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독해연습 8강 7~12번 (Week 5)
7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Designers use diagrams, pictures, and simple illustrations to explain their work, ① whether it is how to turn the power on or off in a machine or how to use a DNA synthesizer or even a washing machine. Designers understand the need to test their efforts on the people ② for whom they are intended. Invariably, the tests reveal problems, places ③ where people do not understand, are confused, or, worse, could make serious errors in their use of the device under consideration: perhaps losing all of their work and, in the case of machinery or medical devices, perhaps leading to accidents or serious injuries. The reason for this early testing is ④ to find design flaws before the product is released, allowing the design to be corrected. In design, especially the set of procedures that goes under the general label human-centered design, multiple iterations of the design ⑤ is constructed and tested. Each new iteration — that is, each modification of the design — is guided by the results of tests.
iteration: 수정판, 새로운 버전
{소재}
디자인에 대한 시험의 필요성
{해석}
디자이너들은 기계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 방법이든 DNA 합성기나 심지어 세탁기를 사용하는 방법이든, 자신들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표, 그림 및 간단한 도해를 사용한다.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노력이 대상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시험할 필요성을 이해한다. 항상 시험은 문제점, 즉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거나 혼란스러워하거나, 혹은 더 나쁜 경우에는, 고려 중인 기기를 사용할 때 심각한 오류를 범할 수도 있어서, 어쩌면 그 들이 한 작업 전체를 잃게 되고 기계나 의료 기기의 경우 어쩌면 사고나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들을 드러낸다. 이러한 초기 시험의 이유는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디자인 결함을 찾아서 그 디자인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자인, 특히 ‘인간 중심 디자인’이라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통하는 절차의 집합에서, 디자인의 많은 수정판이 구성되고 시험된다. 각각의 새로운 수정판, 즉 디자인에 대한 각각의 수정은 시험 결과에 따라 이끌어진다.
[정답/모범답안]
5
8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all inquiries were once a part of philosophy, that great mother of the sciences (mater scientiarum), and philosophy embraced them all in an undifferentiated and amorphous fashion. However, as Western civilisation developed, various sciences began to pursue separate and independent courses. Astronomy and physics were among the first to break away, and were followed thereafter by chemistry, biology and ge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two new sciences appeared: psychology (the science of human behaviour) and sociology (the science of human society). Thus, what had once been natural philosophy became the science of physics; what had been mental philosophy, or the philosophy of mind, became the science of psychology; and what had once been social philosophy, or the philosophy of history, became the science of sociology. To the ancient mother, philosophy, still belong several important kinds of enquiries — notably metaphysics, logic, ethics and aesthetics — but the sciences themselves are no longer studied as subdivisions of philosophy.
amorphous: 무정형(無定形)의
astronomy: 천문학
metaphysics: 형이상학
① reasons for people’s avoidance of studying philosophy
② merits of balancing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thinking
③ separation of the sciences from their philosophical roots
④ influence of scientific thinking on understanding philosophy
⑤ contribution of the sciences to forming a new branch of philosophy
{소재}
과학의 철학으로부터 분리
{해석}
모든 탐구가 한때 과학의 그 위대한 어머니(mater scientiarum)인 철학의 일부였으며, 철학이 그것들 모두를 구분되지 않고 무정형의 방식으로 포용했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것은 흥미롭다. 그러나 서양 문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과학이 분리되고 독립적인 경로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천문학과 물리학이 분리된 최초의 것에 속했고, 이후 화학, 생물학, 지질학이 그 뒤를 이었다. 19세기에는 두 개의 새로운 과학이 등장했는데, 심리학(인간 행동에 관한 과학)과 사회학(인간 사회에 관한 과학)이었다. 따라서 한때 자연 철학이었던 것은 물리 과학이 되었고, 정신 철학, 즉 마음의 철학이었던 것은 심리 과학이 되었으며, 한때 사회 철학, 즉 역사 철학이었던 것은 사회 과학이 되었다. 고대의 어머니, 즉 철학에 몇 종류의 중요한 탐구 분야, 특히 형이상학, 논리학, 윤리학 및 미학이 여전히 속해 있지만, 과학 자체는 더 이상 철학의 하위 분야로 연
구되지 않는다.
