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수능완성 실전 모의고사 5회 한줄 해석 (35-42번)

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5회

36 오리 새끼들의 각인 능력

Newly hatched ducklings must have the ability to make out or tell apart the properties of things they see moving around them.
새로 부화한 오리 새끼들은 자기 주변에서 보이는 움직이는 사물의 특성을 파악하거나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에 틀림이 없다.
It turns out that ducklings can imprint not just on the first living creature they see moving, but on inanimate things as well.
오리 새끼들은 움직이는 것이 보이는 첫 생물뿐만 아니라 무생물도 마찬가지로 마음에 각인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Mallard ducklings, for example, can imprint on a pair of moving objects that are similar in shape or color.
예를 들어 청둥오리 새끼들은 모양이나 색상이 유사한 움직이는 한 쌍의 물체를 각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y imprint on the relational concept embodied by the objects.
구체적으로 말해 그것들은 물체에 의해 구현되는 관계적 개념을 각인한다.
So, if upon birth the ducklings see two moving red objects, they will later follow two objects of the same color (even if those latter objects are blue, not red), but not two objects of different colors.
따라서 오리 새끼들이 태어나자마자 움직이는 두 개의 빨간색 물체를 본다면 (나중에 보게 되는 물체가 빨간색이 아닌 파란색일지라도) 나중에 같은 색의 두 물체를 따라가지만 다른 색의 두 물체는 따라가지 않을 것이다.
In this case, the ducklings imprint on the idea of similarity.
이 경우 오리 새끼들은 유사성에 대한 ‘개념’을 각인한 것이다.
They also show the ability to discern dissimilarity.
그것들은 또한 ‘비’유사성을 식별하는 능력을 보여 준다.
If the first moving objects the ducklings see are, for example, a cube and a rectangular prism, they will recognize that the objects have different shapes and will later follow two objects that are different in shape (a pyramid and a cone, for example), but they will ignore two objects that have the same shape.
오리 새끼들이 처음 보는 움직이는 물체가 예를 들어 정육면체와 직사각형 프리즘인 경우, 그것들은 물체의 모양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나중에 모양이 다른 두 물체(예를 들어 피라미드와 원뿔)를 따라가겠지만 모양이 같은 두 물체는 무시할 것이다.

37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면역 체계

What happens if you don’t inoculate yourself against the specific stress you end up facing?
만약 여러분이 결국 직면하게 되는 특정 병에 대한 (예방) 접종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If, like with the yearly flu vaccine, the doctors and scientists select the wrong influenza viruses and load up the vaccine with a strain that only offers partial immunity to this year’s version of the flu, are you out of luck?
만약 예를 들어 연례적인 독감 백신에 있어서, 의사와 과학자들이 잘못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선택하고 올해 버전의 독감에 부분적인 면역력만 제공하는 균주로 백신을 가득 채운다면 여러분은 운이 없는 것일까?
Destined to get severely sick and possibly die?
심각한 질병에 걸려 어쩌면 죽을 운명일까?
Of course not. You have a backup: your immune system.
물론 그렇지 않다. 여러분에게는 지원 체제, 즉 면역 체계가 있다.
A healthy and strong immune system can fight many circulating viruses that it has little prior knowledge about or immunity to.
건강하고 강한 면역 체계는 그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그에 대항하는 면역력이 거의 없는 유행 중인 많은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다.
Our immune system has both a general response to any foreign invader and an adaptive response of specialized cells tuned toward targeting pathogens.
우리 면역 체계는 어떤 외래 침입자든지 그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과 병원균을 겨냥하는 쪽으로 조정된 특수화된 세포의 적응적인 반응을 둘 다 가지고 있다.
The adaptive response works better at ensuring safety from a specific virus, but the general response gives you a last line of defense in case of emergency.
적응 반응은 특정 바이러스로부터 안전을 보장하는 데 더 효과적이지만, 일반적인 반응은 유사시 마지막 방어선을 제공한다.
Within these two responses are a variety of methods to deal with whatever enters our body, even if we’ve never seen it before.
이 두 가지 반응 속에는 이전에 본 적이 없더라도 우리 몸에 들어오는 그 어떤 것도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38 헌법 개정

