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5회
18 자원봉사 교사 모집 공고문 웹 게시 승인 요청
Dear Hansfield Education College,
Hansfield 교육 대학 귀중
My name is Amelia Watson, and I am one of the teachers for Hansfield Community Study Class.
제 이름은 Amelia Watson이며, 저는 Hansfield Community Study Class의 교사 중 한 명입니다.
Our program provides academic support to underprivilege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struggling academically.
저희 프로그램은 학업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경제적으로 혜택을 못 받는 중학생들에게 학업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We help our students overcome their educational challenges and achieve their full potential.
저희는 저희 학생들이 교육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돕습니다.
However, we are currently facing difficulties due to a shortage of teachers.
하지만 저희는 현재 교사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Therefore, we are reaching out to your respected academic institution for help.
따라서 저희는 훌륭한 귀 교육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고자 합니다.
We believe your students possess the skills and dedication needed to make a meaningful impact.
저희는 귀교의 학생들이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는 데 필요한 기술과 헌신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We would like to request your approval to post the attached Volunteer Teacher Recruitment Notice on your school’s web bulletin board.
저희는 첨부된 자원봉사 교사 모집 공고를 귀교의 웹 게시판에 게시할 수 있도록 귀하의 승인을 요청하고자 합니다.
This would greatly help us attract the support we need and provide your students with valuable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이는 저희가 필요한 지원을 유치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며 귀교의 학생들에게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We look forward to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ng with your institution to support our students.
저희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귀 기관과의 협력 가능성을 기대합니다.
Sincerely, Amelia Watson
Amelia Watson 드림
19 크리스마스 가게 장식
Strolling along First Avenue to open her cafe, Callie hummed some carols.
카페 문을 열기 위해 First Avenue를 따라 한가롭게 걸으며 Callie는 캐럴 몇 곡을 흥얼거렸다.
The impressive window displays overflowed with red, green, silver, gold, and white.
멋진 쇼윈도의 상품 진열은 빨강, 초록, 은색, 금색, 흰색으로 넘쳐났다.
They sparkled with bursts of light, from delicate fairy strands to dazzling snowflake-shaped bulbs.
그것들은 작은 전구를 연결해 주는 가느다란 줄에서 눈부신 눈송이 모양의 전구에 이르기까지 빛의 흘러넘침으로 반짝였다.
She could feel the festive holiday spirit on her way to work.
출근길에 그녀는 흥겨운 휴일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다.
Her fellow business owners must have eaten a lot of iced sugar cookies to manage all this decorating over the Thanksgiving weekend.
그녀의 동료 가게 주인들은 추수감사절 주말 동안 이 모든 장식을 어떻게든 해내기 위해 아이싱 슈가 쿠키를 많이 먹었음에 틀림없다.
Callie suddenly realized her cafe must be the only shop not decked out for the holidays.
Callie는 자신의 카페만 휴일을 위해 장식하지 않은 유일한 매장임에 틀림없다는 사실을 갑자기 깨달았다.
She intuitively knew something was wrong.
그녀는 직감적으로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She had chosen to spend Thanksgiving with her family and had really enjoyed it, but that put her behind.
그녀는 가족과 함께 추수감사절을 보내기로 결정했었고 정말 즐겁게 보냈지만, 그 때문에 그녀는 뒤처졌다.
The First Avenue Business Association required stores to be decorated by the end of November.
First Avenue 가게 협회에서 11월 말까지 매장을 장식할 것을 요구했다.
That gave her three days, which was not plenty of time.
그렇다면 그녀에게 3일이 주어졌다는 것인데, 그것은 충분한 시간이 아니었다.
Her steps to the cafe quickened.
카페로 향하는 그녀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Her mind raced with thoughts of everything she needed to do.
그녀의 마음은 그녀가 해야 하는 모든 일들에 관한 생각으로 바쁘게 돌아갔다.
