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2회
18 잡지 구독료 인상 안내
Dear Valued Subscribers, We hope this letter finds you well.
소중한 구독자님들께, 이 편지를 받으시는 여러분께서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We are writing to inform you of an upcoming change with Travel Compass Magazine, where we pride ourselves on providing fresh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various travel destinations.
저희는 여러분에게 Travel Compass Magazine의 곧 있을 변경 사항을 알려 드리고자 이 글을 쓰고 있는데, 이 잡지를 통해 다양한 여행지에 대한 신선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Our dedication to reliable and up-to-date content sets us apart in the travel magazine industry.
신뢰할 수 있는 최신 콘텐츠에 대한 저희의 헌신은 저희를 여행 잡지 산업에서 돋보이게 합니다.
However, due to ris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osts, we need to increase our subscription fees.
하지만, 생산 및 유통 비용 상승으로 인해 구독료를 인상해야 합니다.
We want to assure you that this decision was not made lightly.
저희는 이 결정이 가볍게 내려진 것이 아님을 확실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This adjustment will help us continue delivering the insightful travel tips, in-depth features, and exclusive content you enjoy.
이 조정은 저희가 여러분이 즐기는 식견 있는 여행 정보, 심층 특집 기사, 그리고 독점 콘텐츠를 계속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The new monthly subscription fee will take effect this September.
새로운 월간 구독료는 이번 9월부터 적용될 것입니다.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concerns, please contact our customer service team. Thank you for your understanding.
문의나 우려 사항이 있으시면, 저희 고객 서비스 팀에 연락해 주십시오.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incerely, Travel Compass Magazine
Travel Compass Magazine 드림
19 어린 시절 친구의 방문
The soft morning sun shone into Lila’s room, waking her up.
부드러운 아침 햇살이 Lila의 방으로 비쳐들며, 그녀를 깨웠다.
Today was finally the day she had been eagerly anticipating for weeks.
오늘은 마침내 그녀가 몇 주 동안 간절하게 기대해 온 날이었다.
Her childhood friend Alex, who had moved away years ago, was finally visiting.
수년 전에 이사를 간, 그녀의 어린 시절 친구 Alex가 마침내 방문할 예정이었다.
She could hardly contain her enthusiasm as she cleaned up the house and prepared a nice meal for the reunion.
그녀는 재회를 위해 집을 청소하고 근사한 식사를 준비하며 감격스러움을 참기 어려웠다.
She couldn’t wait to catch up on all the years they had been apart and find out what had happened in their lives.
그녀는 그들이 떨어져 있던 모든 세월 동안의 밀린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의 삶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아내고 싶어 견딜 수 없었다.
At last, the appointed hour arrived.
마침내, 약속한 시각이 도래했다.
But, the door bell was silent and there was no sign of Alex.
하지만, 초인종은 조용했고 Alex의 기색이 없었다.
Her calls went unanswered.
그녀의 전화에 대답이 없었다.
Then, a message from Alex arrived: an unexpected work emergency had kept him away, and he apologized sincerely.
그때, Alex에게서 문자가 도착했는데, 예상치 못한 긴급한 일이 그를 잡아 두었고, 진심으로 사과한다는 내용이었다.
Lila knew Alex wouldn’t have missed their reunion without a good reason.
Lila는 Alex가 그들의 재회를 타당한 이유 없이 놓치지 않았으리라는 것을 알았다.
She tried to calm herself by thinking she could set up another appointment with Alex, but despite her best efforts, she couldn’t shake the feeling of being let down that filled her.
그녀는 Alex와 또 다른 약속을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며 진정하려고 했지만,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채운 그 실망감을 떨쳐낼 수 없었다.
20 자신의 진실한 모습을 인정하는 것의 필요성
Our group behaviour may be defined by our different personalities, but much of the human instinct is towards uniformity.
우리의 집단행동은 우리의 서로 다른 개성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지만, 많은 인간 본능은 획일성을 향하여 있다.
Most of us are basically driven by the desire to fit in, and win acceptance from our peers.
우리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어울리려는, 그리고 동료로부터 인정을 얻으려는 욕구에 이끌린다.
Although we fulfil different roles in social situations, this is largely done unconsciously, and we don’t understand and harness these dynamics in a helpful way.
