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1회
36 문화의 역할
Every culture provides its members with a series of lessons.
모든 문화는 구성원들에게 일련의 가르침을 제공한다.
Among the lessons learned are how to say “hello” and “goodbye,” when to speak or remain silent, how to act when angry or upset, where to focus the eyes when functioning as a source or message encoder and receiver or message decoder, how much to gesture, how close to stand to another, and how to display emotions such as happiness or rage.
배운 가르침 중에는 ‘안녕하세요’와 ‘안녕히 계세요’를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언제 말하거나 계속 침묵해야 하는지, 화가 나거나 속상할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제공자, 즉 메시지 표현자 그리고 수용자, 즉 메시지 이해자로서 기능할 때 눈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얼마나 제스처를 취해야 하는지, 상대방과 얼마나 가까이 서야 하는지, 그리고 행복이나 분노 같은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가 있다.
By instructing its members, culture guides behavior and communication, showing members how to act, think, talk, and listen.
구성원들을 가르침으로써 문화는 행동과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데, 어떻게 행동하고, 생각하고, 말하고, 들어야 하는지 구성원들에게 보여 준다.
In effect, culture is ubiquitous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사실상 문화는 우리 삶의 모든 측면 어디에나 존재한다.
Its influence passes from our family, friends, schooling, traditional and social media, and rites and rituals.
그 영향력은 가족, 친구, 학교 교육, 전통적 미디어 및 소셜 미디어, 그리고 의례 및 의식으로부터 전파된다.
It is in the food we eat, the music we listen to, the art we appreciate, the games we play, and the friends we make.
그것은 우리가 먹는 음식, 듣는 음악, 감상하는 예술, 하는 게임, 사귀는 친구들 속에 있다.
It is our entire social interaction with the world that shapes the cultural being we are, and which in turn, we also will pass on.
문화적 존재인 우리를 만드는 것은 바로 우리가 세상과 하는 전체 사회적 상호 작용이고, 결국 우리도 그것을 전승할 것이다.
37 생물 다양성 손실과 기업의 책임
Biodiversity protection poses a challenge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ecause damage to ecosystems is poorly understood, often lacks visibility, and generally has indirect linkages to business activity.
생물 다양성 보호는 생태계 손상이 제대로 이해되지 않고 자주 가시성이 부족하며 일반적으로 기업 활동과 간접적으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도전을 제기한다.
Further, a high degree of stakeholder engagement and local responsiveness is required to address biodiversity protection.
더욱이 생물 다양성 보호를 다루기 위해 높은 수준의 이해관계자 참여와 현지 대응력이 필요하다.
Biodiversity loss can, of course, be visible and result from direct effects of business o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loss of marine life from an oil spill.
물론 생물 다양성의 손실은 가시적일 수 있고, 기름 유출로 인한 해양 생물의 손실과 같은, 기업이 환경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서 비롯될 수 있다.
Corporate responsibility is evident in such a case.
이러한 경우 기업의 책임은 명확하다.
Responsibility is more difficult to identify whe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business activity has low visibility and is diffused on a global scale.
기업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가시성이 낮고 세계적인 규모로 확산되어 있을 경우에는 책임을 확인하기가 더 어렵다.
Biodiversity loss that occurs through the global spread of invasive species provides such an example.
침입종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물 다양성 손실이 그러한 예를 제공한다.
Companies are likely to be sceptical of their indirect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to demand 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before acknowledging responsibility.
기업이 환경에 대한 스스로의 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회의적이고 책임을 인정하기 전에 충분한 과학적 증거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As a result, the burden of proof is generally placed on the scientific community so that environmental degradation such as biodiversity loss often goes unrecognized as a responsibility of firms.
그 결과, 입증의 부담은 일반적으로 과학계에 지워져, 생물 다양성 손실과 같은 환경 악화가 자주 기업의 책임으로 미인식되게 된다.
In the absence of legislation or other enforceable means to influence firm behaviour, there may be little accountability for environmental damage that accrues while sufficient evidence is gathered.
기업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률이나 강제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없는 경우 충분한 증거가 수집되는 동안 발생하는 환경 피해에 대한 책임이 거의 없을 수도 있다.
38 있을 것 같지 않은 일과 불가능한 일에 대한 아이들의 인식
When children explain why improbable events could not occur in real life, their justifications are similar to those provided for impossible events.
아이들이 있을 것 같지 않은 일들이 실제 삶에서 왜 일어날 수 없는지 설명할 때, 그들의 그럴듯한 설명은 불가능한 일들에 대해 주어지는 설명과 비슷하다.
They claim a person couldn’t own a lion for a pet because it might bite you or because you could own a cat instead.
