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5회
29 인식 능력을 가진 종
Species that have the power of perception can learn from experience.
인식 능력을 가진 종은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다.
This increases their ability to mount an effective immediate response and improves the chances of doing things better next time.
이것은 효과적인 즉각적 반응을 시작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고 다음에 더 잘할 가능성을 높여 준다.
It also carries the potential to increase distress and anxiety if they learn that they cannot cope.
그것은 또한 그것들이 대처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 고통과 불안을 증가시킬 가능성도 가진다.
Species who demonstrate the property of mental formulation, the ability to create mental pictures (or diagrams) that integrate and interpret complex experiences, sensations, and emotions, are even better equipped to deal with challenges because they do more than recognise the associations between cause and effect; they can understand them.
정신적 체계화, 즉 복잡한 경험, 감각 및 감정을 통합하고 해석하는 정신적 그림(또는 도식)을 만드는 능력의 특성을 보이는 종은 도전에 대처하는 데 훨씬 더 잘 준비되어 있는데, 이는 그들이 단순히 원인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인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gives them the potential to communicate their understanding with others.
특성 때문에 그들은 자신이 이해한 것을 다른 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All species with the power of perception, whether or not they can demonstrate the capacity for mental formulation, have the ability to make decisions, based on experience, as to how best to cope with challenge.
인식 능력을 가진 모든 종은, 정신적 체계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든 없든, 경험을 바탕으로 도전에 가장 잘 대처하는 방법에 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For all these species, our moral responsibility must extend to provision of a fundamental freedom best expressed as freedom of action to engage in appropriate coping behaviour.
이러한 모든 종에 대해 우리의 도덕적 책임은 적절한 대처 행동을 할 수 있는 행동의 자유로 가장 잘 표현되는 근본적인 자유의 제공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30 생물학적 진화에서의 최적화
It’s worth it to dive deeper into the idea of optimization in biological evolution.
생물학적 진화에서 최적화 개념을 더 깊이 조사하는 것은 그만한 가치가 있다.
If evolution would eventually produce organisms perfectly optimized to their environment, then why do species go extinct?
진화가 환경에 완벽하게 최적화된 유기체를 결국 만들어 내게 될 거라면 왜 종은 사멸하는가?
Although there are multiple reasons for extinction of species, one is an inability to adapt when the environment changes.
종의 사멸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중) 하나는 환경이 변화할 때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Say a species of insect has developed a feature that allows it to be the only one to drink the nectar of a certain flower.
어느 곤충 종이 스스로를 특정한 꽃의 꿀을 먹을 수 있는 유일한 종이 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발달시켰다고 가정해 보자.
This strategy is so successful that the insect consumes nothing else.
이 전략이 매우 성공적이어서 그 곤충은 다른 어떤 것도 먹지 않는다.
If that flower dies off because it can’t survive the increasing global temperature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n that insect species will very likely die off as well.
만약 그 꽃이 기후 변화로 인해 생기는 지구의 온도 상승을 견디지 못해 차례로 죽어 간다면, 그 곤충 종 역시 차례로 죽어 갈 가능성이 매우 크다.
When the environment is stable, being the only one to access a food source is great — you have no competition.
환경이 안정적일 때는 한 먹이원을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종인 것이 경쟁이 없기에 좋은 일이다.
But when the environment changes, that optimization becomes a liability.
하지만 환경이 변하면 그러한 최적화는 불이익이 된다.
31 팀의 성과에 도움이 되는 솔직함
Research shows that 72 percent of team members avoid conflict.
연구에 따르면 팀원 중 72%가 갈등을 피한다고 한다.
Too many teams speak critically in separate private conversations.
너무 많은 팀이 별도의 사적인 대화에서 비판적으로 이야기한다.
The “meeting that takes place after the meeting” is a real source of frankness and transparency — but it should happen in the meeting itself.
‘회의 후에 이루어지는 회의’는 솔직함과 투명성의 진정한 원천이지만, 그것은 본회의 자체에서 일어나야 한다.
The problem can go as far as the rampant talking behind each other’s backs that we were warned about as bad form when we were in the schoolyard, yet is still present in some of the most prestigious corridors of power.
그 문제는 우리가 학교에 다니던 시절에 나쁜 예절이라고 경고받았던 만연한 뒷담화까지 갈 수 있는데, 이는 여전히 일부 가장 명성이 있는 권력의 복도에 존재한다.
Senior leaders who permit back-channel conversation are allowing what our research shows is the most draining behavior of high-performing teams and causes the greatest erosion to shareholder value.