비록 우리가 사회 상황에서 서로 다른 역할들을 하지만, 이것은 대체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우리는 이러한 역학 관계를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이해하고 이용하지 않는다.
What’s more, our urge to belong risks being counterproductive, when it is actually our differences that define us and underpi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더욱이, 우리를 정의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을 뒷받침하는 것이 사실은 우리의 다름인데도, 소속되고자 하는 우리의 욕구는 역효과를 낳을 위험이 있다.
Rather than denying or masking our true personality, we should embrace and harness it.
우리의 진짜 개성을 부인하거나 가리기보다는,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이고 이용해야 한다.
If you’re a listener, then make the most of being someone with high levels of empathy; or if you’re one of the world’s kinases, then your ability to make people laugh is probably your superpower.
만약 여러분이 경청자라면, 그러면 높은 공감 수준을 가진 사람이라는 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혹은 여러분이 세상의 키나아제 중 한 명이라면, 그러면 사람들을 웃게 하는 여러분의 능력은 아마 여러분의 막강한 힘일 것이다.
We would work better as humans — in both social and professional contexts — if we allowed ourselves to be ourselves, and were more accepting of other people doing the same.
우리가 자신을 있는 그대로‘이도록’ 하고, 또 똑같이 하는 다른 사람들에 대해 더 수용적이라면, 사회적 그리고 직업적 상황 둘 다에서 인간으로서 더 잘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21 독서를 통한 경험
The books one most remembers deliver their quarry so wonderfully that those (fictional) lives actually exist in people’s minds alongside the “real” people one knows.
우리가 가장 기억하는 책은 그 추구 대상을 너무 훌륭하게 전달해서 그 (소설 속의) 삶이 우리가 아는 ‘실존하는’ 사람들과 나란히 사람들의 마음속에 실제로 존재한다.
Oedipus, Hamlet, Jane Eyre, Gatsby — among many others — occupy a good bit of human real estate, and some have claimed that we may know them better, more fully, than we know the “actual” people we know.
다른 많은 이들 중에서, 오이디푸스, 햄릿, 제인 에어, 개츠비는 인간의 정신적 영역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몇몇 사람들은 우리가 아는 ‘실제’ 사람을 우리가 아는 것 보다 그들을 더 잘, 더 완전히 알 수도 있다고 주장해 왔다.
Further: one actually sees the arc of those fictional lives:
더 나아가, 그러한 소설 속 삶의 궤적을 우리가 실제로 보게 된다.
Oedipus’s transition from proud King back to cast-out infant and closing as blind exile; Jane Eyre’s arc from unloved and abused child to wealthy, married woman.
즉 오이디푸스가 오만한 왕에서 다시 쫓겨난 영아로, 그리고 마지막에는 눈먼 유배자가 되는 전환, 제인 에어의 사랑받지 못하고 학대받던 아이에서 부유하고, 결혼한 여성으로의 궤적을 보게 된다.
This, we say, is the work of plot.
이것이 우리가 말하는 플롯의 역할이다.
But consider the true magic here: how all these transformations (which can take weeks, months, years, even a lifetime to happen, which therefore escape our vision, our knowing) are compressed, contained, or delivered in the scope of a few hundred pages, requiring mere hours to access, to process.
하지만 여기에서의 진정한 마법, 즉 (일어나는 데 몇 주, 몇 달, 몇 년, 심지어 평생이 걸릴 수 있고, 그러므로 우리의 시야와 인지를 벗어나는) 이 모든 변화가 몇백 페이지 범위 안에 압축되거나, 담기거나, 혹은 전달되어, 접근하고 처리하는 데 겨우 몇 시간이면 되는 방식을 생각해 보라.
We enter the bookstore, see all the books arrayed there, and think: so many books, so little time; but the truth goes other way: books do not take time, they give time.
우리는 서점에 들어가서, 그곳에 진열된 모든 책을 보고, 책이 너무 많고, 시간은 너무 적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실은 그 반대이다. 책은 시간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준다.
22 감정이 반영된 결과물인 과학
Some people say that science just is, that it is merely a collection of facts and measurements that exist outside of the realm of emotion and caring. But I disagree.