Just proposing an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requires approval from two-thirds of Congress or a convention proposed by two-thirds of the states, and then ratification requires approval from three-quarters of all states.
헌법 개정을 발의하는 데만 의회의 3분의 2의 승인, 혹은 모든 주의 3분의 2에서 제안한 헌법 (개정) 회의가 필요하며, 이후 비준에는 전체 주 4분의 3의 승인이 필요하다.
It’s nearly impossible to convince just over half of Congress to keep the government open.
정부를 계속 운영하도록 겨우 의회의 과반수를 설득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다.
And given how hard people fight over parking spots these days,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route seems a bit fraught.
그리고 요즘 사람들이 주차 공간을 두고 얼마나 치열하게 싸우는지를 고려하면 헌법 (개정) 회의의 길은 다소 걱정스러워 보인다.
But hey, the most recent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wasn’t added all that long ago.
하지만 여러분, 가장 최근의 헌법 수정 조항은 그다지 오래전에 추가된 것이 아니다.
In 1982, a sophomore at the University of Texas named Gregory Watson wrote a paper about a long-forgotten amendment originally drafted by James Madison in 1789 that would prevent members of Congress from raising their own salaries without first facing re-election.
1982년, Gregory Watson이라는 이름을 가진 Texas 대학교의 2학년생이 1789년 James Madison이 최초로 초안을 작성했으나 오랫동안 잊힌 개정안에 관한 리포트를 썼는데, 그것은 의원이 먼저 재선되지 않고는 자신의 급여를 올리지 못하게 할 내용이었다.
The amendment never went anywhere, and the paper got a C, but thanks to Greg, it was finally ratified a decade later.
이 수정안은 오랫동안 방치되었고, 리포트는 C를 받았지만, Greg 덕분에 10년 후 마침내 비준되었다.
Reach for the stars!
목표를 높게 설정하라!

39 스포츠 경기 이면의 맥락

The sports historian can (as can historians in other areas) explore beyond the obvious and add context to the events being described.
스포츠 역사가도 (다른 분야의 역사가와 마찬가지로) 뻔한 것 너머를 탐구하며, 서술되고 있는 사건에 맥락을 더할 수 있다.
Let us head south, to the picturesque Adelaide Oval in South Australia, where in 1932 a cricket Test match was played between Australia and England.
남쪽으로, 남호주의 그림 같은 Adelaide Oval 경기장으로 가 보자. 여기서 1932년 호주와 영국 간의 크리켓 Test 경기가 열렸다.
This was the infamous Bodyline Test match in which, to counter the brilliance of the Australian batsmen, the English bowlers operated a strategy of bowling short-pitched deliveries aimed at the batsmen’s bodies.
이것은 호주 타자들의 탁월한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 투수들이 타자들의 몸을 겨냥한 짧은 거리에서 튕기는 투구 전략을 구사한 악명 높은 Bodyline Test 경기였다.
This led to hostile crowd protests and a telegram from the Australian Cricket Board to Marylebone Cricket Club, complaining about the tactics.
이것은 적대적인 관중들의 항의와 호주 크리켓 위원회가 Marylebone 크리켓 클럽에 전보를 보내 이 전술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However, it was not just about cricket.
하지만 이것은 크리켓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었다.
The accusation of unsporting behaviour on the part of the English cricket team becomes much more meaningful when it is noted that there was an international economic depression at the time.
영국 크리켓팀의 정정당당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비난은 당시 국제적인 경제 불황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훨씬 더 의미심장해진다.
Many Australians, fearful that imperial preference was being undermined in trade negotiations, thought Britain was not ‘playing the gam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많은 호주인들은, 무역 협상에서 대영 제국 내 특혜 관세가 약화되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으므로, 영국이 정치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정정당당하게 행동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The Test series became a convenient avenue for unorganized public protest.
Test 시리즈는 조직화되지 않은 대중적 항의를 위한 편리한 수단이 되었다.

