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4회
36 단백질의 모양 변형에 따른 기능 변화
Since the function of a protein is related to its shape, changing the shape changes the protein’s ability to function, usually rendering it useless to the organism.
단백질의 기능은 그 모양과 관련이 있으므로 모양을 바꾸는 것은 그 단백질이 기능하는 능력을 변화시키고, 그것은 보통 그 단백질을 유기체에 쓸모없게 만든다.
Think of a protein as a bit like the power cable between a laptop and an outlet: while it has a particular primary structure (the cord and wires inside it), the cord itself invariably gets all tangled up and twisted into some secondary structure.
단백질을 휴대용 컴퓨터와 콘센트 사이의 전원 케이블과 약간은 비슷한 것으로 생각해 보면, 그것은 (코드와 그 속의 전선처럼) 특정한 1차 구조를 지니지만, 코드 자체에는 변화가 없이 전부 엉키고 꼬이면서 일종의 2차 구조를 형성한다.
On the molecular level, the cable is the protein structure, and the tangles in the cable are secondary bonds between various atoms in the structure.
분자 수준에서 그 케이블은 단백질 구조이며, 케이블에서 엉킴은 그 구조 안에 있는 다양한 원자 사이의 2차 결합이다.
Atoms can be relocated to different bonding spots, changing the overall shape of the molecule, but not actually changing the chemical composition.
원자가 서로 다른 결합 지점으로 재배치될 수 있어 분자의 전체 모양은 바뀌겠지만, 화학 구성이 실제로 바뀌지는 않는다.
With its new shape, however, the molecule isn’t always able to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하지만 그 새로운 모양으로 분자가 본래의 기능을 항상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It might no longer fit into places that it used to be able to go, or given the new conformation, other molecules might be able to form new bonds with the molecule and prevent it from functioning as it used to.
그것은 이전에는 들어갈 수 있었던 자리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거나, 혹은 새로운 구조가 주어지면, 다른 분자가 그 분자와 새로운 결합을 형성하여 그것이 예전처럼 기능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37 디지털 시대의 자동차 소프트웨어
As automakers around the world shift from gas-powered to electric vehicles and work on future autonomous vehicl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hardware and software to the business has shifted.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들이 휘발유 구동 자동차에서 전기 자동차로 전환하고 미래의 자율 주행차를 개발하면서, 이 비즈니스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대적 중요성이 바뀌었다.
The capabilities that define great car companies are different in the digital era.
디지털 시대에는 훌륭한 자동차 회사를 정의하는 특성이 다르다.
These new capabilities start with digital technology.
이러한 새로운 특성은 디지털 기술과 함께 시작된다.
Traditional gas-powered cars were built with software but only for running secondary functions like heating, maps, and entertainment.
기존의 휘발유 구동 자동차에도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었지만, 난방, 지도,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부차적인 기능만을 실행하기 위함이었다.
These simple applications were coded onto separate chips implanted in parts throughout the car.
이 단순 응용 프로그램은 차량 곳곳에 부품으로 끼워 넣은 별도의 칩에 코딩되었다.
They were easily outsourced to suppliers and plugged in when the vehicle was assembled.
그것들은 공급업체에 (의뢰되어) 쉽게 외주 제작되어, 차량이 조립될 때 연결되었다.
But with the shift to electric vehicles, software is now in the driver’s seat.
하지만 전기 자동차로 전환하면서 이제 소프트웨어가 운전석에 놓이게 되었다.
It runs the entire powertrain, brakes, battery, and lights — the most critical systems of any car.
그것은 그 모든 동력 발생 전달 장치, 브레이크, 배터리, 그리고 조명, 곧 어떤 자동차에서든지 그 가장 중요한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The hundreds of applications in an electric vehicle cannot be built as separate widgets; they must be part of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전기 자동차의 수백 가지 응용 프로그램은 별도의 위젯 형태로 구축될 수 없으며, 통합적인 운영 체제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Just as important, the software must be continually updated over the life of the vehicle, just like a smartphone’s operating system and apps.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가 스마트폰의 운영 체제 및 앱과 꼭 마찬가지로 차량의 사용 연한 동안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38 시간 간격 인지의 단서가 되는 예측 가능한 행동 순서
Behaviorists studying interval timing noticed that individuals often cycled through predictable sequences of actions while waiting to respond at a particular duration.
