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완성 영어 10강 한줄 해석

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10강 글의 순서 파악

기출 조류의 정렬과 감정 전염의 상관관계

Watch the birds in your backyard. If one bird startles and flies off, others will follow, not waiting around to assess whether the threat is real.
뒷마당에 있는 새를 관찰해 보라. 새 한 마리가 놀라 날아오르면 다른 새들도 위협이 진짜인지 판단하기 위해 기다리지 않고 뒤따를 것이다.
They have been infected by emotional contagion.
그것들은 감정 전염에 감염된 것이다.
In a long-term research project that Marc did with some of his students on patterns of antipredatory scanning by western evening grosbeaks, they found that birds in a circle showed more coordination in scanning than did birds who were feeding in a line.
Marc가 자신의 학생 몇 명과 함께 진행한 서부 저녁 콩새류의 항포식자 관찰 패턴에 관한 장기 연구 프로젝트에서, 그들은 일렬로 먹이를 먹고 있는 새들보다 원을 그리고 있는 새들이 관찰에 더 많은 조정력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The birds in a line, who could only see their nearest neighbor, not only were less coordinated when scanning, but also were more nervous, changing their body and head positions significantly more than grosbeaks in a circle, where it was possible for each grosbeak to see every other grosbeak.
일렬로 늘어선 새들은, 가장 가까운 이웃만 볼 수 있어서, 관찰할 때 조정력이 더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더 긴장한 상태였고, 원을 그리고 있는 콩새들보다 몸과 머리 위치를 훨씬 더 많이 바꾸었는데, 원을 그린 상태에서는 각각의 콩새가 다른 모든 콩새를 볼 수 있었다.
Marc wondered whether the birds in line were more fearful because they didn’t know what their flockmates were doing.
Marc는 일렬로 늘어선 새들이 자기 무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더 두려워하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했다.
Emotional contagion would have been impossible for individual grosbeaks in the linear array except with their nearest neighbors.
선형으로 정렬한 개개의 콩새류에서 감정 전염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이웃을 제외하고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1 개인주의

In the United States, individualism is one of our strongest cultural values, and it continues to rise both here and in other countries.
미국에서 개인주의는 우리의 가장 강력한 문화적 가치 중 하나이며, 그것은 이곳(미국)과 다른 국가에서 모두 계속 증가하고 있다.
There are clever ways to measure this, like looking at the products that a culture creates.
이것을 측정하는 기발한 방법이 있는데, 어떤 문화가 만들어 내는 산물을 살펴보는 것과 같은 것이다.
Psychologist Patricia Greenfield conducted a study of more than one and a half million books, starting with those published in 1800 and going all the way up to 2000.
심리학자인 Patricia Greenfield 는 1800년에 출판된 책에서 시작하여 2000년까지 죽 거슬러 올라가며 150만 권이 넘는 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She found that, over time, individualistic words like me, self, and unique began to appear far more frequently, reflecting our shifting values.
그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me(나를)’, ‘self(자신)’, 그리고 ‘unique(고유한)’와 같은 개인주의적 단어가 훨씬 더 빈번히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우리의 변화하는 가치관을 반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 word get quadrupled in use during the course of two hundred years.
‘get(얻다)’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200년 동안 네 배가 되었다.
Another study looked at television shows made for tweens and calculated how often they celebrated specific values.
또 다른 연구는 10대 초반의 아동을 대상으로 제작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그것이 특정 가치를 얼마나 자주 찬양하는지 산출했다.
In 1967, personal fame ranked fifteenth out of sixteen of the top values. In 2007, it ranked first out of sixteen.
1967년에는 개인적인 명성이 상위 16개 가치 중 15위를 차지했다. 2007년에는 그것이 16개 중 1위를 차지했다.