그들은 사람이 사자를 애완동물로 소유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여러분을 물 수도 있고 혹은 여러분이 그 대신 고양이를 소유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These justifications imply that children are not searching for principled, lawlike reasons why the event cannot occur.
이러한 그럴듯한 설명은 아이들이 사건이 왜 일어날 수 없는지 원칙에 입각한, 법률 같은 이유를 찾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암시한다.
If they did, they would realize that no such reasons exist.
만약 그들이 그랬다면, 그들은 그러한 어떤 이유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Instead, they attempt to imagine how the event might occur, given what they know about lions and pets, and report on the mental roadblocks that pop into mind: lions are too big, they live far away, they eat other animals, they need a lot of space, they make a lot of noise, and so forth.
대신, 사자와 애완동물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고려해 볼 때, 그들은 사건이 어떻게 일어날 수도 있을지 상상하려고 시도하며, 갑자기 생각나는 정신적인 방해물, 즉 사자들이 너무 크고, 멀리서 살고, 다른 동물들을 먹고,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많은 소음을 낸다는 따위에 대해 보고한다.
These are reasons why owning a lion would be difficult but not reasons why it would be impossible, and children must learn to distinguish the two.
이것들은 왜 사자를 소유하는 것이 어려울지에 대한 이유지만 그것이 왜 불가능할지에 대한 이유는 아니며, 아이들은 두 개를 구별하는 것을 반드시 배워야 한다.
Indeed, as children begin to distinguish improbable events from impossible ones, they also begin to provide better justifications for their judgments.
실제로, 아이들이 있을 것 같지 않은 일을 불가능한 것들과 구별하기 시작하면서, 그들은 또한 자신의 판단에 대한 더 나은 그럴듯한 설명을 제공하기 시작한다.
Searching for a reason why an event is impossible may yield the realization that it’s possible after all.
어떤 일이 왜 불가능한지 이유를 찾는 것은 결국에는 그것이 가능하다는 깨달음을 가져올 수도 있다.
39 연구 참여 동의로 인한 편향
Suppose an investigator conducted a randomized experiment to answer the causal question “Does one’s looking up to the sky make other pedestrians look up too?”
한 연구자가 ‘한 사람이 하늘을 올려다보면 다른 보행자들도 올려다보게 되는가?’라는 인과적 질문에 답하기 위해 무작위 실험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
She found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her looking up and other pedestrians’ looking up.
그녀는 자신이 올려다보는 것과 다른 보행자들이 올려다보는 것 사이에 강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Does this association reflect a causal effect?
이 연관성은 인과적 효과를 반영하는가?
Well, by definition of a randomized experiment, confounding bias is not expected in this study.
자, 무작위 실험의 정의에 따르면 이 연구에서는 교란 편견은 예상되지 않는다.
However, there was another potential problem: The analysis included only those pedestrians that, after having been part of the experiment, gave consent for their data to be used.
그러나 또 다른 잠재적 문제가 있었는데, 실험에 참여한 후 자신의 데이터가 사용되는 것에 동의한 보행자만 분석에 포함되었다는 점이다.
Shy pedestrians (those less likely to look up anyway) and pedestrians in front of whom the investigator looked up (who felt tricked)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수줍음이 많은 보행자(어차피 올려다볼 가능성이 더 적은 사람들)와 자기들 앞에서 연구자가 올려다봤던(속았다고 느꼈을) 보행자는 참여할 가능성이 더 적었다.
Thus participating individuals in front of whom the investigator looked up (a reason to decline participation) are less likely to be shy (an additional reason to decline participation) and therefore more likely to look up.
따라서 연구자가 그들 앞에서 올려다보았는데(참여 거부의 한 이유)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수줍음이 많을(참여 거부의 추가적인 이유) 가능성이 더 적고 따라서 올려다볼 가능성이 더 높다.
That is, the process of selection of individuals into the analysis guarantees that one’s looking up is associated with other pedestrians’ looking up, regardless of whether one’s looking up actually makes others look up.
즉, 한 사람이 올려다보는 것이 실제로 다른 사람이 올려다보게 하는지와 관계없이, 분석 대상으로 사람들을 선정하는 과정은 한 사람이 올려다보는 것이 다른 보행자가 올려다보는 것과 연관되도록 보장한다는 것이다.
40 편향의 속성
Bias — the inclination of prejudice towards or against a person, group, object, or position — is an inherent part of society and of how human beings operate.
편향, 즉 어떤 사람, 집단, 사물 또는 입장을 편들거나 (그것에) 반하는 편견의 경향은 사회와 인간이 작동하는 방식에서 본질적인 부분이다.
