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2회
29 시대에 따라 변화된 과학의 정의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ainstream view, science is a collection of certified truths.
전통적인 주류 견해에 따르면, 과학은 증명된 진리의 모음이다.
For Aristotle, the premises of scientific syllogisms are necessary truths.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과학적 삼단 논법의 전제는 필연적인 진리이다.
The medieval conception of science was static: scientia is the possession and contemplation of knowledge, and its method is needed to organize the already established truths for the purpose of teaching.
중세의 과학 개념은 정적이었다. 즉 ‘scientia’란 지식의 소유와 사색이며, 그 방법(과학적 방법)이 이미 확립된 진리를 가르침을 목적으로 체계화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다.
However, after the Scientific Revolution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Francis Bacon and René Descartes advocated the dynamic view that the aim of science is to find new truths by inquiry.
하지만 17세기 초 과학 혁명 이후, Francis Bacon과 René Descartes는 과학의 목표가 탐구를 통해 ‘새로운’ 진리를 찾는 것이라는 동적인 견해를 옹호했다.
After this shift in the aims of science, it became relevant to raise the conceptual problem about scientific progress: what is meant by progress in science?
과학의 목표에서의 이러한 변화 이후에, 과학의 진보에 대한 개념적 질문, 곧 ‘과학에서 진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는 것이 유의미해졌다.
Both the empiricist Bacon and the rationalist Descartes adhered to the requirement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completely certain to be true — at least after the employment of right inductive or deductive methods — and hence they answered the conceptual problem by asserting that scientific progress is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경험론자 Bacon과 합리론자 Descartes 모두 과학적 지식은, 적어도 올바른 귀납적 혹은 연역적 방법론이 적용된 후에는, 완전히 확실하게 참이어야 한다는 요건을 고수했으며, 따라서 그들은 과학의 진보는 ‘지식의 축적’이라고 주장함으로써 그 개념적 질문에 답했다.
30 현시대에 부적합한 System 1 메커니즘
The brain has been described by social psychologists Susan Fiske and Shelly Taylor as a “cognitive miser,” responding in energy-efficient ways to the vast amount of information received.
사회 심리학자 Susan Fiske와 Shelly Taylor는 뇌를 수용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에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대응하는 ‘인지적 구두쇠’로 설명하였다.
As a result, humans often take mental shortcuts, thinking as quickly and simply as possible.
그 결과, 인간은 흔히 사고의 지름길을 취하여 가능한 한 빠르고 단순하게 생각한다.
These processes have evolutionary origins, and lightning-quick decisions were useful in escaping predators in the ancestral environment of the savanna, enhancing survival.
이 과정들은 진화적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번개같이 빠른 결정은 조상들의 사바나 환경에서 포식자로부터 도망치는 데 유용하여, 생존을 높였다.
Fast, frugal, automatic responses continue to help preserve cognitive energy, and no one would want to spend time carefully deliberating all the decisions required in a single day.
빠른 저비용의 자동 반응은 인지 에너지의 보존에 계속 도움이 되며, 그 누구도 하루에 필요한 모든 결정에 대해 신중하게 숙고하며 시간을 보내고 싶지 않을 것이다.
But the “System 1” mechanism — a term coined by social psychologist Daniel Kahneman for the more primitive part of the brain that reacts quickly, making swift intuitive decisions, drawing on experience and emotion — is greatly inadequate for the complexities of modern living, especially in understanding science or making socio-scientific decisions.
그러나 사회 심리학자 Daniel Kahneman이 빠르게 반응하여, 경험과 감정에 의존해 신속하고 직관적인 결정을 내리는 뇌의 더 원시적인 부분을 위해 만든 용어인 ‘시스템 1’ 메커니즘은 현대 생활의 복잡성, 특히 과학을 이해하거나 사회 과학적 결정을 내리는 데에는 대단히 부적절하다.
Quick judgments drive individuals to choices that may feel intuitively and emotionally right but are often quite wrong, and they can lead to stereotypes and prejudicial thinking.
빠른 판단은 개인을 직관적으로 그리고 감정적으로는 옳다고 느낄 수도 있으나 자주 매우 잘못된 선택으로 몰아붙이고, 고정 관념과 편파적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31 새로운 지식 수용을 막는 부정적 감정
Many of us have seen the phenomenon of adults in online social groups who shut down or even “unfriend” those who bring up controversial topics, probably because they do not want to experience strong negative emotions in their social experiences.