2 불확실성과 타자화

While we experience some uncertainty in most interactions, when our level of uncertainty reaches a tipping point, it turns into anxiety.
대부분의 상호 작용에서 우리는 약간의 불확실성을 경험하지만, 불확실성의 수준이 정점에 이르면 그것은 불안으로 변한다.
The more uncertain about the other person we feel, the more discomfort we are in.
우리가 상대방에 대하여 더 불확실하게 느낄수록 우리는 더 불편해진다.
Anxiety has a negative impact on a person’s willingness to interact with someone from a different culture.
불안은 다른 문화권의 누군가와 교류하려는 사람의 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And as their anxiety level increases, people become more apt to engage in othering, making others feel they don’t belong.
그리고 불안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은 타인이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만드는 ‘타자화’에 가담하기가 더 쉽다.
Othering could be driven by experiencing more fear of and the desire to avoid “the other” — anyone who is perceived not to belong to one’s group and is therefore relegated to out-group status.
타자화는 자신의 집단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고, 그 결과 외집단 신분으로 강등된 사람, 즉 ‘타자’에 대한 더 많은 두려움과 회피 욕구를 경험함으로써 발생될 수도 있다.
It might also be caused by an existing bias favoring in-groups.
그것은 또한 내집단을 선호하는 기존의 편향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을 것이다.
Have you heard someone say, “Ugh! Those first-years (or seniors) are so annoying!”
누군가가 “으! 저 신입생들(또는 선배들)은 정말 짜증 나!”라고 말하는 것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Many try to allay their negative feelings toward members of a perceived out-group by weaving a fictional paradigm that the other person belongs to an inferior culture, and that their own culture is better than the other’s culture.
많은 사람들은 외집단으로 인식되는 구성원에 대하여 상대방이 열등한 문화에 속해 있고, 그들 자신의 문화가 상대방의 문화보다 낫다는 가상의 패러다임을 짬으로써 부정적인 감정을 가라앉히려 한다.

3 정보 통신에서의 디지털 기술 탄생

In 1948, Claude Shannon, an American mathematician and electronics engineer, published a paper called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1948년, 미국의 수학자이자 전자공학자인 Claude Shannon은 ‘커뮤니케이션의 수학적 이론’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This launched the information age by unlocking the mathematics of information and showing how it could be transmitted digitally.
이 논문은 정보의 수학을 풀어내고 그것이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는 방법을 보여 줌으로써 정보화 시대를 열었다.
At the time, messages could only be transmitted using a continuous, analog signal.
당시에 메시지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을 뿐이었다.
The main drawback to this was that waves become weaker the further they travel, and increasing background interference creeps in.
이 방법의 큰 단점은 파동이 더 멀리 이동할수록 더 약해지고, 점점 늘어나는 배경 간섭이 슬며시 기어든다는 점이었다.
Eventually, this “white noise” overwhelms the original message.
결국 이 ‘백색 잡음’이 원래 메시지를 압도한다.
Shannon’s solution was to divide information into the smallest possible chunks, or “bits” (binary digits).
Shannon의 해결책은 정보를 가능한 한 가장 작은 덩어리, 즉 ‘비트’(2진수)로 나누는 것이었다.
The message is converted into a code made of 0s and 1s — every 0 is a low voltage and every 1 is a high voltage.
메시지는 0과 1로 구성된 코드로 변환되며, 모든 0은 저전압, 모든 1은 고전압이다.
In creating this code, Shannon drew on binary mathematics, the idea that figures can be represented by just 0s and 1s, which had been developed by Gottfried Leibniz.
Shannon은 이 코드를 만들 때 이진 수학, 즉 숫자를 단지 0과 1로 표현할 수 있다는 개념을 활용했는데, 그것은 Gottfried Leibniz에 의해 개발되었었다.
Although Shannon was not the first to send information digitally, he fine-tuned the technique.
Shannon이 처음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한 사람은 아니었으나, 그는 그 기술을 정교하게 다듬었다.
For him, it was not simply about solving technical problem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efficiently.
그에게 그것의 중요성은 단순히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 것만이 아니었다.
By showing that information could be expressed as binary digits, he launched the theory of information.
그는 정보를 이진수로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정보 이론을 시작한 것이었다.