비공식 대화를 허용하는 고위 리더는 우리의 연구가 보여 주듯 성과가 우수한 팀의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모하는 행동에 해당하는 것과 주주 가치를 가장 많이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Teamship is a shift to a social contract to care enough about each other’s success that we withhold nothing from the team that might stand in the way of the best solutions.
팀워크는 서로의 성공에 충분히 관심을 기울여 최상의 해결책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어떤 것도 팀으로부터 보류하지 않는 사회적 계약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In our diagnostic, the average team is a 2.4 on a 5-point scale in frankness.
우리의 진단 결과, 평균적인 팀은 솔직함에서 5점 만점에 2.4점을 받았다.
Using high-return practices to create psychological safety that allows them to stress-test each other’s ideas openly in service of the mission, teams can reach 4.5 on that 5-point scale for frankness in just six months.
임무 수행에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드러내 놓고 스트레스 테스트하도록(검증한다는 의미임) 해 주는 심리적 안전감을 조성하기 위해 높은 성과를 가져오는 관행을 사용하면 팀은 단 6개월 만에 솔직함에서 그 5점 만점에 4.5점에 도달할 수 있다.
32 근본적인 분리로서의 사생활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privacy figures almost obsessively in the media and inhabits an important place in national consciousness.
21세기 초, 프라이버시는 미디어에서 거의 강박적으로 두드러지며 국민 의식의 중요한 위치에 존재한다.
My favorite symptom: I’ve noticed recently that in upscale hotels the tags that you put on your door to keep the maid from bothering you no longer read “Do Not Disturb.”
내가 가장 좋아하는 징후는 다음과 같다. 고급 호텔에서는 객실 정비 직원이 투숙자를 귀찮게 하는 것을 막기 위해 문에 붙이는 태그에 더 이상 “방해하지 마시오.”라고 적혀 있지 않다는 사실을 최근 발견했다.
Instead, they say “Privacy Please.”
대신 “부디 프라이버시를”이라고 적혀 있다.
Condensing the force of a negative imperative into a single powerful noun that needs no verb, the new phrase suggests repudiation, rejection of other people, a Greta Garbo stance: I want to be alone.
부정 명령문의 힘을 동사가 필요 없는 하나의 강력한 명사로 압축하면서, 그 새로운 문구는 거부, 다른 사람에 대한 거절, ‘나는 혼자 있고 싶다’라는 Greta Garbo의 태도를 암시한다.
It eliminates the idea of disturbance, some local and limited interference with serenity or pleasure, only to indicate more categorical exclusion of everyone and everything outside the door.
그것은 방해라는 개념, 평온함이나 즐거움에 대한 어떤 국지적이며 제한된 간섭이라는 개념을 제거하고, 결국 문밖의 모든 사람과 모든 것에 대한 더 단호한 배제를 나타낼 따름이다.
The nominally more polite formulation (“Please”) in fact conveys greater insistence and a more determined will to be left alone.
명목상으로 더 정중한 그 표현(‘부디’)은 사실상 혼자 있고 싶다는 더 강한 주장과 더 단호한 의지를 전달한다.
“Do Not Disturb” hints a desire for noninterference with some specific activity (sleeping, going through papers) for some limited space of time.
“방해하지 마시오.”라는 표현은 제한된 일정 시간 동안 어떤 특정 활동(수면, 서류 검토 등)에 대한 간섭을 받지 않기를 바라는 열망을 암시한다.
“Privacy Please” imparts a wish for fundamental separation.
“부디 프라이버시를”이라는 표현은 근본적인 분리에 대한 소망을 알린다.
33 책을 다시 읽는 이유
Each individual may have a different reason from any other individual for rereading a given work.
각 개인은 특정 작품을 다시 읽는 데 대하여 어떤 다른 사람과도 다른 이유를 가질 수 있다.
You read a C. S. Lewis children’s book because of the movie, or because you suddenly noticed it in the bookcase, or because your niece mentioned that she was enjoying the book.
여러분은 C. S. Lewis의 동화책을, 영화 때문이거나 갑자기 책장에서 그것을 보았거나, 혹은 조카딸이 그 책을 재미있게 읽고 있다고 말했기 때문에 읽는다.
You return to Gone with the Wind because some green curtains reminded you of Scarlett O’Hara.
어떤 녹색 커튼이 여러분에게 Scarlett O’Hara를 떠올리게 해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다시 본다.
The immediate causes, or pretexts, for rereading are infinite — like the possible rewards.
책을 다시 읽게 되는 직접적인 원인, 즉 구실은 얻을 수 있는 보상처럼 무한하다.
Yet those rewards generally cluster around the promise of change or of stability.
