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2회
35 진정한 방정식을 발견하는 것의 어려움
It is surely a goal of scientific explanation to find or “derive” the governing equation for the phenomenon being investigated.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지배 방정식을 찾거나 ‘이끌어 내는’ 것은 분명히 과학적 설명의 목표이다.
Applied mathematicians would call this “constructing a model.”
응용 수학자들은 이것을 ‘모델 구축’이라고 부를 것이다.
In most practical cases, this aspect of mathematical physics is often a matter of educated guesswork.
대부분의 실제 사례에서, 이러한 수리 물리학의 측면은 주로 경험에 근거한 ‘추측’의 문제이다.
It is here that the physicist’s experience and intuition play their most prominent roles.
물리학자의 경험과 직관이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하는 곳은 바로 여기다.
However, it is extremely unlikely that the equation one finds is the “real” equation that governs the behavior of the system.
그러나 누군가 발견하는 방정식이 시스템의 행동을 지배하는 ‘실제’ 방정식일 가능성은 극히 낮다.
Typically, things are much too complicated for us to expect this to be the case.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것이 사실일 것이라고 기대하기에는 상황이 지나치게 너무 복잡하다.
Thus, the equation one finds (if, indeed, one finds one at all) is more likely than not an approximation to the “true” or “real” equation.
따라서 누군가 발견하는 방정식은 (실제로 발견한다 하더라도) 십중팔구 ‘진정한’ 혹은 ‘실제’ 방정식의 근사치일 것이다.
In fact, I’m not really convinced that it makes sense to speak of the “true” governing equation.
사실상, 나는 ‘진정한’ 지배 방정식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타당한지 진정 확신하지 못한다.
36 학생 기록부의 역할 변화
The earliest document that might be considered a student record was an annual “child census.”
학생 기록부로 여겨질 수 있는 가장 초기의 문서는 연례 ‘아동 인구 조사’였다.
These censuses were often required by states as they developed their early public school systems and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assessing taxes, and, later, determining the denominator for school attendance rates.
이러한 인구 조사는 많은 경우 주(州)가 초기 공립 학교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요구되었으며, 세금을 산정할 목적으로, 그리고 나중에는 학교 출석률의 분모를 결정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These were records of children who should be students, but they weren’t student records — they didn’t record individual attendance or achievement.
이것은 학생이어야 하는 아동에 대한 기록이지만 ‘학생’ 기록은 아니어서 개인의 출석이나 성취는 기록하지 않았다.
The need for individual records changed, however, once states passed compulsory school laws that required all children of a certain age to attend.
그러나 주에서 특정 나이의 모든 아동이 학교에 다닐 것을 요구하는 의무 교육 법안을 통과시키자 개인 기록에 대한 필요가 바뀌었다.
Now schools were increasingly expected to maintain common sets of records that allowed information to be transferred from school to school in order to keep track of students and verify that families were complying with school laws.
이제 학교는, 학생에 대해 계속 파악하고 가정이 학교 법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정보가 학교에서 학교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공통의 기록 체계를 유지하도록 점점 더 요구받게 되었다.
In addition to being good for record-keeping, the practice was intended to thwart an excuse common among youth stopped by truant officers: they weren’t absent, they were simply crossing town to the school where they were enrolled.
그 관행은 기록 관리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무단결석생 지도원에게 제지된 청소년들 사이에서 흔한 변명, 이를테면 그들이 결석한 것이 아니라 단지 마을을 가로질러 등록된 학교로 가고 있다는 변명을 좌절시키는 목적도 있었다.
A quick check of a school’s records could determine the truth of the claim — and whether the student’s family would be issued a warning or worse.
학교 기록을 빠르게 확인함으로써 그 주장의 진실성, 그리고 학생의 가정에 경고장이나 더 심한 것을 발부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었다.
37 소셜 미디어상의 가짜 뉴스의 위험성
Social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large-scale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in all occupations, including marketing, journalism, public relations, and more.