20 민주적 과정을 거친 AI 개발
In a decent society, all members should have a say about what type of AI is being developed and what services are being offered.
훌륭한 사회에서는 모든 구성원이 어떤 유형의 AI가 개발되고 있고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해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
The p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AI must be democratised so that all groups in society are consulted and represented, avoiding exclusion.
AI의 생산과 실행은 사회의 모든 집단이 고려되고 대변되어 배제를 피할 수 있도록 민주화되어야 한다.
This element of democracy entails two aspects: everyone is involved and everyone is represented.
이러한 민주주의의 요소는 두 가지 측면을 수반하는데, 즉 모든 사람이 포함되고 모든 사람이 대변된다는 것이다.
The latter aspect highlights that when fairness fails, there is a risk of discrimination.
후자의 측면은 공정성이 부족할 때 차별의 위험이 있다는 점을 부각한다.
The history of AI is full of examples of how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by white middle-class men, thereby excluding people of colour and minority communities.
AI의 역사는 어떻게 기술이 백인 중산층 남성에 의해 개발되고 있는 중이며 그로 인해 유색인과 소수집단을 배제하는지의 예로 가득 차 있다.
Wright, in one of his books, connects democracy and freedom in order to reflect the value of self-determination.
Wright는 그의 저서 중 하나에서 자기 결정의 가치를 반영하기 위해 민주주의와 자유를 연결한다.
In this sense, members of society should be given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meaningfully in decisions that affect their lives.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 구성원들은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의미 있게 참여할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
As AI becomes more omnipresent, people should have a say about this.
AI가 보다 더 어디에나 있게 될 때, 사람들은 이에 대해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
Principles such as fairnes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are key when we want technological development not only to represent the people but also to guarantee control by the people.
공정성, 책임성, 투명성과 같은 원칙은, 기술 개발이 사람을 대변할 뿐만 아니라 사람에 의한 통제도 보장하기를 원할 때 가장 중요하다.
21 사회적 관계를 맺고 정보를 교환하려는 인간의 본능
The answer to why using social sites is enjoyable and popular has deep behavioral and historical roots.
소셜 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왜 즐겁고 인기 있는지에 대한 대답은 행동적이고 역사적인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The first is that as primates, humans are inherently social animals.
첫 번째는 영장류로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동물이라는 점이다.
Primate brains appear to have evolved specifically to process social information, to enable primates to function more effectively in groups.
영장류의 두뇌는 특별히 사회적 정보를 처리하도록, 즉 영장류가 집단에서 더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진화해 온 것으로 보인다.
Second, one of the main ways humans assess and maintain their positions within social networks is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nd about others (i.e., gossip).
두 번째, 인간이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평가하고 유지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는 다른 사람들과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 대해 정보를 교환하는 것(즉, 수다)이다.
Through the exchange of gossip, individuals can advertise their status within the group and demonstrate their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suitability as an ally.
수다를 주고받는 것을 통해 개인은 집단 내에서 자신의 지위를 알리고 자신의 전문 지식, 신뢰성, 협력자로서의 적합성을 입증할 수 있다.
Humans are, in short, built to form networks an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s.
요컨대,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망을 형성하고 정보를 교환하도록 만들어졌다.
The third component, media technology, enables literate humans to extend this exchange of information across time and space to include people who are not physically present.
세 번째 요소인 미디어 기술은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인간이 이러한 정보 교환을 시간과 공간을 가로질러 물리적으로 존재하지(같이 있지) 않는 사람들을 포함하도록 확장할 수 있게 해 준다.
The Internet, with its instant, global reach, does this effectively, allowing users to share information with unprecedented ease.
인터넷은 즉각적이며 전 세계적인 도달 범위를 가지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가 전례 없이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허용한다.
But it is not the first technology to have supported such a social-media environment; it is merely the most recent, efficient way that humans have found to scratch a prehistoric itch.
