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8강 (1)

영어독해연습 8강 1~6번 (Week 5)

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Emotion categories, in my view, ① are made real through collective intentionality. To communicate to someone else that you feel angry, both of you need a shared understanding of “Anger.” If people agree that a particular combination of facial actions and cardiovascular changes ② is anger in a given context, then it is so. You needn’t be explicitly aware of this agreement. You don’t even have to agree ③ whether a particular instance is anger or not. You just have to agree in principle that anger exists with certain functions. At that point, people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at concept among themselves so ④ efficient that anger seems inborn. If you and I agree that a furrowed brow indicates anger in a given context, and I furrow my brow, I am efficiently sharing information with you. My movement itself does not carry anger to you, any more than vibrations in the air carry sound. By virtue of the fact ⑤ that we share a concept, my movement initiates a prediction in your brain … a uniquely human brand of magic. It is categorization as a cooperative act.

cardiovascular: 심혈관의
furrow: 찌푸리다
vibration: 진동

{소재}
협력적 행위로서의 감정의 소통

{해석}
내가 보기에 감정의 범주는 집단적 지향성을 통해 현실화된다. 다른 사람에게 화가 났다는 사실을 전달하려면 두 사람 모두 ‘분노’에 대한 공통된 이해가 필요하다. 특정 상황에서 얼굴 표정과 심혈관 변화의 특정한 조합이 분노라는 데 사람들이 동의한다면, 그것은 그러하다. 이러한 합의에 대해 명시적으로 알 필요는 없다. 특정 사례가 분노인지 아닌지에 대해 동의할 필요도 없다. 분노가 특정 기능을 가지고 존재한다는 것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기만 하면 된다. 그 시점에서 사람들은 그 개념에 대한 정보를 그들 사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서 분노는 타고난 것처럼 보인다. 만약 여러분과 내가 특정한 상황에서 찌푸린 이마가 분노를 나타낸다는 데 동의하고 내가 이마를 찌푸린다면, 나는 여러분과 효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공기 중의 진동이 소리를 전달하지 않는 것처럼 내 움직임 자체도 여러분에게 분노를 전달하지 않는다. 우리가 개념을 공유한다는 사실 때문에 내 움직임은 여러분의 뇌에 예측을 일으키는데… 이것은 인간만이 가진 독특한 유형의 마법이다. 그것이 협력적 행위로서의 범주화에 해당한다.

[정답/모범답안]
4

2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ynamics of online interactions and the psychology behind group decision-making processes, consider a question that bears directly on group decisions in general: how people judge comments on websites. Lev Muchnik, a professor at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and his colleagues carried out an experiment on a website that displays diverse stories and allows people to post comments, which can in turn be voted up or down. The researchers automatically and artificially gave certain comments on stories an immediate upvote — the first vote that a comment would receive. You might well think that after hundreds or thousands of visitors and ratings, a single initial vote on a comment could not possibly matter. That is a sensible thought, but it is wrong. After seeing an initial upvote (and recall that it was entirely artificial), the next viewer became 32% more likely to give an upvote.

bear on: ~과 관련되다
upvote: 좋아요 투표

① effects of ratings and comments on self-esteem
② psychological reasons behind negative comments
③ common reactions to personal stories on websites
④ influence of initial votes on shaping online opinion
⑤ disadvantages of sharing opinions on social media

{소재}
온라인에서의 의견 형성

{해석}
온라인 상호 작용의 역학 관계와 집단 의사 결정 과정 이면의 심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집단 의사 결정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한 가지 질문, 즉 ‘사람들이 웹사이트의 댓글을 어떻게 판단하는가’라는 질문을 생각해 보라.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의 교수 Lev Muchnik과 그의 동료들은 다양한 이야기를 보여 주고 사람들에게 댓글을 게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웹사이트에서 실험을 수행했는데, 그 댓글은 그다음에 좋아요나 싫어요 투표를 얻을 수 있다. 연구자들은 자동적으로 그리고 인위적으로 이야기에 대한 특정 댓글에 즉시 좋아요 투표를 부여했는데, 이는 어떤 댓글이 가장 먼저 받게 되는 투표였다. 여러분은 수백 또는 수천 번의 방문자와 평가가 이루어진 후라면 댓글에 대한 단 하나의 첫 투표가 중요할 리가 없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것은 합리적인 생각이지만, 잘못된 것이다. 첫 번째 좋아요 투표를 본 후 (그리고 그것이 전적으로 인위적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다음 독자는 좋아요 투표를 할 가능성이 32% 더 커졌다.