[정답/모범답안]
3
9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Suppose that people’s aspirations rise as they get more money. When you live in a student dorm, you may aspire to have your own apartment, even if small. When you live in a small apartment, you may aspire to live in a bigger one. When you live in a bigger apartment, you may aspire to live in your own property. And so on: the more you have, the more you expect — and maybe the more you think you deserve. If so, the beneficial happiness effect of getting more money will be offset (at least partially) by the harmful effect on happiness of rising aspirations. Behavioural economists call this phenomenon the aspiration treadmill. The basic idea is ancient. The Stoic philosopher Seneca diagnosed the problem some 2,000 years ago. He wrote: ‘Excessive prosperity does indeed create greed in men, and never are desires so well controlled that they vanish once satisfied.’
offset: 상쇄하다
① Greed: The Cause of Internal Divisions Within Society
② Moral Dilemmas in the Pursuit of Accumulating Wealth
③ Why Does Achieving Happiness Matter in Modern Society?
④ For Financial Freedom, Shift Your Focus from How to When
⑤ Wanting More and More: How It Can Harm Your Happiness
{소재}
인간의 끝없는 열망이 행복에 미치는 해로운 효과
{해석}
사람들의 열망이 돈이 많아질수록 높아진다고 가정해 보자. 여러분이 학생 기숙사에 살면 비록 작을지라도 여러분만의 아파트를 갖기를 열망할지도 모른다. 여러분이 작은 아파트에 살면 더 큰 곳에 살기를 열망할지도 모른다. 여러분이 더 큰 아파트에 살면 여러분 자신의 건물에서 살기를 열망할지도 모른다. 그리고 기타 등등의 상황이 펼쳐질지도 모르는데, 여러분이 더 많이 가질수록 더 많이 기대하고, 아마도 더 많이 누릴 자격이 있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돈을 더 많이 버는 것의 유익한 행복 효과는 상승하는 열망이 행복에 미치는 해로운 효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쇄될 것이다. 행동 경제학자들은 이 현상을 ‘열망의 쳇바퀴’라고 부른다. 기본적인 개념은 아주 오래됐다. 스토아 철학자 Seneca는 약 2,000년 전에 이 문제를 진단했다. 그는 ‘과도한 번영은 정말 실제로 인간에게 탐욕이 생기게 하며, 욕망은 일단 충족되더라도 사라질 만큼 결코 잘 통제되지 않는다.’라고 썼다.
[정답/모범답안]
5
1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Humanity has entered a new era. We are now living in a world that is increasingly wired by billions of predictive algorithms, a world ① in which almost everything can be predicted and risk and uncertainty appear to be diminishing in almost all areas of life. We are living ② longer, thanks to advances in health care and precision medicine. We have a greater mastery of the physical world that allows us to dream of, and build, new technologies that allow us to explore other planets and ③ visualizes billions of galaxies. We can model markets, disease, and traffic with increasingly greater precision, and we’re getting very close to handing over the keys to the car so it can drive ④ itself. Even more striking, our tools may be revealing the genesis of some elusive and stubborn complexities of human behavior, and algorithms are even being used to ⑤ alter people’s behavior. Predictive algorithms have changed the world, and all the worlds to come, and there is no going back.
genesis: 기원
elusive: 이해하기 어려운
stubborn: 다루기 힘든
{소재}
세상을 변화시키는 예측 알고리즘
{해석}
인류는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었다. 우리는 이제 수십억 개의 예측 알고리즘에 의해 점점 더 연결되는 세상, 즉 ‘거의 모든 것’이 예측 가능하고 거의 모든 삶의 영역에서 위험과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우리는 의료 서비스와 정밀 의학의 발전 덕분에 더 오래 살고 있다. 우리는 우리에게 다른 행성을 탐험하고 수십억 개의 은하를 시각화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기술을 꿈꾸고 구축할 수 있게 하는 물리적 세계에 대한 더 큰 장악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시장, 질병, 그리고 교통을 점점 더 높은 정확성으로 모형화할 수 있으며, 자동차가 스스로 주행할 수 있도록 자동차에게 열쇠를 넘겨주는 것에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 더욱더 놀라운 것은, 우리의 도구들이 인간 행동의 일부 이해하기 어렵고 다루기 힘든 복잡성의 기원을 밝혀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점이며, 알고리즘이 심지어 사람들의 행동을 바꾸는 데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예측 알고리즘은 세상을, 그리고 앞으로 올 모든 세상을 변화시켰으며, 되돌아갈 수 없다.