그러나 그러한 보상은 일반적으로 변화나 안정에 대한 가능성을 중심으로 모인다.
The green curtains will be there every time you return to the novel; the dress Scarlett makes out of them will never change; what your imagination makes of them may shift repeatedly.
소설을 다시 읽을 때마다 녹색 커튼은 그 자리에 있을 것이고, Scarlett이 그 커튼으로 만든 드레스는 절대 변하지 않을 것이나, 여러분들의 상상이 그것들을 가지고 만들어 내는 것은 반복적으로 변할 수 있다.
Those curtains thus illustrate the double promise that rereading holds, of sameness and of difference.
따라서 그 커튼은 같음과 다름에 대한 다시 읽기가 지닌 이중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
34 구체적 사실에 대한 인식
Aristotle tells us that “in matters concerning action and questions of what is beneficial, the agent must consider on each different occasion what the situation demands, just as in medicine and in navigation.”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에게 “행동에 관한 문제와 무엇이 유익한지에 대한 질문에서 행위자는 의학과 항해에서처럼 각기 다른 경우에 상황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려해야 한다.”라고 말한다.
Figuring out what is appropriate in a particular situation rests on moral perception.
구체적인 상황에서 무엇이 적절한지 파악하는 것은 ‘도덕적 인식’에 달려 있다.
“A man of practical wisdom,” argued Aristotle, must “take cognizance of particulars.”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바에 따르면, “구체적인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Particular facts are the “starting points” for our knowledge of “the goal of action” and, to deliberate and choose well, “one must have perception of particular facts.”
구체적인 사실은 “행동의 목표”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위한 “출발점”이며, 잘 숙고하고 선택하기 위해서, “우리는 구체적인 사실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한다.”
Every day in court, a judge had to sort through a deluge of information about the lives of the defendants and the nature of their misdeeds. 매일 법정에서 어느 판사는 피고인의 삶과 그들의 범죄의 본질에 대한 쇄도하는 정보를 분류해야 했다.
To determine motives, to parcel out responsibility, to understand how this crime was different from or similar to others, to determine the future danger to the community — these tasks demanded an ability to pick what was significant out of a lot of background noise.
동기를 파악하고, 책임을 분담시키며, 이 범죄가 다른 것과 어떻게 다르거나 유사한지 이해하고, 향후 공동체에 미칠 위험을 알아내는 이러한 작업은 수많은 배경 소음 중에서 중요한 것을 골라낼 수 있는 능력을 요구했다.
These tasks demanded an ability to see the nuance — the gray — of a particular situation, and not simply the black-and-white of the legal and the illegal.
이러한 작업은 단순히 합법과 불법의 흑백이 아니라 구체적인 상황의 미묘한 차이, 즉 회색을 볼 수 있는 능력을 요구했다.
35 전투를 위한 신체 단련
In the twentieth century, movement moved further from leisure when it moved toward fitness for combat.
20세기에 들어 운동은 전투를 위한 신체 단련 쪽으로 이동하면서 여가로부터 더욱 멀어졌다.
Of course, the idea wasn’t new; soldiers have been battle training for as long as there have been battles (think of Spartan races and Viking workouts).
물론 이 아이디어가 새로운 것은 아니었는데, 군인들은 전투가 있었던 만큼이나 오랫동안 전투 훈련을 해왔다(스파르타 경주와 바이킹의 체력 단련을 생각해 보라).
But the push to become fit for battle (hence the term fitness) seems to have reemerged globally when global wars did.
하지만 전투를 ‘위해’ 적합해지라는(fit) 압박은(따라서 ‘적합성(fitness)’이라 는 용어가 나옴) 세계 대전이 재등장했을 때 전 세계적으로 재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Exercises like Pilates have roots in this motivation.
필라테스와 같은 운동은 이러한 동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
During World War I, when German soldier Joseph Pilates was interned at the Isle of Man and needed a way to keep up his battle strength and agility, he found inspiration in the island’s cats.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병사 Joseph Pilates가 Isle of Man에 억류되어 전투력과 민첩성을 유지할 방법이 필요했을 때, 이 섬의 고양이에게서 영감을 얻었다.
After mimicking the cats’ stretches and utilizing his hospital bed to intensify them, he succeeded, and taught his eponymous workout to fellow war prisoners to improve their battle “fitness,” too.
고양이들의 스트레칭을 모방하고 그것을 강화하기 위해 병원 침대를 활용한 후, 그는 성공했고 동료 포로들에게도 전투 ‘적합성’을 향상하기 위해 자신의 이름을 딴 운동을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