우리 중 많은 사람이 논란이 많은 주제를 꺼내는 사람을 차단하거나 심지어 ‘친구 명단에서 삭제하는’ 어른들의 현상을 온라인 사회 집단에서 본 적이 있는데, 이는 아마도 그들이 사회적 경험에서 강한 부정적인 감정을 겪고 싶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The same can happen if you are researching a science topic online.
온라인에서 과학 주제에 대해 조사하고 있는 경우에도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
These strong emotions can lead to what psychologists call “foreclosure,” shutting down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prematurely before one has the information needed to make an evidence-based decision.
이러한 강한 감정은 심리학자들이 ‘조기 종결’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증거에 기반한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갖기도 전에 비판적 사고 과정을 조급하게 중단하는 것이다.
For example, many individuals are avoiding specific foods based more on fads than on true medical risk factors.
예를 들어, 많은 사람이 실제 의학적 위험 요인보다 일시적 유행에 더 기반하여 특정 음식을 피하고 있다.
A small percentage of people cannot tolerate gluten, yet gluten-free products are broadly popular.
적은 비율의 사람들이 글루텐에 대한 내성이 없지만, 글루텐을 함유하지 않은 제품은 널리 인기가 있다.
Some individuals may be missing out on easy ways to get key nutrients by avoiding foods that are fine for them.
어떤 사람들은 그들에게 괜찮은 음식을 피함으로써 핵심 영양소를 얻을 수 있는 쉬운 방법을 놓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Recognizing how negative emotions and attitudes may be leading to rejec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without full evaluation is a first step.
부정적인 감정과 태도가 어떻게 과학적 정보를 충분한 평가 없이 거부하는 것으로 이어지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첫 단계이다.
Be open to new ideas, and be sure to evaluate them critically.
새로운 아이디어에 열려 있고 반드시 비판적으로 평가하라.
32 질서와 혼돈 간의 균형 추구
As a species, we fool ourselves when we imagine that we would prefer a certain world that we could fully control.
한 종으로서 우리는 우리가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특정 세계를 선호할 것이라고 상상할 때 우리는 자신을 속이는 것이다.
In truth, we crave a healthy balance between order and disorder, fulfilled by our world of accidental convergence.
사실, 우리는 우리의 우발적 수렴의 세계에 의해 충족되는 질서와 무질서 사이의 건강한 균형을 갈망한다.
The physicist Alan Lightman notes, “We love the structure of Western classical music, as well as the free-wheeling runs or spontaneous rhythms of jazz.
물리학자 Alan Lightman이 말하길 “우리는 서양 클래식 음악의 구조, 그리고 재즈의 자유롭게 움직이는 빠른 연주나 즉흥적인 리듬도 아울러 사랑한다.
We are drawn to the symmetry of a snowflake, but we also delight in the shapeless form of a high-riding cloud….
우리는 눈 결정의 대칭에 이끌리지만, 또한 높이 떠 있는 구름의 형태 없는 모양도 즐긴다….
We might respect those who manage to live sensibly and lead upright lives.
우리는 지각 있게 살며 올바른 삶을 영위하려 애쓰는 사람들을 존경할 수도 있다.
But we also esteem the mavericks who break the mould, and we celebrate the wild, the unrestricted and the unpredictable in ourselves.”
하지만 우리는 또한 기존의 틀을 깨는 독창적인 사람을 높이 평가하고, 우리 내부의 제멋대로이고, 제약 없으며, 예측 불가능한 면을 찬양한다.”
Life would be boring and monotonous if everything were structured and ordered, but pure disorder would destroy us.
만일 모든 것이 구조화되고 질서 잡혀 있다면 인생은 지루하고 단조롭겠지만, 완전한 무질서는 우리를 파괴할 것이다.
Nietzsche wrote that this tension comes from the human impulses for both the Apollonian and Dionysian.
니체는 이 긴장 상태가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 둘 다에 대한 인간의 충동에서 생겨난다고 적었다.
Both were sons of Zeus, but Apollo represented order, logic, and reason, while Dionysus is said to be an irrational agent of chaos who loves to party and dance.
둘 다 제우스의 아들이었지만, 아폴로는 질서, 논리, 그리고 이성을 대표한 반면, 디오니소스는 파티를 열고 춤추기를 좋아하는 혼돈의 비이성적인 대리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To fully live, we need both.
충실하게 살기 위해서, 우리는 둘 다 필요하다.
33 시간의 정의
What is time? Here is a concept we all think we understand, and one that physics requires.
시간은 무엇인가? 여기 우리 모두가 이해한다고 생각하는 개념과 물리학이 요구하는 개념이 있다.
Yet both ordinary folk and physicists would be hard-pressed to tell us what exactly time is.