그러나 인터넷은 그러한 소셜 미디어 환경을 지원한 최초의 기술은 아니며, 그것은 인류가 선사 시대의 가려움을 긁어주기 위해 발견한 가장 최근의 효율적인 방법일 뿐이다.
22 디지털 기기 사용
Beyond a certain point, the use of digital devices correlates with lower learning outcomes.
특정 시점을 넘어서면 디지털 기기 사용은 학습 성과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다.
Despite the lack of conclusive evidence on this correlation, it is reasonable to limit time on digital technology, not least to ensure that future generations can still enjoy activities that have been valued by human beings for centuries and which will help them value and continue human heritage and culture into the far future.
이러한 상관관계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술 (사용) 시간을 제한하는 것은 합리적인데, 특히 수 세기 동안 인류가 소중히 여겨왔고, 그들이 인간의 유산과 문화를 먼 미래에도 소중히 여기고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활동을 미래 세대가 여전히 즐길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While the exposure to technology has become a part of current society that education systems cannot ignore, learning activities that do not involve digital technology should remain an important part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students’ formal education.
기술에 대한 노출은 교육 시스템이 무시할 수 없는 현대 사회의 일부가 되었지만, 디지털 기술을 포함하지 않는 학습 활동은 아이들의 발달과 학생들의 정규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
Calibrating the right approach and technology use to the right learners will be key.
적합한 접근 방식과 기술 사용을 적합한 학습자에게 정확히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Teachers should not be expected to be constantly in front of their computer screens analysing data or responding to management or parental requests.
교사가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관리자나 학부모의 요청에 응대하면서 컴퓨터 화면 앞에서 계속 있기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23 놀이의 모호한 성격
We all play occasionally, and we all know what playing feels like.
우리 모두는 때때로 놀이를 하며, 우리 모두는 놀이를 하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알고 있다.
But when it comes to making theoretical statements about what play is, we fall into silliness.
하지만 놀이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론적인 서술을 하는 것에 관해서라면, 우리는 바보 같아진다.
There is little agreement among us, and much ambiguity.
우리 사이에는 (의견) 일치가 거의 없고 모호함이 많다.
Some of the most outstanding scholars of children’s play have been concerned by this ambiguity.
아이들의 놀이를 연구하는 가장 뛰어난 학자들 중 일부는 이러한 모호함에 관심을 보여 왔다.
For example, classical scholar Mihail Spariosu calls play “amphibolous,” which means it goes in two directions at once and is not clear.
예를 들어, 고전학자 Mihail Spariosu는 놀이가 ‘양의적(amphibolous)’ 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한 번에 두 방향으로 가고 명확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Victor Turner, the anthropologist, calls play “liminal” or “liminoid,” meaning that it occupies a threshold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as if, for example, it were on the beach between the land and the sea.
인류학자 Victor Turner는 놀이가 ‘경계적(liminal)’ 또는 ‘준경계적(liminoid)’이라고 말하는데, 예를 들어 그것이 마치 육지와 바다 사이의 해변에 있는 것처럼 현실과 비현실 사이의 경계에 있다는 의미이다.
Geoffrey Bateson, biologist, suggests that play is a paradox because it both is and is not what it appears to be.
생물학자 Geoffrey Bateson은 놀이가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면서 아니기도 하기 때문에 역설이라고 말한다.
Animals at play bite each other playfully, knowing that the playful nip implies a bite, but not what a bite implies.
놀이를 하는 동물들은 장난스럽게 서로를 무는데, 장난스럽게 살짝 무는 것이 무는 행위를 의미하지만 무는 행위가 의미하는 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In turn, Richard Schechner, theater scholar, suggests that a playful nip is not only not a bite, it is also not not a bite.
이에 이어, 연극학자 Richard Schechner는 장난스럽게 살짝 무는 것은 무는 행위가 아닐 뿐만 아니라, 무는 행위가 아닌 것이 ‘아니기’도 하다고 말한다.
That is, it is a positive, the sum of two negatives.