4 모유 수유와 우유 알레르기의 연관성

The choice of whether or not to breastfeed exclusively is a completely personal decision for every mother and the role it plays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future allergies is still up for debate, but breastfeeding does appear to be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baby’s gut microbiome.
오로지 모유만 먹일지 말지에 관한 선택은 순전히 모든 산모의 개인적인 결정이며 향후의 알레르기 발생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 그것이 미치는 역할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모유 수유는 아기의 장내 미생물 군집 발생에 진정 이로운 것으로 보인다.
If mothers decide to breastfeed their children, they should nevertheless be aware of one thing: breastmilk, on its own, does not contain beta-lactoglobulin proteins like those present in cow’s milk.
산모가 아이에게 모유를 먹이기로 결정한다면, 그래도 한 가지는 알아야 하는데, 모유 단독에는 우유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베타락토글로불린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When a mother consumes dairy products, though, this food allergen is passed to her child via her breastmilk.
하지만 산모가 유제품을 섭취하면 이 식품 알레르기 유발 항원이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전달된다.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breastmilk can trigger cow’s milk protein allergies in certain babies.
이러한 현상의 결과로 모유는 특정 아기에게 우유 단백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도 있다.
This information is not meant to minimize the benefits of breastfeeding.
이 정보는 모유 수유의 이점을 축소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On the contrary, understanding this possibility can point parents and doctors toward a cow’s milk allergy diagnosis if an exclusively breastfed baby is experiencing digestive or skin issues.
그와 반대로, 이 가능성을 이해하면 오로지 모유만 먹는 아기가 소화나 피부에 문제를 겪고 있는 경우 부모와 의사의 관심을 우유 알레르기 진단 쪽으로 돌릴 수 있다.

5 사실적 믿음에 기반하는 상상력

Cognitive governance means that factual beliefs guide how imagining unfolds.
인지적 통제란 사실에 기반한 믿음이 상상이 전개되는 방식을 이끈다는 것을 의미한다.
When Kevin imagines lightning hitting a tree, he next imagines the tree bursting into flame.
Kevin이 번개가 나무를 치는 것을 상상할 때, 그는 다음으로 나무에 불이 확 타오르는 것을 상상한다.
But that imaginative transition — from imagining the lightning strike to imagining the flames — doesn’t come from nowhere.
하지만 그런 상상의 전환, 곧 낙뢰를 상상하는 데서 불꽃을 상상하는 데로의 전환은 난데없이 생기지 않는다.
Kevin’s factual beliefs (that lightning is extremely hot and that trees are wood and hence flammable) guide his imagination from one imagining to the next.
Kevin의 사실에 기반을 둔 (번개가 극도로 뜨겁다는 그리고 나무는 목재이고 이런 이유로 불에 잘 탄다는) 믿음은 그의 상상력을 하나의 상상에서 다음 것으로 이끈다.
If he didn’t have these factual beliefs about lightning and trees, his imaginings wouldn’t unfold in that fashion.
만약 그에게 번개와 나무에 관한 이러한 사실에 기반한 믿음이 없다면, 그의 상상은 그런 방식으로 전개되지 않을 것이다.
Thus, factual beliefs govern inferential transitions among imaginings (as well as other secondary cognitive attitudes).
따라서 사실에 기반한 믿음은 상상한 것들 사이의 추론적 전환(아울러 다른 부차적인 인지적 태도까지도)을 ‘지배한다’.
Otherwise put, the information stored in a person’s factual beliefs guides how that person’s imaginings unfold; it does the same for other cognitive attitudes.
달리 말하면, 한 사람의 사실에 기반한 믿음에 저장된 정보는 그 사람의 상상이 펼쳐지는 방식을 이끌며, 다른 인지적 태도에도 똑같이 작용한다.
Importantly, imaginings don’t do the same for factual beliefs, and this lack of symmetry is a defining contrast.
중요한 것은 상상한 것들이 사실에 기반한 믿음에도 똑같이 작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며, 이러한 대칭성의 부재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차이이다.

2026 수능완성 10강 변형

2026 수능완성 영어 2강 한줄 해석

2026 수능완성 영어 한줄 해석 1강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