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4회
18 프로젝트 최신 도면 요청
Dear Mr. Davis, I am Rachel Winslow, and I am the new project manager at Woodline Construction.
Davis 씨께, 저는 Rachel Winslow이며, Woodline Construction의 새 프로젝트 책임자입니다.
I am writing to request an update on the latest Lakefront Build project.
최근의 Lakefront Build 프로젝트의 최신 정보를 요청하고자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As we move forward with the design, my team would like to see the latest drawings before we schedule a financing meeting.
(귀사의) 설계에 따른 작업을 추진하면서 저희 팀은 자금 조달 회의 일정을 잡기 전에 최신 도면을 보고 싶습니다.
Once we have them, we can begin discussing a timeline and budget options.
일단 그것을 가지면, 추진 일정과 예산 옵션에 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At Woodline, we have successfully completed over 50 builds in the area, and we would love the opportunity to bring your design to life.
Woodline에서 저희는 지역에 50개가 넘는 건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귀사의 설계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싶습니다.
If you could please send me the latest drawings at your earliest convenience, we con begin discussing the remaining details.
가급적 빨리 최신 도면을 보내 주시면 나머지 세부 사항에 대해 논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Thank you for your time and consideration.
시간과 배려에 감사드립니다.
I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Sincerely, Rachel Winslow
연락을 기대하겠습니다. Rachel Winslow 드림
19 버스 옆자리에 앉은 낯선 사람
“I should be in Miami in five hours,” Nathan said to himself as he settled back comfortably in his seat, stretching his legs.
“다섯 시간 지나면 마이애미에 있겠지.” Nathan은 자리에서 편히 기대면서 다리를 뻗으며 혼잣말을 했다.
A broad smile spread across his face, and he watched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s.
환한 미소가 그의 얼굴에 번졌으며, 그는 창문을 통해 바깥을 바라보았다.
Nathan was enjoying the scenery as the big bus rolled down the highway and cruised through the small towns on that hot summer day.
그 더운 여름날 대형 버스가 고속 도로를 달리고 작은 마을들을 통과하여 나아갈 때 Nathan은 풍경을 즐기고 있었다.
“What’s going on?” Nathan said to himself as the bus slowed down and came to a complete stop on a remote part of the highway.
“무슨 일이지?” 버스가 속도를 줄이고 고속 도로의 외진 구간에서 완전히 멈추자, Nathan은 혼잣말을 했다.
The bus door opened, and the strangest man Nathan had ever seen boarded the bus.
버스 문이 열리고 Nathan이 여태껏 본 사람 중 가장 괴상한 남자가 버스에 탑승했다.
His long jet-black hair and a two-inch scar on his left cheek drew everyone’s attention.
그의 긴 새까만 머리와 왼쪽 뺨에 있는 2인치 길이의 흉터가 모든 사람의 시선을 끌었다.
Without a word, the stranger sat next to Nathan, even though there were plenty of empty seats.
아무 말 없이 그 낯선 남자는, 빈 좌석이 많았는데도, Nathan의 옆에 앉았다.
Nathan’s heart pounded as the man turned and fixed him with an intense stare, his scarred face mere inches away.
그 남자가 몸을 돌려 흉터가 있는 얼굴을 불과 몇 인치 떨어진 곳에 두고 강렬한 시선으로 응시하자, Nathan의 심장은 쿵쾅거렸다.
20 제품의 건강 정보에 소비자의 주의 끌기
A crucial factor in consumer behaviour regarding health claims (and nutritional information in general) is that their effect critically depends on the attention that such information attracts.
건강 강조 표시에 (그리고 일반적으로 영양 정보에) 관한 소비자 행동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은 그러한 정보가 불러일으키는 주의에 따라 그 효과가 결정적으로 달라진다는 것이다.
This is increasingly challenging in information-rich environments and when consumers have limited attentional resources.
정보가 풍부한 환경에서 그리고 소비자가 제한된 주의력을 가질 때 이것(이러한 정보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
As attention processes are essential it is crucial to “guide” consumers’ attention to healthfulness at the moment of choice.
주의 과정이 필수적이므로 선택의 순간에 소비자의 주의를 건강에 좋음으로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is can be achieved by stimulating consumers’ health goal accessibility through, other than product- or packaging-related, communication at the point of purchase.
이는 제품이나 포장 관련 외에도 구매 시점의 소통을 통해 소비자의 건강 목표 접근성을 자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Point-of-sale nutrition and health campaigns may activate consumers’ health goal accessibility, thus drawing attention more easily to the search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on packaging.
매장의 영양 및 건강 캠페인은 소비자의 건강 목표 접근성을 활성화하여 포장에 있는 건강 관련 정보에 대한 검색에 주의를 더 쉽게 끌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and complementarily, attention can be enhanced if health information “stands out” compared to other competing information on packaging.
그렇지 않으면, 그리고 상호 보완적으로, 건강 정보가 포장에 있는 다른 경쟁 정보에 비해 ‘눈에 띄는’ 경우 주의가 향상될 수 있다.
