가 여러분처럼 생각한다면, 그는 여러분이 우유를 채울 수 있는 주전자를 들고 수도꼭지에 나타나기를 기대할 것이다.
But, in fact, that gallon of milk, the bottle it comes in, the labeling on the bottle, the placement of the bottle on the shelf, the expiration date, the additives or lack thereof, the preservatives or lack thereof, and even the care of the cows from which the milk comes are all part of the product.
하지만 사실 그 우유 1갤런, 우유가 담긴 병, 병에 붙여진 라벨, 진열대에 놓인 병의 배치, 유통 기한, 그것의 첨가물 유무, 그것의 방부제 유무, 심지어 우유가 생산되는 소의 관리까지 모두 제품의 일부이다.
Consumers may say they want (or need) milk but providing a spigot that delivers milk does not actually satisfy most consumers, because what they really want is milk that is convenient to get from store to home.
소비자는 우유를 원한다고 (또는 필요하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우유가 나오는 수도꼭지를 제공하는 것은 실제로 대부분의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매장에서 집까지 편리하게 가져갈 수 있는 우유이기 때문이다.
All the other pieces of the product such as labeling, expiration, and even ingredients also speak to the details of what consumers of the milk truly want.
라벨, 유통 기한, 심지어 성분과 같은 제품의 다른 모든 부분도 우유를 사는 사람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의 세부 사항을 말해 준다.
In this example, we refer to milk as the core product, but not the entire product.
이 사례에서 우리는 우유를 핵심 제품이라고 지칭하지만, 전체 제품이라고는 안 한다.
32 DMN의 기능과 예술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is one neural network.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는 하나의 신경 네트워크이다.
It is located in both the prefrontal and parietal lobes in the brain.
그것은 뇌의 전두엽과 두정엽 둘 다에 있다.
This network of interconnected brain regions is active when you are not focused on the outside world but rather focused internally.
이 상호 연결된 뇌 부위의 네트워크는 여러분이 외부 세계에 집중하지 않고 오히려 내적으로 집중할 때 활성화된다.
It is who you are when untouched by stimuli.
그것은 자극에 영향을 받지 않을 때 여러분의 모습이다.
This is the place where memories, a collection of events and knowledge about yourself, are housed.
이곳은 여러분 자신에 관한 사건과 지식의 모음인 기억이 저장되는 곳이다.
It’s known to be the home of mind wandering, dreams, and daydreaming.
그것은 딴생각, 꿈, 그리고 공상의 본거지로 알려져 있다.
It helps you optimize what you need to remember, and what you need to forget.
그것은 기억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과 잊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최적화하도록 돕는다.
It aids in envisioning your future.
그것은 미래를 구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
It’s a catalyst for wondering, and it’s also the place where you think about things that don’t have an explicit goal.
그것은 호기심을 갖게 하는 촉매제이며, 또한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들에 대해 생각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When you’re making art, how you choose to express yourself comes in part from this network.
여러분이 예술을 창작하고 있을 때 자신을 표현하기로 선택하는 방식은 부분적으로 이 네트워크에서 나온다.
The DMN is a filter for what you think is beautiful or not beautiful, memorable or not, meaningful or not, and it’s what helps to make the arts and aesthetics a very personal experience for each of us.
DMN은 여러분이 아름답다고 혹은 아름답지 않다고, 기억할 만하다고 혹은 그렇지 않다고, 의미가 있다고 혹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을 위한 필터이며, 예술 작품과 미학이 우리 각자에게 아주 개인적인 경험이 되도록 만드는 것을 돕는 존재이다.
33 급진적 설계와 도덕적 가치관
Though there can be great advantages attached to radical designing, there are also often new kinds of risks that arise.
급진적 설계와 결부된 큰 장점이 있을 수 있지만, 새로운 종류의 위험도 자주 발생한다.
One such example is the introduction of the jet engine.
한 가지 그러한 예는 제트 엔진의 도입이다.
Not very long after the jet engine had been introduced to the world of civil aviation, two such aeroplanes — with the rather unfortunate name Havilland Comet — crashed.
제트 엔진이 민간 항공 업계에 도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Havilland Comet이라는 다소 불운한 이름의 그러한(제트 엔진을 가진) 두 대의 비행기가 추락했다.
The problem did not so much reside in the engines themselves as in the fact that jet-powered planes flew at much higher altitudes than previous aircraft had done.