어떤 사람들은 과학은 그저 ‘존재하며’, 과학은 감정과 관심의 영역 바깥에 존재하는 사실과 측정의 집합체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Of the millions (perhaps infinity) of possible facts about the world we memorize, document, and pass on to others, we select those that we think are important, and this is an emotional judgment.
우리가 기억하고, 기록하고, 타인에게 전하는 세상에 관한 수백만 개(혹은 무한대)의 가능성 있는 사실들 중, 우리는 우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선택하는데’, 이것은 감정적인 판단이다.
We are motivated to care about some and not others, and emotion and motivation are two sides of the same neurochemical coin.
우리는 어떤 것은 신경 쓰고 다른 것은 신경 쓰지 않도록 동기 부여되는데, 감정과 동기 부여는 같은 신경 화학 동전의 양면이다.
It is true that the mere fact that 2 + 2 = 4, or that hydrogen is the lightest element we know of, is without emotional content.
2+2=4라는 단순한 사실, 혹은 수소는 우리가 아는 가장 가벼운 원소라는 단순한 사실에 감정적 내용이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But the fact that we know these things, have gone to the trouble to learn them, reflects interests, priorities, motivation — in short, reflects emotion.
하지만 우리가 이것들을 ‘안다’는, 그것들을 배우려고 일부러 애썼다는 사실은 흥미, 우선순위, 동기 부여를 반영하는데, 요컨대 감정을 반영한다.
Scientists are motivated by intense curiosity and a desire to interpret and represent reality in terms of higher truths — to take collections of observations and formulate them into a coherent whole that we call a theory.
과학자들은 강렬한 호기심과 현실을 고등 진리의 측면에서 해석하고 표현하려는 욕망, 즉 관찰의 집합체를 가져다 그것들을 우리가 이론이라고 부르는 일관성 있는 완전체로 만들어 내려는 욕망에 의해 동기 부여가 된다.
23 예측 불가능한 오류를 낼 수 있는 AI
True, human decision-making is full of biases and inconsistencies, but our inconsistencies are relatively predictable.
사실, 인간의 의사 결정은 편견과 비일관성으로 가득 차 있지만, 우리의 비일관성은 비교적 예측할 수 있다.
We know how to account for them.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설명할지 알고 있다.
And there are limits to how nonsensical an intelligent, balanced person’s ‘wrong’ decision will be, due to the vague, currently uncomputable concept we call ‘common sense’.
그리고 우리가 ‘상식’이라고 부르는 모호하고, 현재로서는 계산할 수 없는 개념 덕분에, 지적이고 균형 잡힌 사람의 ‘잘못된’ 결정이 얼마나 터무니없을지에는 한계가 있다.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with AI.
이것이 AI의 경우 반드시 사실인 것은 아니다.
When AI is ‘wrong’, it can be spectacularly wrong, with more unpredictable outcomes.
AI가 ‘잘못’되었을 때는 더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하며 극적으로 잘못될 수 있다.
Simple algorithms should be extremely predictable, but can make bizarre decisions in ‘unusual’ circumstances.
단순한 알고리즘은 매우 예측 가능하겠지만, ‘이례적인’ 상황에서는 기이한 결정을 할 수 있다.
A trivial example: in 2011, two very basic pricing algorithms — one programmed to sell a book a shade cheaper than its nearest competitor, the other to sell a book at a considerably higher price than its competitors — kept automatically pushing each other’s prices up, to the point where a textbook was being sold on amazon for $23 million.
사소한 예로는, 2011년에 두 개의 매우 기본적인 가격 책정 알고리즘이, 하나는 그것의 가장 가까운 경쟁자보다 약간 더 저렴하게 책을 판매하도록, 다른 하나는 그것의 경쟁자보다 상당히 더 높은 가격에 책을 판매하도록 프로그램이 짜여 있었는데, 자동으로 서로의 가격을 계속 밀어 올려, 한 교과서가 아마존에서 2천3백만 달러에 판매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다.
Less trivially, unusual circumstances (concerns over European debt crisis leading to unusual algorithmic stock sales), and a cascade of unexpected interactions between high-frequency trading algorithms played a key role in wiping a trillion dollars off the US stock market during the 2010 Flash Crash.
