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완성 영어 13강 한줄 해석

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13강 장문의 이해

기출 시와 일상 언어의 관계

People are correct when they feel that the written poetry of literate societies and the oral poetry of non-literate ones differ considerably from the everyday language spoken in the community.
사람들이 문자 기반 사회에서 문자로 쓰인 시와 문자 사용 이전의 사회에서 말로 전달되는 시가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일상의 언어와 상당히 다르다고 느낄 때 그들은 옳다.
Listeners not only accept the strange use of words, rearrangement of word order, assonance, alliteration, rhythm, rhyme, compression of thought, and so on — they actually expect to find these things in poetry and they are disappointed when poetry does not sound “poetic.”
감상자는 단어의 낯선 사용, 어순의 재배열, 유운(類韻), 두운(頭韻), 운율, 각운, 사고의 압축 등을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시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발견하기를 기대하며, 시가 ‘시적으로’ 들리지 않을 때는 실망한다.
But those who regard poetry as a different category of language altogether are deaf to the true achievements of the poet.
그러나 시를 완전히 다른 범주의 언어로 간주하는 사람들은 시인의 진정한 업적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Rather, the poet artfully manipulates the same raw materials of his language as are used in everyday speech; his skill is to find new possibilities in the resources already in the language.
오히려 시인은 일상의 말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언어의 원료를 능숙하게 조작하며, 그의 기술은 이미 언어에 있는 자원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내는 것이다.
In much the same way that people living at the seashore become so accustomed to the sound of waves that they no longer hear it, most of us have become insensitive to the flood tide of words, millions of them every day, that hit our eardrums.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이 파도 소리에 너무 익숙해져서 더는 그것을 듣지 못하는 것과 아주 마찬가지로, 우리 대부분은 고막을 때리는 매일 수백만에 이르는 홍수처럼 쏟아지는 단어에 무감각하게 되어 왔다.
One function of poetry is to depict the world with a fresh perception — to make it strange — so that we will listen to language once again.
시의 한 가지 기능은, 우리가 다시 한번 언어에 귀를 기울이게 되도록, 새로운 인식으로 세상을 묘사하는 것, 즉 세상을 낯설게 만드는 것이다.
But the successful poet never departs so far into the strange world of language that none of his listeners can follow him.
그러나 성공을 이룬 시인은 감상자 중 누구도 자신을 따라올 수 없을 정도로 낯선 언어의 세계로 결코 그렇게 멀리 떠나지 않는다.
He still remains the communicator, the man of speech.
그는 여전히 소통하는 사람, 즉 말하는 사람으로 남아 있다.

1-2 에너지 수요 정점의 원인과 관리 방안

What time of day do you shower or bathe? When are you most likely to cook your evening meal?
하루 중 어느 시간에 샤워나 목욕을 하는가? 언제 저녁 식사를 요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가?
Do you have a time of day when you sit down to watch television?
하루 중 앉아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간을 가지는가?
Geographers and sociologists have explored why it is that the time of these events coincides for many people.
지리학자와 사회학자들은 많은 사람에게서 이러한 일들의 시간대가 일치하는 것은 왜인지 탐구해 왔다.
Our lives at home are shaped by social norms, coordination with others and key events — in the language of time geography called ‘pacemakers’ — that shape when we do common activities.
가정에서의 우리의 삶은 사회적 규범, 타인과의 조율, 우리가 일상적인 활동을 언제 하는지를 구체화하는, 즉 시간 지리학 용어로 ‘페이스메이커’라고 불리는 주요 사건들에 의해 구체화된다.
Key pacemakers might be school opening hours, the scheduling of key television programmes, public transport operating hours and so on.
주요 페이스메이커는 등교 시간, 주요 텔레비전 프로그램 편성 시간, 대중교통 운행 시간 등일 수도 있을 것이다.
While this might seem quite obvious, its importance is often overlooked.
이는 매우 당연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그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The fact that we all follow similar domestic routines creates peaks in the demand for energy; providing for this effect is less efficient than if energy demand was the same across the day; therefore, any ‘flattening’ of such peaks through behaviour change could reduce carbon emissions.
우리가 모두 비슷한 가정 내 일과를 따른다는 사실 때문에 에너지 수요에 정점이 생기는데, 이러한 효과에 대응하는 것은 하루 종일 에너지 수요가 동일한 경우보다 덜 효율적이므로, 행동 변화를 통해 그러한 정점을 조금이라도 ‘평탄화’하면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Powells and colleagues used geographical theories of time and rhythm to explore which domestic activities are more flexible.
Powells와 동료들은 시간과 리듬에 관한 지리학적 이론을 사용하여 가정 내 어떤 활동이 더 유연한지 탐구했다.
They found that practices such as eating an evening meal, which requires coordination with more people and more ‘external’ forces, are less flexible than activities such as cleaning, which is often done by just one person.
그들은 저녁 식사를 하는 것처럼 더 많은 사람 및 더 많은 ‘외부’ 요인과의 조율이 필요한 행위가 단 한 사람이 하는 경우가 많은 청소와 같은 활동보다 유연성이 더 떨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y argue that effective interventions to encourage changes in behaviour so that people at home spread their energy use more widely across the day should therefore be targeted at these solitary practices rather than at more communal activities.
그러므로 그들의 주장은, 사람들이 가정에서 에너지 사용을 하루 전반에 걸쳐 더 널리 분산하도록 행동 변화를 장려하는 효과적인 개입은 더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활동보다는 이런 혼자 하는 행위를 표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3-5 꿈을 실현시켜 준 코칭