소셜 미디어는 마케팅, 저널리즘, 홍보, 그 이상을 포함하여 모든 직종에서 대규모 정보 공유와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This change in consumption behaviors is due to some novel features such as mobility, being free, and interactiveness.
소비 행태에 있어서 이러한 변화는 이동성, 무료, 그리고 상호 작용성과 같은 몇 가지 새로운 특징 때문이다.
However, the low cost, easy access, and rapi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of social media draw a large audience and enable the wide spread of fake news, i.e., news with intentionally false information.
그러나 소셜 미디어의 저렴한 비용, 쉬운 접근, 정보의 빠른 유통은 많은 독자를 끌어모으고 ‘가짜 뉴스’, 즉 의도적으로 허위인 정보를 담은 뉴스의 광범위한 확산을 가능하게 한다.
For instance, in 2016, millions of people read and “liked” fake news stories proclaiming that Pope Francis had supported a specific candidate for U.S. president.
예를 들어, 2016년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특정 미국 대통령 후보를 지지했다고 공언하는 가짜 뉴스 기사를 수백만 명이 읽고 ‘좋아요’를 눌렀다.
When the Pakistani defense minister mistakenly believed a fake news story, he almost started a war with a neighboring country.
파키스탄 국방부 장관은 가짜 뉴스 기사를 잘못 믿었다가, 이웃 국가와 전쟁을 시작할 뻔했다.
These examples clearly demonstrate that fake news stories are problematic not only for the credibility of online journalism, but also due to their adverse real-world consequences, resulting in violence or influencing election results.
이러한 사례는 가짜 뉴스 기사가 온라인 저널리즘의 신뢰성에 문제를 일으킬 뿐 아니라 폭력을 초래하거나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등 현실 세계에 미치는 부정적 결과 때문에도 문제가 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 준다.
Therefore, i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for policy makers to regulate and discourage the creation of fake news, for online business to detect and prevent fake news, and for citizens to protect themselves from fake news.
따라서 정책 입안자들이 가짜 뉴스의 생성을 규제하고 억제하는 것, 온라인 비즈니스가 가짜 뉴스를 탐지하고 예방하는 것, 그리고 시민들이 가짜 뉴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38 사회적, 물리적 지리학 지식의 중요성
The successful functioning of people and societies requires a successful perception and cognition of the circumstances in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in which we live.
사람과 사회가 성공적으로 기능하려면 우리가 살고 있는 물리적 그리고 사회적 환경의 상황에 대한 성공적인 인식과 인지를 필요로 한다.
To be successful in everyday life, though, as individuals, we need not know everything.
하지만 ‘개인’으로서 일상생활에서 성공하기 위해 우리가 모든 것을 알 필요는 없다.
As Tuan, the father of humanistic geography, put it, the geographical “knowledge we have as individuals and as members of a particular society remains very limited, selective, and biased.”
인본주의 지리학의 아버지인 Tuan이 말했듯이, “개인으로서 그리고 특정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리적 지식은 여전히 매우 제한적이고 선택적이며 편향적이다.”
Despite imperfect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limited abilities to think geographically we — as individuals and societies — have to cope with everyday or long-term challenges.
불완전한 지리적 정보와 지식 그리고 제한된 지리적 사고 능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개인과 사회로서, 일상적 또는 장기적인 도전에 대처해야 한다.
To do so, we need both geographical knowledge and the abilities to act effectively in new situations.
그러기 위해 우리에게는 지리적 지식과 새로운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이 모두 필요하다.
This knowledge is accumulated and strengthened throug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as well as through personal or collectively shared experiences.
이러한 지식은 개인적인 혹은 집단적으로 공유된 경험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공식적 그리고 비공식적 교육을 통해 축적되고 강화된다.
This justifies the importance of learning just-in-case about previously unknown geographies, like through geography lessons in schools, reading literature or following the media news.