시간 간격 인지를 연구하는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특정한 지속 시간에 기다리면서 반응을 하는 동안 예측 가능한 순서의 행동을 하나하나 거치며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Imagine you are waiting for a bus.
여러분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
Initially, you might sit, then at some point, you stand up, begin pacing, or start looking down the street.
처음에 여러분은 앉아 있다가, 그다음 어느 순간 일어서서, 서성거리기 시작하거나 거리 쪽으로 보기 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Onlookers might interpret these actions as signs of impatience.
이를 지켜보는 관찰자는 이러한 행동을 조급함의 신호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Researchers instead suggested that such action sequences could serve as cues that tell you how long you have been waiting.
연구자들은 그 대신 이러한 행동 순서가 여러분에게 여러분이 얼마나 오래 기다리고 있는지를 알려 주는 신호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For example, if you are looking down the street and checking the time on your phone, then those are actions that can let you know that you have been waiting longer.
예를 들어, 길 쪽으로 보며 전화기로 시간을 확인하고 있다면, 이런 것들은 여러분이 더 오래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여러분에게 알려 주는 행동이다.
This may seem like a weird way to judge time, but you can probably get some sense of how long people have been waiting in a line based on their actions and expressions.
이런 방식이 시간을 판단하는 특이한 방법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여러분은 사람들의 행동과 표정에 기반해서 그들이 줄을 서서 얼마나 오래 기다리고 있는지 아마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So presumably, those people’s brains can also use those same cues too.
따라서 아마 그 사람들의 뇌 역시 이와 동일한 신호를 또한 사용할 것이다.
39 디지털 행위자의 책임 문제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discussions about the personhood status of digital minds will begin as soon a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re attributed to them.
디지털 마인드의 인격 지위에 대한 논의는 권리와 책임이 그것에게 부여되어 있다고 생각되자마자 시작될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Digital agents — software programs that take significant decisions on behalf of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 already exist and are responsible for many events affecting human lives.
디지털 에이전트, 곧 개인과 기업을 대신해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이미 존재하며,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사건에 책임이 있다.
The most visible of them — automated trading agents, whose behavior is based on complex sets of rules and algorithms — affect the economy enormously and have been blamed for a number of economic crises and other troublesome events.
그중 가장 눈에 띄는 자동화된 거래 에이전트는, 그 행동이 복잡한 일련의 규칙과 알고리즘에 기반하는데, 경제에 막대하게 영향을 미치며 다수의 경제 위기와 다른 골치 아픈 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Until now, however, the individuals or corporations that own those agents, rather than the agents themselves, have been held responsible for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그러나 지금까지는 에이전트 자체가 아니라, 그 에이전트를 소유한 개인이나 기업이 그 행동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 왔다.
This is simply a consequence of the fact that personhood has not, so far, been granted to any purely digital entity.
이는 지금까지 어떤 전적으로 디지털화된 실체에도 인격이 부여되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에 발생한 결과일 뿐이다.
However, as digital agents and their behavior become more complex, it is natural to shift the responsibilities from the “owners” of these agents to the agents themselves.
그러나 디지털 에이전트와 그것의 행동이 더 복잡해짐에 따라, 책임을 이 에이전트의 ‘소유자’로부터 에이전트 자체로 이전하는 것은 당연하다.
In fact, the concept of ownership of an intelligent agent may one day become a focus of dissension if digital minds are granted full personhood.
실제로, 디지털 마인드에 완전한 인격이 부여되면, 지능형 에이전트의 소유권 개념이 언젠가 논란의 중심이 될 수도 있다.
40 범죄 통제 모델과 적법 절차 모델
According to Herbert L. Packer, there are two competing models of justice that form the foundations of criminal law and procedure: the crime control model and the due process model.
Herbert L. Packer에 따르면, 형사법과 절차의 기초를 이루는 두 가지 경쟁하는 사법 모델, 즉 범죄 통제 모델과 적법 절차 모델이 존재한다.
The crime control model believes that justice is based primarily on public safety and on the efficient conviction and strict punishment of criminals.
범죄 통제 모델은 정의가 주로 공공의 안전과 범죄자에 대한 효율적인 유죄 판결 및 엄격한 처벌에 기반한다고 믿는다.
Crime control advocates side with law enforcement agents in assuming that most people charged with a crime are factually guilty.
범죄 통제 옹호자들은 범죄 혐의로 기소된 사람들의 대부분이 사실상 유죄라고 가정하는 데서 법 집행 요원의 편에 선다.