즉, 그것은 긍정, 곧 두 부정의 합이다.
24 선택과 자유의 관계와 의미
Nobel Prize-winning economist and philosopher Amartya Sen has examined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freedom and autonomy and the conditions that promote it.
노벨상을 수상한 경제학자이자 철학자인 Amartya Sen은 자유와 자율의 본질과 중요성, 그리고 이를 촉진하는 상황에 대해 고찰해 왔다.
In his book Development as Freedom he distinguishes the importance of choice, in and of itself, from the functional role it plays in our lives.
자신의 저서 Development as Freedom에서 그는 그 자체로의 선택의 중요성과 그것(선택)이 우리의 삶에서 수행하는 기능적 역할을 구분한다.
He suggests that instead of being obsessed with freedom of choice, we should ask ourselves whether it nourishes us or deprives us, whether it makes us mobile or locks us in, whether it enhances self-respect or diminishes it, and whether it enables us to participate in our communities or prevents us from doing so.
그는 선택의 자유에 집착하는 대신에, 그것이 우리를 육성하는지 아니면 우리에게서 박탈하는지, 그것이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지 아니면 우리를 가두는지, 그것이 자존감을 높여주는지 아니면 떨어뜨리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 공동체에 우리가 참가할 수 있게 하는지 아니면 우리가 그렇게 하는 것을 막는지 우리 자신에게 질문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Freedom is essential to self-respect, public participation, mobility, and nourishment, but not all choice enhances freedom.
자유는 자존감, 공공 참여, 이동성, 육성에 필수적이지만 모든 선택이 자유를 향상하는 것은 아니다.
In particular, increased choice among goods and services may contribute little or nothing to the kind of freedom that counts.
특히, 상품과 서비스 사이의 늘어난 선택은 중요한 종류의 자유에 거의 또는 전혀 기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deed, it may impair freedom by taking time and energy we’d be better off devoting to other matters.
사실, 그것은 다른 일에 쏟는 게 더 나을 시간과 에너지를 뺏음으로써 자유를 약화시킬 수도 있다.
26 Mary Kenneth Keller의 생애
Mary Kenneth Keller was born in Ohio in 1913.
Mary Kenneth Keller는 1913년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났다.
At 18, she entered a Roman Catholic religious institute and became a sister.
18세에 그녀는 로마 가톨릭 종교 시설에 입회하여 수녀가 되었다.
She graduated from DePaul University in 1943 with a bachelor’s degree in Mathematical Sciences, which enabled her to teach high school.
그녀는 1943년에 수리 과학 학사 학위를 받고 DePaul University를 졸업했으며, 그 학위로 그녀는 고등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었다.
As a high school math teacher, Keller attended a computer education program at Dartmouth College, where she recognized the potential for computers to promote education.
고등학교 수학 교사로서 Keller는 Dartmouth College에서 컴퓨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거기서 그녀는 컴퓨터가 교육을 발전 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깨달았다.
She pursued her Ph.D.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and became the first woman in the U.S. to earn a Ph.D. in Computer Science at 51.
그녀는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51세에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미국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She founded and directed the computer science department at Clarke University, advocating for women in the field by allowing student parents to bring babies to class and providing nursing facilities.
그녀는 Clarke University에 컴퓨터 과학과를 설립하고 총괄했으며, 부모인 학생이 아기를 데리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돌봄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이 분야의 여성들을 지원했다.
She also helped establish the Association of Small Computer Users in Education, which still promotes uses of technology in education.
또한 그녀는 Small Computer Users in Education 협회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는데, 이 협회는 지금도 교육 분야에서 기술 활용을 장려하고 있다.
She died in 1985, leaving a lasting legacy at Clarke University, where the computer lab and a scholarship are named in her honor.
그녀는 Clarke University에 영원한 유산을 남긴 채 1985년에 세상을 떠났는데 이곳에는 컴퓨터실과 장학금이 그녀를 기념하여 명명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