이것은, 이를테면 학교의 지리 수업, 문학 작품 읽기 또는 미디어 뉴스에 관심을 가지는 것을 통해, 전에 알지 못했던 지리에 대하여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학습하는 것’의 중요성을 정당화한다.
39 숫자를 인식하는 정신 기관
One of the brain’s specialized mental organs is a primitive number processor that prefigures, without quite matching it, the arithmetic that is taught in our schools.
뇌의 특화된 정신 기관 중 하나는,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는 산수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그것을 예견하는 원시적인 수 처리 장치다.
Improbable as it may seem, numerous animal species that we consider stupid or vicious, such as rats and pigeons, are actually quite gifted at calculation.
사실 같지 않아 보일 수도 있지만, 쥐와 비둘기처럼 우리가 어리석거나 사악하다고 생각하는 수많은 동물 종이 실제로는 계산에 상당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They can represent quantities mentally and transform them according to some of the rules of arithmetic.
그것들은 수량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고 산술의 몇 가지 규칙에 따라 그것을 변형할 수 있다.
The scientists who have studied these abilities believe that animals possess a mental module, traditionally called the “accumulator,” that can hold a register of various quantities.
이러한 능력을 연구한 과학자들은 동물이 다양한 수량의 목록을 보유할 수 있는, 전통적으로 ‘누산기(累算器)’라 불리는 정신적인 모듈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Rats exploit this mental accumulator to distinguish series of two, three, or four sounds, or to compute approximate additions of two quantities.
쥐는 이 정신적 누산기를 이용해 두 개, 세 개, 혹은 네 개의 연속되는 소리를 구별하거나, 두 수량의 대략적인 덧셈을 계산한다.
The accumulator mechanism opens up a new dimension of sensory perception through which the cardinal of a set of objects can be perceived just as easily as their color, shape, or position.
누산기 메커니즘은 집합의 원소 수를 그것의 색깔, 모양, 혹은 위치만큼이나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감각 지각을 열어 준다.
This “number sense” provides animals and humans alike with a direct intuition of what numbers mean.
이 ‘수 감각’은 동물과 인간 양쪽 모두에게 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직접적인 직관을 제공한다.
40 광고 시간과 효과
You’ve probably noticed that as a TV or radio program yields to a commercial, the speech rate often increases.
여러분은 아마도 TV나 라디오 프로그램이 광고에 시간을 내줄 때 (광고의) 말 속도가 자주 빨라진다는 것을 눈치챘을 것이다.
The reason for this can be purely practical, to squeeze in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into a pricey 30-second commercial slot.
이는 값비싼 30초 광고 자리에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밀어 넣기 위한 전적으로 실용적인 이유 때문일 수 있다.
Sometimes, when the taped commercial runs slightly over the allotted time, it’s compressed to fit in, so it runs faster than actual life.
때때로 녹화된 광고가 할당된 시간을 약간 넘겨서 계속되는 경우 그 안에 들어가기 위해 압축되어, 그것은 실제보다 더 빠르게 진행된다.
Researchers began to notice that time-compressed commercials could actually be more effective than the same commercial run at normal speed.
연구자들은 시간이 압축된 광고가 같은 광고를 정상 속도로 방송하는 것보다 실제로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When they took a closer look they found that surprisingly, people use less brainpower, not more, in listening to time-compressed ads.
더 자세히 살펴보았을 때 그들은 놀랍게도 사람들이 시간이 압축된 광고를 들을 때 더 많은 지력이 아니라 오히려 더 적은 지력을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Since thinking takes more time than reacting, it may be that people just gave up on it when the speech ran faster than cognition.
반응하는 것보다 생각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말이 인지보다 더 빠르게 진행된 경우, 사람들이 그것(생각하는 것)을 그냥 포기했을 수도 있다.
In that case, we’d expect to see signs that people were thinking superficially when they heard time-compressed ads.