This can be achieved by making health information highly salient (i.e., visible on packaging), and/or by communicating it in terms of visuals rather than text, as these appear to more easily attract attention, especially in information-rich contexts.
이는 건강 정보를 매우 두드러지게 만듦으로써(즉, 포장에서 알아볼 수 있게 해서), 그리고/또는 텍스트보다는 시각적 요소의 측면에서 그것을 전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특히 정보가 풍부한 상황에서 이런 방법들이 더 쉽게 주의를 끌 것 같기 때문에 그렇다.
21 불신의 자발적 중지
One of the most remarkable — yet underrated — feats of human imagination is what’s known as willing suspension of disbelief.
인간의 상상력 중 가장 놀랍지만, 그러나 과소평가된 재주 중 하나는 불신의 자발적 중지로 알려진 것이다.
We spend our lives trying to separate what’s real from what is imaginary or illusory.
우리는 실재하는 것을 상상의 또는 가공의 것으로부터 분리하려고 노력하면서 삶을 보낸다.
It’s a survival technique.
그것은 생존 기술이다.
Yet when we enter a theatre or a cinema, or even when we turn on a television or a radio, or log on to a website, we perform a feat of mental acrobatics.
하지만 우리가 극장이나 영화관에 들어갈 때, 혹은 심지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켤 때, 혹은 웹사이트에 로그온할 때 우리는 정신적 곡예라는 재주를 부린다.
We will ourselves to ignore the curtains, ignore the fact that we’re in a dark and crowded room with a sticky floor, ignore the fact that we’re looking at shadows coming from a little box, ignore the fact that the people we see are actors pretending to be people they aren’t — saying words written by someone else, and having adventures with special effects that were manufactured in a computer.
우리는 우리 스스로 커튼을 무시하고, 우리가 어둡고 사람들로 붐비는 바닥이 끈적한 방 안에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며, 우리가 작은 상자에서 나오는 그림자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고, 우리가 보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이 써 준 말을 하고 컴퓨터에서 제작된 특수 효과로 모험을 하는, 자신이 아닌 사람인 척하는 배우라는 사실을 우리 스스로 무시하도록 ‘의도한다’.
Instead, we allow ourselves to enter the world of the show, to believe for a little while that we’re flying through space, or riding the Hogwarts Express, or witnessing a furious battle, or watching real people falling in love.
대신 우리는 스스로 쇼의 세계로 들어가게 되는데, 즉, 우리가 우주를 날아다니고 있거나 혹은 호그와트 급행열차를 타고 있거나 혹은 격렬한 전투를 목격하거나 혹은 실제 사람들이 사랑에 빠지는 것을 지켜보는 것으로 잠시 믿게 된다.
The distractions of reality become invisible and for the duration of the show, we believe.
현실의 집중 방해 요인은 눈에 띄지 않게 되고, 쇼가 진행되는 동안 우리는 믿는다.
22 본보기로서의 소셜 미디어 속 인플루언서
For some, it’s tempting to behave in a certain way for an audience, and effectively signal virtues that play well, because they reinforce a certain profile.
일부 사람들에게는 대중에게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여 잘 받아들여지는 장점을 효과적으로 알리는 것이 솔깃한 일인데, 그런 것들이 특정 프로필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Influencers have a role to play in our world today in terms of showcasing lifestyles or brands, but often it’s an act, and financial motivation dressed up as real life.
인플루언서들은 오늘날 우리 세상에서 생활 방식이나 브랜드를 선보인다는 측면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있지만, 흔히 그것은 연기이고 실생활로 둔갑한 금전적 동기이다.
There’s nothing wrong with liking or admiring anyone for the way that they present themselves to the world, but it does risk inviting unrealistic expectations among those who look up to them.
누가 되었든 그들이 자신을 세상에 드러내는 방식 때문에 그들을 좋아하거나 존경하는 것에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그것은 그들을 존경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비현실적인 기대를 불러일으킬 위험이 진정 있다.
We often see this across social media platforms which, let’s not forget, are a showreel of people’s best moments.
우리는 이것을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도처에서 자주 보는데, 그것은 사람들의 가장 좋은 순간을 보여 주는 소개용 영상물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Ultimately, we can’t know what people in the public eye are really like in private, which is why the best role models are those who we trust embody our core values and/or people we know and love.
궁극적으로 우리는 대중의 눈에 비치는 사람들이 사적으로는 실제로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는데, 그 때문에 우리가 우리의 핵심 가치관을 구현한다고 믿는 사람, 그리고/또는 우리가 알고 사랑하는 사람이 최고의 본보기이다.
23 과학적 논의에 대한 과학자의 태도
Theories are all about interpreting data and hence the most frequent subject of disputes in science.
이론에서는 데이터의 해석이 가장 중요하며, 그런 이유로 (이론은) 과학에서 가장 빈번한 논쟁의 주제이다.
It can be hard not to develop some degree of emotional attachment to a theory one has proposed.