[정답/모범답안]
4

3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explain our world through stories. In our stories, we are both the storyteller and the principal character. Being able to tell our life story helps us to make sense of it. Perhaps we tell it to ourselves, quietly pondering. Perhaps we write it down, recognising in reading back something that we did not recognise at the time. But for most of us, chatting to a friend or reflecting with a confidant is the way we tell our stories. And as we tell them, we hear them anew. Telling helps us to notice and to interpret details, to become aware of the bigger picture or to discern aspects we previously overlooked or denied. Finding a listener who will give our story their full attention, who is prepared to become completely caught up in the tale, is an opportunity to meet ourselves, complete with our noble hopes and miserable failings, and to understand ourselves and the world around us in a truer, more helpful way.

ponder: 숙고하다
confidant: 절친한 친구

① Daydreaming: A Journey to Self-discovery
② Discovering Truths Through Others’ Perspectives
③ Sharing Personal Stories, Building Stronger Relationships
④ The Art of Storytelling: A Necessary Skill to Master Success
⑤ Sharing Your Stories Opens a Door to Deeper Understanding of Yourself

{소재}
이야기하기를 통한 자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해석}
우리는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세상을 설명한다. 우리의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이야기꾼이자 주인공이다. 우리의 인생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그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어쩌면 우리는 조용히 숙고하면서 스스로에게 그것을 말할 수 있다. 어쩌면 우리는 그것을 적어서, 그 당시에는 깨닫지 못했던 것을 다시 읽으면서 깨달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대다수에게는 친구와 대화를 나누거나 절친한 친구와 함께 곰곰이 생각하는 것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우리의 이야기를 하면서 우리는 그것을 새로이 듣는다. 이야기를 하는 것은 우리가 세부 사항을 알아차리고 해석하거나, 더 큰 그림을 인식하거나, 혹은 이전에 간과하거나 부정했던 측면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의 이야기에 온전히 집중해 줄, 그 이야기에 완전히 빠져들 준 비가 되어 있는 청자를 찾는 것은 고귀한 희망과 비참한 실패를 모두 안고 있는 우리 자신을 만나고, 우리 자신과 주변 세계를 더 진실하고 더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이다.

[정답/모범답안]
5

4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one study, products to the left of center in a horizontal display were chosen only 24 percent of the time. Why? Bruce D. Sanders, author of Retailer’s Edge, notes that our eyes move to the right when the left hemisphere of the brain, where we do the math, (A) [get / gets] active. Therefore, when we think we’ve gotten a good deal, our happy left side of the brain dominates, and our eyes shift right. It’s an explanation for (B) [what / why] right-of-center products are more frequently purchased than left-of-center products. This preference for right over left has nothing to do with conscious or rational decision making. When asked to rate four identical pairs of stockings, the pair (C) [positioned / was positioned] to the far right was chosen four to one over the pair on the far left. Even when experimenters suggested that the position of the stockings might have influenced their selection, participants’ responses ranged from confused to dismissive.

(A) …… (B) …… (C)
① get …… what …… positioned
② get …… why …… was positioned
③ gets …… what …… was positioned
④ gets …… why …… was positioned
⑤ gets …… why …… positioned

{소재}
상품 배치가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해석}
한 연구에서, 가로 진열에서 중앙의 왼편에 놓인 제품이 선택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왜일까? Retailer’s Edge의 저자 Bruce D. Sanders는 뇌의 좌반구, 즉 수 계산을 하는 부위가 활성화될 때 눈은 오른쪽으로 움직인다는 것에 대해 언급한다. 따라서 우리가 좋은 값으로 사게 되었다고 생각할 때 행복감을 느끼는 좌반구가 우세해지고, 눈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그것이 중앙의 왼쪽에 있는 제품보다 중앙의 오른쪽에 있는 제품이 더 자주 구매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이처럼 왼쪽보다 오른쪽을 선호하는 것은 의식적이거나 이성적인 의사 결정과는 관련이 없다. ‘동일한’ 스타킹 네 켤레를 평가하도록 요청했을 때, 맨 오른쪽에 위치한 스타킹이 맨 왼쪽에 위치한 스타킹보다 4 대 1로 더 많이 선택되었다. 심지어 실험자들이 스타킹의 위치가 선택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넌지시 말했을 때에도 참가자들의 반응은 혼란스러워하는 것부터 무시하는 것까지 다양했다.