덜 사소하게는, 이례적인 상황(유럽 채무 위기에 대한 우려가 이례적인 알고리즘에 의한 주식 판매로 이어지는 것), 그리고 고빈도 거래 알고리즘 간의 연속적으로 빨리 일어나는 많은 예상치 못한 상호 작용들은 2010 Flash Crash 중 미국 주식 시장에서 1조 달러를 날려 버리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24 분업과 협업으로 이룬 발전과 인간성의 손실
Due to higher scope and greater degree of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the efficiency of human society has been improved unprecedentedly.
더 넓은 범위와 더 높은 수준의 분업과 협력 덕분에, 인간 사회의 효율성은 전례 없이 향상되었다.
It has incomparable competitive advantages with other species, and has evolved into a species without competitors.
그것은 다른 종과 비교할 수 없는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경쟁자 없는 종으로 진화해 왔다.
With the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beings have lost their competitors and almost controlled the natural system.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류는 경쟁자를 잃고 자연계의 시스템을 거의 지배하게 되었다.
Human beings have created a comfortable and stable environment like a palace for themselves.
인류는 자기 자신을 위한 궁궐과도 같은 편안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만들었다.
However, in such a more stable environment, social division of labor, which is the motive force of inertia, will lead to a single and simple behavior habit in the functional unit of society.
그러나 이렇게 더 안정된 환경에서, 관성의 원동력인 사회적 분업은, 사회의 기능 단위에서 단일하고 단순한 행동 습관을 야기할 것이다.
The individual may gradually lose its independent personality as a complete biological body and — just like an organ of the body — cannot live independently without the collective group.
개인은 완전한 생물체로서 독립적인 개성을 점차 상실할 수도 있으며, 마치 신체의 장기처럼 집합군 없이 독립적으로는 살아갈 수 없다.
This will be a great challenge to our ideals, perceptions and values as an independent and free person.
이는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인간으로서의 우리의 이상, 인식, 그리고 가치관에 큰 도전이 될 것이다.
Human beings have achieved infinite success in the process of population expansion, competition with other species, and struggle with nature, but we have lost our individual selves as a result.
인류는 인구 확장, 다른 종과의 경쟁, 그리고 자연과의 투쟁 과정에서 무한한 성공을 이루었지만, 우리는 그 결과로 우리의 개별적 자아를 잃었다.
26 Jean Macnamara의 생애
Jean Macnamara (1899–1968), an Australian medical scientist, was born into a family that prized hard work and education.
Jean Macnamara(1899~1968)는 호주의 의과학자로, 근면과 교육을 중시하는 가정에서 태어났다.
She studied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Melbourne, graduating in 1922, and the following year, she was appointed resident medical officer at the Royal Children’s Hospital, where she specialized in polio care.
그녀는 Melbourne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922년에 졸업했으며, 이듬해 왕립 아동 병원에 전공의로 임명되어 그곳에서 소아마비 치료를 전문으로 했다.
In 1931, in collaboration with future Nobel Prize winner Macfarlane Burnet, she discovered that there was more than one type of the polio virus and their finding was a crucial step toward the eventual development of the polio vaccine by Jonas Salk in 1955.
1931년, 그녀는 미래의 노벨상 수상자인 Macfarlane Burnet과 협력하여 소아마비 바이러스 종류가 한 가지가 넘는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그들의 연구 결과는 1955년에 Jonas Salk가 마침내 소아마비 백신을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한 디딤대가 되었다.
Macnamara also developed new methods of treatments and rehabilitation for disabled patients.
Macnamara는 또한 장애가 있는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과 재활 방법을 개발 했다.
Her remarkable ability to inspire confidence in her patients, mostly children, filled her clinics with families prepared to wait hours for her attention.
주로 어린이였던 환자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는 그녀의 뛰어난 능력으로 인해 그녀의 진료실은 그녀의 돌봄을 받기 위해 몇 시간씩 기다릴 준비가 되어 있는 가족들로 가득했다.
She married a fellow physician, Joseph Connor, in 1934 and had two daughters.
그녀는 1934년에 동료 의사인 Joseph Connor와 결혼하여 딸 둘을 두었다.
Macnamara passed away in 1968 due to heart disease, and her funeral was attended by many of her former patients.
Macnamara는 1968년에 심장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그녀의 장례식에는 많은 그녀의 예전 환자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