Michael, a vice president of a mid-sized IT company, was doing quite well and even had an IT consulting business on the side.
중견 IT 기업의 부사장인 Michael은 꽤 잘 나가고 있었고, 부업으로 IT 컨설팅 사업도 하고 있었다.
However, he was no longer feeling as excited or challenged as he once had.
그러나 그는 더 이상 한때 그랬던 것처럼 신나거나 도전적인 기분을 느끼지 못했다.
As part of a leadership program, his coach, Eddie, asked him to reflect and write a several-page personal vision about the life he dreamed he might have in 10–15 years.
리더십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그의 코치 Eddie는 그에게 10년에서 15년 후에 그가 가질 수도 있다고 꿈꾸는 삶에 대해 성찰하고 몇 페이지 정도의 개인 비전을 써 보라고 요청했다.
Surprisingly, Michael’s essay was all about a social advocacy movement in which he was involved.
놀랍게도 Michael의 글은 완전히 자신이 참여하는 사회적 의견 표명 운동에 관한 것이었다.
He mentioned nothing about his work, his relationships, or himself.
그는 자기 일이나 인간관계, 또는 자신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언급하지 않았다.
Eddie jokingly said that it was a great vision as long as Michael had a large trust fund.
Eddie는 Michael이 거액의 신탁 자금을 갖고 있기만 하다면 그것은 훌륭한 비전이라고 농담처럼 말했다.
Michael laughed and explained that he had worked his way from a very rough neighborhood, without really knowing what he wanted.
Michael은 웃으며 자신은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실제로 알지 못한 채 매우 거친 동네에서 자신의 길을 개척해 왔다고 설명했다.
Eddie worked with this discontented executive through a dozen reflective exercises, but what he kept hearing seemed more like an escape than a dream.
Eddie는 이 불만족한 임원과 함께 12회의 성찰 연습을 진행했지만, 계속 그가 들은 것은 꿈이라기보다 오히려 도피에 더 가까워 보였다.
Finally, he asked Michael to picture a Friday night, returning home and feeling really good about what he had accomplished.
마침내 그는 Michael에게 귀가하여 자신이 성취한 것에 대해 정말로 기분이 좋았던 한 금요일 저녁을 그려 보라고 요청했다.
Eddie then asked, “What happened this week that felt so good?”
그런 다음 Eddie는 “이번 주에 있었던 기분이 매우 좋았던 일이 무엇이었나요?”라고 물었다.
Michael immediately answered that he had helped a group of inner-city teens learn how the computer was a way to a better life, not some nerdy thing.
Michael은 컴퓨터가 공부만 하는 괴짜 같은 아이들이 하는 어떤 것이 아니라 어떻게 더 나은 삶으로 가는 수단인지 도심의 10대 한 무리가 배우도록 자신이 도왔던 일이라고 즉시 대답했다.
Eddie asked why Michael didn’t pursue that further.
Eddie는 왜 Michael이 그런 일을 더 추구하지 않는지 물었다.
Michael admitted that if he took a teaching job, he could not afford his current lifestyle, which included helping his ex-wife and daughter on a teacher’s salary.
Michael은 그가 가르치는 일을 택하면 교사의 월급으로 자신의 전처와 딸을 돕는 것을 포함하여 현재 자신의 생활 방식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했다.
As a coach, Eddie suggested a compromise.
코치로서 Eddie는 타협안을 제안했다.
He asked if Michael could spend a half-day a week doing a workshop at a local high school, or a day a month at a community college.
그는 Michael에게 워크숍을 진행하는 데 지역 고등학교에서 일주일에 반나절을 또는 지역 전문 대학에서 한 달에 하루를 쓸 수 있는지 물었다.
The idea immediately energized Michael. His eyes lit up and his energy returned.
그 아이디어는 즉시 Michael의 열정을 돋우었다. 그의 눈이 빛났고 그의 에너지가 돌아왔다.
Within four months, he was teaching special courses at a large, local community college.
4개월 만에 그는 규모가 큰 지역 전문대학에서 특별 과정을 가르치게 되었다.
In subsequent years, he began mentoring programs for “new-hires” at his company, and then in another company he joined.
그다음의 몇 년 동안 그는 자신의 회사에서 ‘신입 사원’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그 후 그가 합류한 다른 회사에서도 그 일을 계속했다.
He was doing his work and pursuing another dimension of his life’s dream!
그는 자신의 일을 하면서 또 다른 차원의 인생의 꿈을 추구하고 있었다!
This is how coaching with compassion can unlock a person’s energy and deep sense of purpose.
이것이 바로 연민 어린 코칭이 한 사람의 에너지와 깊은 목적의식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이다.
The coach, Eddie, helped this executive to find his true dream and make it happen.
코치 Eddie는 이 임원이 자신의 진정한 꿈을 찾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2026 수능완성 영어 13강 변형문제

2026 수능완성 영어 4강 한줄 해석

2026 수능완성 영어 8강 한줄 해석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