[정답/모범답안]
3
11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It is worth noting that the progress in man’s understanding about the physical aspects of his environment occurred much earlier in comparison to the social aspects. ① The main reason for this discrepancy in the development of man’s understanding of the two distinct environments — the physical and the social — probably lies in the greater observability and control of physical phenomena, as well as in the impersonal approach that they afford. ② Physical phenomena are usually more concrete than social phenomena and hence are more observable. ③ Both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play crucial roles in shaping individual well-being and overall community health. ④ Samuel Koenig states that in his attempt to observe physical phenomena man was able quite early to develop a measure of detachment, but he found it very difficult to do so regarding social phenomena. ⑤ In the latter case he found himself too close to the object of investigation, too involved in it, to achieve the objectivity which is indispensable to all science.
discrepancy: 차이
indispensable: 필수적인
{소재}
환경의 물리적, 사회적 측면에 대한 인간의 이해 진보 차이
{해석}
환경의 물리적 측면에 대한 인간의 이해 진보가 사회적 측면에 비해 훨씬 더 먼저 발생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이라는 두 가지 다른 환경에 대한 인간 이해의 발전에서 이러한 차이의 주된 이유는 아마도 물리적 현상이 제공하는 특정 개인과 상관없는 접근 방식뿐만 아니라 그것(물리적 현상)에 대한 더 큰 관찰 가능성과 통제에 있을 것이다. 물리적 현상은 보통 사회적 현상보다 더 구체적이어서 더 관찰 가능하다.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은 모두 개인의 행복과 전반적인 공동체의 건강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amuel Koenig의 말에 따르면, 물리적 현상을 관찰하려고 시도하면서 인간은 상당히 일찍 어느 정도의 객관성을 발전시킬 수 있었으나 사회적 현상과 관련해서는 그렇게 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후자의 경우 인간은 자신이 연구 대상에 지나치게 가까이 있고, 그것에 지나치게 관여되어 있어 모든 과학에 필수적인 객관성을 달성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답/모범답안]
3
12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computers process in time, we typically want them to also work in real time. For example, if you set up a microphone with a reverb effect for a performance, you would like it to work both in time and in real time.
(A) If the computer can process a three-minute sound file in seven seconds, it is unnecessary to wait three minutes to finish its processing. You may also happen to have a computationally heavy reverb model that runs “slower than real time.” For a producer working in a studio, it is not crucial whether a process runs in real time.
(B) However, if you just want to add reverb to a prerecorded song, it does not matter when or how fast it happens. You may probably prefer that the computer does the processing “faster than real time.”
(C) For a performer on stage, however, there is no other option than running in real-time mode. The concert is happening in the “now,” hence the tools used need to run both in time and in real time.
reverb: (음향 장치로 소리의 울림을 좋게 하기 위한) 에코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소재}
상황에 따른 음악 효과 처리의 시간적 측면
{해석}
컴퓨터가 시간에 맞게 처리할 때, 우리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실시간으로도 작동하기를 원한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공연에서 마이크를 에코 효과와 함께 설치하면, 여러분은 그것(에코 효과)이 시간에 맞게 그리고 실시간으로 작동하기를 원할 것이다.
(B) 하지만 미리 녹음된 노래에 그저 에코만 추가하기를 원한다면, 그것이 언제 또는 얼마나 빨리 일어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여러분은 아마도 컴퓨터가 ‘실시간보다 더 빠르게’ 처리하는 것을 선호할지도 모른다.
(A) 컴퓨터가 3분짜리 소리 파일을 7초 안에 처리할 수 있다면, 그것의 처리를 마치기 위해 3분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여러분은 또한 ‘실시간보다 더 느리게’ 실행되는 연산량이 많은 에코 모델을 갖게 될지도 모른다. 스튜디오에서 작업하는 프로듀서에게는 처리가 실시간으로 실행되는지 여부가 중요하지 않다.
(C) 하지만 무대 위의 공연자에게는 실시간 모드로 실행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다. 콘서트는 ‘지금’ 일어나고 있으므로 사용되는 도구는 시간에 맞게 그리고 실시간으로 작동할 필요가 있다.
[정답/모범답안]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