그런 경우, 우리는 사람들이 시간이 압축된 광고를 들을 때 피상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징후를 보게 될 것으로 예상할 것이다.
Sure enough, ads that sounded extremely fast led to people relying less on the strength of its arguments, and more on a general impression of how credible the announcer seemed.
예상한 대로, 매우 빠르게 들린 광고는 사람들이 그 주장의 설득력에 덜 의존하고, 말하는 사람이 얼마나 신뢰할 만해 보이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에 더 의존하게 했다.
Time-compressed commercials that pack a lot of information in a short period are likely to be successful in influencing audiences and potential consumers because they tend to abandon deep thinking, which takes longer than reacting.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담은 시간이 압축된 광고는 청취자와 잠재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데 성공적이기 쉬운데, 왜냐하면 그들은 반응하는 것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깊은 사고를 포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41 예술 창작물이 발생하게 되는 계기
Creativity, like ethics, beauty, decision-making, or the ability to think or reason, is not located anywhere in the brain.
창의성은 윤리, 아름다움, 의사 결정, 또는 사고하거나 추론하는 능력과 마찬가지로 뇌의 어느 곳에도 위치하지 않는다.
To create means having the ability to get excited and think, learn, remember, imagine, and all these are brain functions whose processing is distributed in areas, neural systems, and specific networks functioning within codes of time, not space.
창조한다는 것은 신이 나서 생각하고, 배우고, 기억하고, 상상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모든 것은, 그 처리 과정이 공간이 아니라 시간의 코드 내에서 작동하는 영역, 신경 시스템, 그리고 특정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는 뇌의 기능이다.
Creativity is an important ingredient in any artistic activity.
창의성은 어떤 예술 활동에서든 중요한 요소이다.
It is the capacity to do new things, therefore, that enables the artist to capture on canvas, wood, rock, or holograms feelings, abstracts, and ideals.
따라서 그것은 예술가가 캔버스, 나무, 바위 또는 홀로그램에 감정, 추상, 이상을 담을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It has been speculated that the artistic creativity may emerge from that clash between the abstractions created by the brain, with its emotional component, unique and personal, and the concrete sensory objects of the world from which precisely those same abstractions have been constructed.
예술적 창의성은 고유하고 개인적인 감정적 구성 요소를 가진 뇌가 만들어 낸 추상적 개념과, 바로 그 동일한 추상적 개념이 만들어진 세상의 구체적인 감각 대상 간의 그 충돌로부터 나올지도 모른다고 추측되어 왔다.
Think of this as something like an unconscious dissatisfaction caused by a mismatch between mental objects and real sensory objects, between ideas of the objects created by the brain and the real objects themselves, something like a divorce between the “tree” the artist sees, which is “real,” and the “tree” that the artist constructs unconsciously on the screen of his mind.
이를 정신적인 대상과 실제 감각 대상 간의, 뇌가 만들어 낸 대상에 대한 관념과 실제 대상 자체 간의 불일치에 의해 야기된 무의식적인 불만, 즉 예술가가 보는 ‘실제의’ ‘나무’와 예술가가 무의식적으로 자기 마음의 화면에 구성하는 ‘나무’ 간의 단절과 같은 어떤 것으로 생각하라.
From that conflict, an emotional reaction arises, leading to that dissatisfaction (frustration). It could be precisely this frustration that acts as the starter of the creative process.
그 충돌로부터 감정적 반응이 일어나며, 그 불만(좌절)으로 이어진다. 창작 과정의 시발점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이 좌절감일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reative act would then stand as the need of the artist to find a personal satisfaction through his work of art, with this work no longer reflecting the “objective reality” but his “mental reality.”
그러면 그 창작 행위는 자신의 예술 작품을 통해 개인적인 만족을 찾으려는 예술가의 욕구를 나타내게 되고, 이 작품은 더 이상 ‘객관적 실재’가 아니라 그의 ‘정신적 실재’를 반영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