자신이 제안한 이론에 대해 어느 정도 감정적 애착을 갖지 않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It is always nice to have colleagues debating your ideas, certainly if they subsequently crystallize in what can be considered a real theory.
여러분의 아이디어에 관해 동료들과 논의하는 것은 항상 좋은 일이며, 특히 그것이 나중에 실제 이론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으로 확고해진다면 더욱 그렇다.
So, when ongoing investigations show that your theory is not the perfect explanation of nature it may be hard to swallow.
따라서 진행 중인 연구에서 여러분의 이론이 자연을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받아들이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The opposite also happens.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한다.
Some scientists have championed their favorite theory with such passion that they were considered preposterous by their peers and barely taken seriously, even though in the end some of them turned out to have been right all along.
일부 과학자들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이론을 매우 열정적으로 옹호한 나머지, 동료들로부터 터무니없다고 여겨지며 거의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그러나 결국 그들 중 일부는 처음부터 옳았던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This once mor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keeping scientific debates impersonal and focused on the content only.
이는 과학적 논의에서 개인의 감정을 섞지 않고 내용에만 집중하도록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Even if you are fully convinced that you are right and the other side is wrong, one should always remain polite and “May I suggest an alternative explanation?” is far more effective in getting a message across than “Let me explain to you how it really works.”
여러분이 옳고 상대방이 틀렸다고 완전히 확신하더라도 항상 예의를 지켜야 하며 “제가 다른 설명을 제안해도 될까요?”라고 말하는 것이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것보다 메시지를 이해시키는 데 훨씬 더 효과적이다.
24 세대 간 서로 다른 경청의 의미
Generation is one type of identity categorization that is often overlooked in research about diversity, difference, and communication across cultures.
세대는 문화 간 다양성, 차이,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에서 흔히 간과되는 정체성 분류의 한 유형이다.
Yet, diverse generations have their own shared system of norms and values for the ways they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in the world, thus creating unique cultural systems.
그러나 다양한 세대는 세상 속에서 소통하고 상호 작용을 하는 방식에 관한 그들만의 공유된 규범과 가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하여 고유한 문화 체계를 만든다.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that Generation Z conceptualizes good listening and the ways that older generations conceive what “listening” means and how it should be enacted.
최근 연구에 따르면 Z세대가 경청을 개념화하는 방식과 더 나이 든 세대가 ‘듣기’의 의미와 그것을 행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or example, Generation Z is more likely to conceptualize listening as evaluative — involving communicative activities such as being critical, arguing, conceding, and answering — as compared to older generations, and Generation Z and Generation X appear to have the most saliently (and statistically)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f what good listening entails. In other words, how a particular generational cohort expects to listen relationally may differ from another generation’s values.
예를 들어, 더 나이 든 세대와 비교할 때 Z세대는 듣기를 비판하기, 논쟁하기, 수긍하기 및 답변하기와 같은 의사소통 활동을 포함하는 ‘평가적인’ 것으로 개념화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Z세대와 X세대는 경청이 무엇을 수반하는지에 대해 가장 눈에 띄게 (그리고 통계적으로)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특정 세대 집단이 관계적인 면에서 들을 것으로 기대하는 방식은 다른 세대의 가치관과 다를 수 있다.
This can have real-worl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spaces when assumptions about whether and how a person is listening is made from specific individual standpoints, social positions, and power structures.
이는 한 사람의 듣기 여부와 방식에 대한 가정이 특정 개인의 입장, 사회적 위치, 권력 구조에 따라 이루어질 때 교육 공간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6 Mary Edwards Walker의 생애
Mary Edwards Walker was born in New York in 1832.
Mary Edwards Walker는 1832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She graduated from Syracuse Medical College in 1855 and started a medical practice.
그녀는 1855년 Syracuse 의과 대학을 졸업하고 의료 업무를 시작했다.
She served as a surgeon at a temporary hospital in Washington, D.C. at the outbreak of the American Civil War and later became the first female surgeon in the US Army.
그녀는 미국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워싱턴 D.C.의 임시 병원에서 외과 의사로 근무했고, 이후 미 육군 최초의 여성 외과 의사가 되었다.
She wore men’s clothing during her work, claiming it to be easier for the high demands of her work.
그녀는 근무 중에 남성복을 입었는데, 그것이 자신의 고된 업무에 더 편하다고 주장했다.
She crossed enemy lines to treat wounded civilians and was arrested as a spy.
그녀는 다친 민간인을 치료하기 위해 적진으로 넘어갔다가 스파이로 체포되었다.
She was sent as a prisoner of war to Virginia until released in a prisoner exchange.
그녀는 전쟁 포로로 버지니아에 보내졌다가 포로 교환에서 석방되었다.
After the war, she received the Medal of Honor for her efforts during the Civil War.
전쟁이 끝난 후 그녀는 남북전쟁 동안의 노력으로 명예 훈장을 받았다.
She later became a writer and lecturer supporting the women’s suffrage movement until her death in 1919.
이후 그녀는 1919년에 사망할 때까지 여성 참정권 운동을 지지하는 작가이자 강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