40 제삼자와 기술의 영향을 받는 공인

Dealing with differences has always been difficult with just two parties, but public figures must deal with constituents, sponsors, and observers.
이견을 다루는 것은 단 두 관계자만으로도 항상 어려웠지만, 공인은 유권자, 후원자, 그리고 관찰자를 다루어야만 한다.
These third parties will hold public figures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이러한 제삼자는 공인에게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울 것이다.
However, many of these constituents et al. did not witness the actual confrontations and negotiations that are central to making policy.
그러나 이러한 유권자 외 많은 사람들이 정책 결정의 중심이 되는 실제 대립과 협상을 목격하지 않았다.
When they are present to observe conflict between others, the nature of the conflict changes.
그들이 배석하여 다른 사람들 간의 갈등을 관찰할 때 갈등의 본질이 변화한다.
The presence of these third parties and any audience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face issues will dominate, and the social actors will make more dramatic efforts to support their preferred images and attack the images of others.
이러한 제삼자와 어떤 청중의 존재는 체면 문제가 지배적일 가능성을 높이고, 사회적 행위자는 자신의 선호되는 이미지를 지지하고 다른 사람의 이미지를 공격하기 위해 더욱 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They will become more animated and express more polarized views as communication yields to performance for an audience.
의사소통이 청중을 위한 보여 주기로 대체됨에 따라 그들은 더욱 활기차게 되고 더욱 양극화된 견해를 표현할 것이다.
Technology diminishes the likelihood that public figures can find a backstage as live coverage and dissemination of their communication has moved from C-SPAN to YouTube.
그들의 의사소통의 실시간 보도와 전파가 C-SPAN에서 YouTube로 옮겨 감에 따라, 기술은 공인이 무대 뒤를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인다.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political drama from governance.
정치 드라마와 통치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Indeed, it has become difficult to distinguish authentic events from staged performances.
사실, 실제 행사와 연출된 보여 주기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 The presence of third parties changes the nature of conflicts, prompting public figures to manipulate their images in order to better appeal to an audience, and technology-driven public disclosure results in uncertain authenticity.
제삼자의 존재가 갈등의 성격을 변화시켜 공인들이 청중에게 더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해 자신의 이미지를 조작하도록 하고, 기술이 주도하는 대중에의 노출은 불확실한 진실성으로 이어진다.

41 가정의 형성과 자동화된 행동

Within the act of creative play, fresh perceptions occur which enable a person to propose a new idea that can be put forward for exploration.
창의적인 놀이 행위 속에서 새로운 인식이 생겨, 사람에게 탐구를 위해 내세울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As the implications of this idea are unfolded, they are composed or put together with other familiar ideas.
이러한 아이디어의 예상되는 결과가 전개됨에 따라 그것은 다른 익숙한 생각과 함께 ‘구성되거나’ 조합된다.
Eventually the person supposes that these ideas are correct; in other words, he or she makes an assumption or hypothesis and then acts according to the notion that this is the way that things actually are.
결국 그 사람은 이러한 생각이 옳다고 ‘추정하는데’, 즉 가정이나 가설을 세운 다음 이것이 실제로 세상이 존재하는 방식이라는 생각에 따라 행동한다.
The movement from propose to compose to suppose enables everyday actions to be carried out with little or no conscious thought.
‘제시’에서 ‘구성’으로, 또 ‘추정’으로의 이동은 의식적인 사고가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일상적인 행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For example, if you suppose that a road is level, then you are disposed to walk accordingly.
예를 들어 도로가 평평하다고 ‘추정하면’ 여러분은 그에 따라 걷는 ‘성향이 생긴다’.
After a number of successful trips, you will be further disposed to take it for granted that the supposition or assumption that the road is level is indeed correct, and you will no longer have to think about this point.
많은 성공적인 이동 이후 도로가 평평하다는 추정이나 가정이 실제로 옳다는 것을 더욱 당연하게 여기는 성향이 생길 것이고, 더 이상 이 점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However, if some part of the road later turns out to be uneven so that you trip, you will be obliged to change your assumption and, through this, a disposition which is no longer appropriate.
그러나 나중에 도로의 일부가 고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어 넘어지게 되면, 여러분은 가정을 변경하고 이를 통해 이제 더는 적절하지 않은 성향도 변경해야 할 것이다.
Taking certain assumptions for granted may be a useful way of freeing the mind to consider other questions, provided it always remains sensitive to evidence that the assumption may, at times, be wrong.
특정한 가정을 당연히 여기는 것은, 그 가정이 때로는 틀릴 수도 있다는 증거에 대해 항상 민감한 상태로 있는 한, 다른 문제를 고려할 수 있도록 마음을 자유롭게 해 주는 유용한 방법일 수 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