As subjective individuals, we are unable to grasp anything we encounter in a purely objective manner, but always do so through the filter of our pers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주관적인 개인으로서 우리는 우리가 맞닥뜨리는 어떤 것도 완전히 객관적인 방식으로 이해할 수 없는데, 우리의 개인적인 지식과 경험이라는 필터를 통해 항상 어떤 것을 이해한다.
This filter in turn constitutes a reflection of our upbringing, education, cultural exposure, personality, and numerous other traits. In this broad sense, bias is not necessarily bad.
이 필터는 결국 우리의 양육, 교육, 문화적 노출, 성격 그리고 수많은 다른 특성의 반영으로 여겨진다.
Yet, under certain conditions, bias can be unfair or lead to discrimination.
이러한 넓은 의미에서 편향은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AI systems are developed by human beings, and fed data collected and shaped by human beings.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 편향은 불공정하거나 차별을 초래할 수 있다. AI 시스템은 인간에 의해 개발되고, 인간에 의해 수집되고 형성된 자료가 입력된다.
It is hence no surprise that their decisions also reflect the individual and societal biases of their creators and users for better or worse.
따라서 좋든 나쁘든 그 결정에도 그것의 제작자와 사용자의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편향이 반영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It is thus crucial to address this risk, even if unjust bias in machines is not always easily perceptible — in particular if it slips in through proxies rather than through legally protected criteria such as gender, age, or ethnicity.
따라서, 기계의 불공정한 편향이, 특히 성별, 나이 또는 민족적 배경과 같은 법적으로 보호되는 기준을 통해서가 아니라 대리 변수를 통해 슬며시 스며들 경우에는 항상 쉽게 인지되는 것은 아니라 해도, 이러한 위험에 대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Bias isn’t always harmful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the world, but AI systems mirror the biases of their human developers, requiring our careful attention to prevent unfair or discriminatory results.
편향은 세상을 이해하는 것에 관해서 항상 해롭지는 않지만, AI 시스템은 자체의 인간 개발자의 편향을 반영하며 불공정하거나 차별적인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우리의 세심한 주의를 요구한다.
41-42 자아 통제의 중요성
Many crucial functions of the self involve volition: making choices and decisions, taking responsibility, initiating and inhibiting behavior and making plans of action and carrying out those plans.
자아의 많은 매우 중요한 기능은 선택과 결정하기, 책임지기, 행동 시작하기와 억제하기, 행동 계획 세우기와 그 계획 실행하기와 같은 의지를 포함한다.
The self exerts control over itself and over the external world.
자아는 자신과 외부 세계에 대한 통제를 발휘한다.
To be sure, not all human behavior involves planful or deliberate control by the self, and, in fact, recent work has shown that a great deal of human behavior is influenced by automatic or nonconscious processes.
물론 모든 인간 행동이 자아에 의한 계획적 또는 의도적 통제를 수반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간 행동의 상당 부분이 자동 또는 무의식적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But undoubtedly some portion involves deliberate, conscious, controlled responses by the self, and that portion may be disproportionately important to the long-term health, happiness, and success of the individual.
그러나 의심할 여지 없이 일부분은 자아에 의한 의도적이고 의식적이며 통제된 반응을 수반하며, 그러한 부분은 개인의 장기적인 건강, 행복 및 성공에 불균형적으로 중요할 수도 있다.
Even if it were shown that 95% of behavior consisted of lawful, predictable responses to situational stimuli by automatic processes, psychology could not afford to ignore the remaining 5%.
행동의 95%가 자동 과정에 의한 상황에 따른 자극에 대한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한 반응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밝혀진다 해도, 심리학은 나머지 5%를 무시할 여유가 없다.
As an analogy, cars are probably driven straight ahead at least 95% of the time, but ignoring the other 5% (such as by building cars without steering wheels) would seriously compromise the car’s ability to reach most destinations.
비유컨대, 자동차는 아마도 적어도 95%의 경우 똑바로 앞을 향해 몰아지겠지만, 나머지 5%를 무시하는 것(예를 들어 핸들이 없는 자동차를 만드는 것)은 대부분의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자동차의 능력을 심각하게 손상할 것이다.
By the same token, the relatively few active, controlling choices by the self greatly increase the self’s chances of achieving its goals.
마찬가지로, 자아에 의한 상대적으로 적은 그 능동적이고 통제하는 선택들은 자아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을 많이 증가시킨다.
And if those few “steering” choices by the self are important, then so is whatever internal structure of the self is responsible for it.
그리고 자아에 의한 그 적은 ‘조종하는’ 선택들이 중요하다면, 그것을 담당하는 자아의 내부 구조가 무엇이든 그것 또한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