그러나 평범한 사람들과 물리학자 모두 우리에게 시간이 정확히 무엇인지 말해 주는 데 애를 먹을 것이다.
Notice that to define time in terms of hours, minutes, and seconds is to mistake the units of time for what they measure.
시간을 시, 분, 그리고 초의 관점에서 정의하는 것은 시간의 단위를 그것들이 측정하는 대상으로 착각하는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라.
It would be like defining space in terms of meters or yards.
그것은 공간을 미터나 야드의 관점에서 정의하는 것과 같을 것이다.
Space is measured with equal accuracy in meters or yards.
공간은 동일한 정확도로 미터 또는 야드로 측정된다.
But suppose we ask which is the correct way of measuring space?
그러나 우리가 어느 것이 공간을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인지 묻는다고 가정해 보자.
The answer of course is that there is no uniquely correct set of units for measuring space; yards and meters do equally well.
물론 정답은 공간을 측정하기 위한 특별히 정확한 단위 세트는 없다는 것이고, 야드와 미터는 똑같이 잘 기능한다.
By the same token, neither can be said to “define” or constitute space.
같은 이유로 어떤 것도 공간을 ‘정의하거나’ 구성한다고 말할 수 없다.
The same goes for time. Seconds, centuries, millennia are just different amounts of the same “thing.”
시간도 마찬가지다. 초, 백 년, 천 년은 같은 ‘것’에 대한 다른 양일 뿐이다.
And it’s that thing, time, which comes in different amounts that we want a definition of.
그리고 우리가 정의를 원하는 것은 바로 다른 양으로 제공되는 시간이라고 하는 그런 것이다.
We could say that time is duration, but then duration is just the passage of time.
우리는 시간을 지속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지속은 시간의 흐름일 뿐이다.
Our definition would presuppose the very notion we set out to define.
우리의 정의는 우리가 정의하기 시작한 바로 그 개념을 전제로 삼을 것이다.
34 작가 고유의 스타일
It’s worth noting that a writer can’t manifest all qualities to all people at all times.
작가가 모든 사람에게 모든 특성을 항상 드러내 보일 수는 없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With great solemnity like Tolstoy’s, you rarely get lightheartedness humor (although he does enjoy mocking the weaknesses of some of his minor characters).
톨스토이와 같은 대단한 근엄함 (근엄한 문체)으로는 편한 마음으로 즐기는 유머를 거의 얻기 어렵다(물론 그가 자신의 사소한 몇몇 등장인물의 약점을 조롱하는 것을 진정 즐기기는 하지만).
A chatty author — one who is enthusiastic about lots of details and commentary — can’t also be a strong, silent Hemingway type.
수다스러운 작가, 곧 많은 세부 사항과 해설에 열정적인 작가 또한 강인하고, 과묵한 헤밍웨이 유형이 될 수 없다.
The very qualities that we identify as the reasons we like an author’s voice may be the identical reasons why other readers dislike the voice.
우리가 어떤 작가의 목소리를 좋아하는 이유라고 인정하는 바로 그 특징들이 다른 독자들이 그 목소리를 싫어하는 동일한 이유일 수도 있다.
One reader finds the work brilliant, another show-offy.
한 독자는 작품을 ‘훌륭하다’고 여기고, 다른 독자는 ‘잘난 체한다’고 여긴다.
One reader’s philosophically deep is another’s ponderous.
한 독자에게 ‘철학적으로 깊이 있는 것’이 다른 독자에게는 ‘매우 지루한 것’이 된다.
One reader’s funny is another reader’s trivial.
한 독자에게 ‘재미있는 것’이 다른 독자에게는 ‘시시한 것’이 된다.
Even a writer’s rich imagery, her flights of poetry, may cause some readers to warn, “I don’t care how dawn breaks on yonder sky. Get on with it!”
심지어 작가의 풍부한 심상, 곧 시적 비약도 일부 독자로 하여금 “나는 저기 있는 하늘에서 어떻게 동이 트는지에 관심 없어. 본론으로 들어가!”라고 주의를 주게 할 수 있다.
In evaluating fiction, we don’t want to ask whether it’s what we want for dinner, but whether the food is properly prepared and presented — not whether we approve of the voice, but whether the writer has achieved the desired effect well and consistently.
소설을 평가할 때, 우리는 그것이 우리가 저녁 식사로 원하는 것인지의 여부가 아니라 음식이 제대로 준비되고 차려졌는지의 여부를 묻고 싶어 한다. 즉, 우리가 (작가의) 목소리를 탐탁하게 생각하는지의 여부가 아니라, 작가가 원하는 효과를 제대로 그리고 일관되게 이루었는지의 여부를 묻고 싶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