The crime control philosophy of justice is widely associated with a law and order perspective and zero tolerance policies.
범죄 통제의 사법 철학은 ‘법과 질서’의 관점 및 ‘무관용’ 정책과 널리 연관되어 있다.
In contrast, the due process model is based on the rights of the accused and on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the idea that a person must be considered innocent of charges until proven guilty in a court of law).
이와 대조적으로 적법 절차 모델은 피고인의 권리와 ‘무죄 추정의 원칙’(즉, 개인은 법정에서 유죄가 입증될 때까지 혐의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근거한다.
Those accused of a crime should be entitled to full legal representation and a fair trial.
범죄 혐의로 기소된 사람은 충분한 법적 대리와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부여되어야 한다.
The justice system must adhere to fair and open procedures to safeguard against abuses of power by justice system officials, which can result in horrific forms of injustice, such as the wrongful conviction of innocent people.
사법 시스템은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고수하여 무고한 사람이 부당한 유죄 판결을 받는 것과 같은 끔찍한 형태의 불공정을 초래할 수 있는 사법 시스템 관계자의 권력 악용을 막아야 한다.
→ Herbert L. Packer proposed two justice models: the crime control model, which supports public safety and strict punishment of the guilty, and the due process model, which focuses on fair treatment and avoids unjust convictions.
Herbert L. Packer가 제시한 두 가지 사법 모델은, 공공의 안전과 유죄인 자들에 대한 엄격한 처벌을 지지하는 범죄 통제 모델, 그리고 공정한 대우를 보장하고 부당한 유죄 판결을 방지하는 적법 절차 모델이다.
41 생물체의 공통적인 생존 원리
In nature, it is common to find that organisms instinctively take actions that aim to achieve one of four essential objectives for survival: managing resources, particularly sources of energy; protecting themselves from environmental forces; forming and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defending themselves against threats from other entities.
자연에서 유기체가 생존을 위한 네 가지 필수적인 목표들, 즉 자원, 특히 에너지원을 관리하며,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다른 것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다른 개체로부터 오는 위협에 대응하여 자신을 방어하는 것 중에서 하나를 성취하려는 목적으로 본능적으로 행동을 취하는 걸 보는 것은 흔한 일이다.
Furthermore, many living organisms have similar functional components or organs, such as those for sensing, movement, and adhesion, that contribute to these basic objectives.
더욱이, 많은 생물체는 감각, 운동, 부착을 위한 것과 같은 유사한 기능적 구성 요소 또는 기관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이러한 필수적인 목표에 기여한다.
This similarity among organisms allows for the comparison of different organisms, regardless of their habitat or specific methods of achieving these objectives.
유기체 간의 이러한 유사성을 통해 서식지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관계없이 서로 다른 유기체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most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adaptations observed in living organisms are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four basic objectives, it is possible to compare solutions across different entities that are otherwise dissimilar.
생물체에서 관찰되는 대부분의 생리적, 행동적 적응은 네 가지 필수적인 목표 중 하나 이상과 관련이 있으므로 그 밖의 점에서는 비슷하지 않은 여러 개체에 걸친 해결책을 비교할 수 있다.
As an example, we can compare the water conservation strategies of the saguaro cactus (Carnegiea gigantea) and the dromedary camel, despite the two organisms not being closely related.
한 예로써, 두 유기체가 밀접한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와로 선인장(Carnegiea gigantea)과 단봉낙타의 물 보존 전략을 비교할 수 있다.
This comparison may reveal common principles.
이러한 비교는 공통 원리를 드러낼 수 있다.
In fact, the more dissimilar the entities being compared, the more likely it is that common principles will be identified, if they indeed exist.
사실, 비교되고 있는 개체가 더 다를수록 공통 원리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발견될 가능성이 더 커진다.
These common principles can then be confidently applied to human systems due to their generalizability.
그러면 이러한 공통 원리는 그 일반화 가능성으로 인해 인간 시스템에도 자신 있게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potential application that could be influenced by the water-conserving strategies of the dromedary and the saguaro is the development of water-efficient systems in vehicle manufacturing, irrigation, or sustainable architecture.
예를 들어, 단봉낙타와 사와로 선인장의 물 보존 전략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잠재적인 한 가지 응용 분야는 차량 제조, 관개 또는 지속 가능한 건축에서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의 개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