[정답/모범답안]
5

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With increased access to the internet across the world, consumers of healthcare (patients) are better educated. ① They are able to stay better informed about happenings around the world, timely news, and healthcare’s latest trends than at any previous time in history. ② Today’s consumers are demanding healthcare systems and experiences that accommodate their busy schedul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quickly and easily, and that allow them to be involved in decision-making. ③ Even with the best of training, the highest of dedication, and the greatest of motivation, errors in medical procedure can still be made, but the number of errors can be diminished through the design of medical devices. ④ These consumer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ast because they also demand better access to care and better communication and a new level of participation with their healthcare providers. ⑤ Plans of treatment are often devised jointly and executed via creative methods.

{소재}
인터넷 시대 의료 소비자의 요구

{해석}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의료 소비자(환자)가 더 잘 교육되어 있다. 이들은 역사상 이전의 어느 때보다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 시기적절한 뉴스 및 의료 분야의 최신 경향에 대한 정보를 더 잘 알 수 있다.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자신의 바쁜 일정에 맞추어 주고, 빠르고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그들이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의료 시스템과 경험을 요구하고 있다. (최고의 교육, 최고의 헌신, 최고의 동기부여에도 의학적인 처치에 오류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지만, 의료 기기의 설계를 통해 오류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런 소비자들은 치료에 대한 더 나은 접근성, 그리고 의료 제공자들과의 더 나은 소통 및 새로운 수준의 참여 또한 요구하므로, 과거의 소비자들과는 다르다. 많은 경우 치료 계획이 공동으로 세워지고 창의적인 방법을 통해 실행된다.

[정답/모범답안]
3

6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ile our gut may usually give us a good general sense of how the world works, it is frequently not precise. We need data to sharpen the picture.

(A) Just how significant is this effect? An optimistic read of the effectiveness of antidepressants would find that the most effective drugs decrease the incidence of depression by only about 20 percent. To judge from the search result numbers, a Chicago-to-Honolulu move would be at least twice as effective as medication for your winter blues.

(B) But you might not guess how big an impact this temperature difference can make. I looked for correlations between an area’s Internet searches for depression and a wide range of factors, including economic conditions, education levels, and church attendance. Winter climate swamped all the rest. In winter months, warm climates, such as that of Honolulu, have 40 percent fewer depression searches than cold climates, such as that of Chicago.

(C) Consider, for example, the effects of weather on mood. You would probably guess that people are more likely to feel more gloomy on a 10-degree day than on a 70-degree day. Indeed, this is correct.

gut: 직감
swamp: 압도하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소재}
데이터에 기반한 이해

{해석}
보통 직감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적당한 일반적 이해를 제공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림을 선명하게 그리려면 데이터가 필요하다.
(C) 예를 들어 날씨가 기분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보라. 아마도 여러분은 사람들이 70도인 날보다 10도인 날에 더 우울한 기분을 느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추측할 것이다. 실제로 이것은 맞다.
(B) 하지만 여러분은 이 온도 차이가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짐작하지 못할 수도 있다. 나는 한 지역의 우울증에 대한 인터넷 검색과 경제 상황, 교육 수준 및 교회 출석률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겨울철 기후가 나머지 모든 요인을 압도했다. 겨울철에 호놀룰루의 기후와 같은 따뜻한 기후에서는 시카고의 기후와 같은 추운 기후보다 우울증에 대한 검색이 40퍼센트 더 적었다.
(A) 이 효과는 얼마나 의미 있는가? 항우울제의 효능에 대해 낙관적인 해석을 하더라도, 가장 효과적인 약물이 우울증 발생률을 약 20퍼센트 정도만 줄인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검색 결과 수치로 판단하면 시카고에서 호놀룰루로 이사하는 것이 겨울철 우울증에 대한 약물 치료보다 최소 두 배는 더 효과적일 것이다.

[정답/모범답안]
5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3강(1)

2026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5강(1)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