문제는 엔진 자체에 있다기보다 제트 동력 비행기가 이전 항공기가 그래 왔던 것보다 훨씬 더 높은 고도에서 비행했다는 사실에 있었다.
This meant that cabins had to be pressurised to make flying comfortable for the passengers.
이는 승객에게 비행이 편안해질 수 있도록 객실에 압력이 가해져야 함을 의미했다.
As a result, some points of the fuselage were subjected to greater stresses than before.
그 결과 동체의 일부 지점이 이전보다 더 큰 변형력을 받았다.
That, in turn, led to metal fatigue and ultimately to disaster.
이는 결국 금속 피로를 유발했고 궁극적으로 재앙으로 이어졌다.
What this proves is that existing frameworks designed to safeguard certain moral values — in this case safety — cannot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radical designs.
이것은 특정한 도덕적 가치관, 이 경우에는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기존의 틀이 급진적 설계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한다.
When choosing between normal and radical designs there are also, therefore, moral considerations alongside the technical considerations.
따라서 보통의 설계와 급진적 설계 사이에서 선택할 때는 기술적인 고려 사항과 더불어 도덕적인 고려 사항이 또한 있다.
34 극단적인 수준의 운동
Contrary to predictions of a U-shaped curve between exercise dose and mortality, there is little solid evidence that extreme levels of exercise are either harmful or additionally healthy.
운동량과 사망률 사이에 U자형 곡선이 있을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극단적인 수준의 운동이 해롭거나 추가적으로 건강에 이롭다는 확실한 증거는 거의 없다.
A number of studies have found that elite athletes, especially those who do endurance sports, live longer and require less medical care than nonathletes.
많은 연구에 따르면 엘리트 운동선수들, 특히 지구력 운동을 하는 선수들이 비운동선수들보다 더 오래 살고 의료 관리를 덜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case you are worried that athletes might have better genes than the rest of us, thus protecting them from the rigors of extreme exercise, a study that followed nearly 22,000 ordinary nonathletes for fifteen years found that the highest dose exercisers did not have higher or lower rates of death including by heart disease than those who exercised moderately.
혹시 운동선수들이 나머지 일반인보다 더 나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서 극한 운동의 가혹함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했을지도 모른다고 우려할 경우, 약 22,000명의 일반 비운동선수들을 15년 동안 추적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운동량이 최고조인 사람이 적당히 운동하는 사람보다 심장병에 의한 것을 포함하여 사망률이 더 높거나 더 낮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n even larger analysis of more than 600,000 individuals found that extremists who exercised more than ten times the standard recommended dose of 150 minutes per week did not have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death than those who exercised between five and ten times the standard dose.
6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훨씬 더 대규모 분석에서는, 주당 150분이라는 표준 권장량의 10배가 넘게 운동한 극단적인 사람이 표준량의 5~10배를 운동한 사람에 비해 사망률이 상당히 더 높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5 면역 체계와 비자연적 환경 요인
A mighty immune cell trying to support a cell that is unhealthy and threatened from its mitochondrial dysfunction is made completely ineffective.
건강하지 않고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로 위협받는 세포를 지원하려는 강력한 면역 세포는 완전히 무력해진다.
The immune cell cannot halt the damaging factors and the lack of resources resulting from the unnatural environment of our modern industrial world.
면역 세포는 현대 산업 세계의 자연법칙에 어긋나는 환경으로 인한 손상 요인과 자원 부족을 막을 수 없다.
An immune cell can’t stop you from drinking a soda, filter your water, turn off the stress-inducing notifications on your phone, prevent you from eating hormone-disrupting pesticides and microplastics, or get you to go to sleep earlier.
면역 세포는 여러분이 탄산음료를 마시는 것을 막거나, 물을 걸러 내거나, 휴대 전화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알림을 끄거나, 호르몬을 방해하는 살충제와 미세 플라스틱을 먹는 것을 예방하거나, 더 일찍 잠들게 할 수 없다.
So the immune cell will use the tools at its disposal: it will recruit more immune cells, send out more inflammatory signals, and just keep fighting until things resolve.
따라서 면역 세포는 도구를 마음대로 사용할 것인데, 더 많은 면역 세포를 모집하고, 더 많은 염증 신호를 보내고, 상황이 해결될 때까지 그저 계속 싸울 것이다.
But the problems don’t resolve, because the damaging environmental inputs never resolve.
그러나 해로운 환경적 투입은 절대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This is the root of chronic inflammation.
이것이 만성 염증의 근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