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12강 요약문 완성
기출 효과적인 기근 예방 방안
There is a tendency, once the dust of an emergency has settled down, to seek the reduction of famine vulnerability primarily in enhanced economic growth, or the revival of the rural economy, or the diversification of economic activities.
일단 비상 상황의 소동이 진정되고 나면 기근 취약성을 줄이는 방안을 주로 경제 성장의 강화, 농촌 경제의 회복, 또는 경제 활동의 다양화에서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greater economic success, if it involves vulnerable groups, cannot be denied.
더 큰 경제적 성공의 잠재적 기여는, 만약 그것이 취약 계층을 포함한다면, 부인할 수 없다.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no matter how fast they grow, countries where a large part of the population derive their livelihood from uncertain sources cannot hope to prevent famines without specialized entitlement protection mechanisms involving direct public intervention.
그와 동시에, 아무리 빠르게 성장하더라도, 인구의 상당수가 자신의 생계를 불확실한 원천으로부터 얻는 국가는 직접적인 공적 개입을 포함하는 특화된 재정 지원 보호 장치가 없으면 기근 예방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Rapid growth of the economy in Botswana, or of the agricultural sector in Kenya, or of food production in Zimbabwe, explains at best only a small part of their success in preventing recurrent threats of famine.
보츠와나의 경제, 케냐의 농업 부문, 혹은 짐바브웨의 식량 생산의 급속한 성장은 기껏해야 기근의 반복되는 위협을 방지하는 데 그들이 성공한 작은 일부분만을 설명할 뿐이다.
The real achievements of these countries lie in having provided direct public support to their populations in times of crisis.
이들 국가의 진정한 성과는 위기 상황에서 국민에게 직접적인 공적 지원을 제공했다는 데 있다.
Although economic growth can be somewhat fruitful in diminishing a country’s risk of famine, direct approaches to helping the affected people play a critical role in this process.
비록 경제 성장이 한 국가의 기근 위험을 줄이는 데 어느 정도 효과적일 수 있지만,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돕는 것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이 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피아니스트의 청각적 심상 능력
Empirical studies of auditory imagery have often employed methods in which auditory feedback was deprived.
청각적 심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흔히 청각적 피드백을 박탈한 방법을 사용해 왔다.
The rationale for this approach lies in the idea that if musicians have access to stable sound representations and auditory imagery, then they may depend less on external acoustic feedback.
이러한 접근 방식의 이론적 근거는 음악가가 안정적인 소리 표현과 청각적 심상에 접근할 수 있다면, 외부의 청각적 피드백에 덜 의존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있다.
In a sight-reading study in which different types of feedback were manipulated, pianists did not depend on auditory feedback.
다양한 피드백 유형을 조작한 시주 연구에서, 피아니스트는 청각적 피드백에 의존하지 않았다.
Sight-reading performances with the sound of a digital piano switched off did not lead to more errors; thus it was not necessary for them to hear what they actually played.
디지털 피아노의 소리를 끈 상태에서 한 시주 연주가 더 많은 실수를 유발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자신이 실제로 연주하는 소리를 들을 필요가 없었다.
It can be assumed that pianists could vividly imagine and anticipate the sounds during sight-reading.
피아니스트가 시주 중에 소리를 생생하게 상상하고 예상할 수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Researcher Finney observed in a related study that manipulations of pitch in auditory feedback interfered with pianists’ performance plans and impaired their play.
연구자 Finney는 관련 연구에서 청각적 피드백에서의 음정 조작은 피아니스트의 연주 구상을 방해하고, 그들의 연주를 손상시킨다는 것을 관찰했다.
When auditory feedback was completely absent, on the other hand, their imagery skills allowed them to perform without disruptions.
반면, 청각적 피드백이 전혀 없었을 때는 피아니스트가 심상 (형성) 능력을 통해 방해받지 않고 연주할 수 있었다.
The tactile and kinesthetic feedback was evidently more important for pianists to control their performances than the external auditory information.
촉각과 운동 감각 피드백이 피아니스트가 자신의 연주를 제어하는 데 외부의 청각 정보보다 명백히 더 중요했다.
Studies show that pianists rely more on feedback from their hands and movements than on hearing the actual notes when sight-reading, as they can imagine the sounds internally.
연구에 따르면 피아니스트들은 시주할 때 실제 음을 듣는 것보다 손과 움직임의 피드백에 더 많이 의존하는데, 그들이 소리를 내적으로 상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지역 환경 보건 계획에서 지방 자치 단체의 역할
The geographical place where people are born and live, as reported by WHO, help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health of populations.
WHO에 의해 보고된 바에 따르면, 사람들이 태어나고 생활하는 지리적 위치는 환경 문제와 인구의 건강 사이의 관계를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된다.
Thus,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in the WHO Southeast Asia and Western Pacific regions had the largest environmentally related disease burden in 2012, with a total of 7.3 million deaths, most attributable to indoor and outdoor air pollution.
따라서 WHO의 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 지역에 속하는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들은 2012년에 사망자 수가 총 730만 명으로 환경 관련 질병 부담이 가장 컸는데, 대부분 실내 및 실외 공기 오염에 기인한 사망이었다.
But, at the same time, WHO, with its stakeholders, is working on prevention.
그러나 동시에 WHO는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예방에 노력하고 있다.
The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and other sectors needing to work together to reduce the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 such as reducing traffic congestion and improving public transport networks as important determinants of air pollution.
그들은 대기오염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서 교통 혼잡을 줄이고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개선하는 등 질병의 환경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보건 및 기타 부문이 협력해야 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They usually require cooperation with the transport sector and city planners.
그들은 일반적으로 교통 부문 및 도시 계획가와의 협력을 요구한다.
Because of this, it is important that local governance address environmental health planning.
이 때문에 지역 거버넌스에서 환경 보건 계획을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Municipalities are natural leaders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health planning.
지방 자치 단체는 지역 환경 및 보건 계획의 당연한 리더이다.
They are often involved in developing the local economy, including transport, tourism and industry, an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ealth planning if they are aware of the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and are provided with the tools and support they need.
그들은 교통, 관광, 그리고 산업을 포함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관여하는 경우가 많으며, 잠재적 위험과 이점을 인식하고 필요로 하는 도구와 지원을 제공받는다면 보건 계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WHO emphasizes that one’s place of birth and residence is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risk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collaborative efforts across sectors through the planning of local governance to reduce the risks.
WHO는 출생지와 거주지가 환경적인 건강 위험과 관련이 있음을 강조하며,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지역 거버넌스의 계획을 통해 부문 간 협력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3 글쓰기에 대한 플라톤의 기우
Plato was gravely concerned about the profoundly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great communication revolution of his age: writing.
플라톤은 자신의 시대에 일어난 위대한 커뮤니케이션 혁명이 가져올 엄청나게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했는데, 그것은 바로 글쓰기였다.
In the Phaedrus, he has Socrates tell the story of a great inventor who has just created the written word, who then presents it as a gift to the Egyptian king.
Phaedrus에서 그는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방금 글로 된 말을 만들어, 그런 다음 그것을 이집트 왕에게 선물로 주는 위대한 발명가에 관한 이야기를 말하게 한다.
To this, the king replies: “This discovery of yours will create forgetfulness in the learners’ souls, because they will not use their memories; they will trust to the external written characters and not remember of themselves.”
이에 왕은 “그대의 이 발견은 배우려는 자들의 영혼에 건망증을 만들어 낼 것인데, 왜냐하면 그들은 자신의 기억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기, 즉, 외부의 문자에 의지하여 스스로 기억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오.”라고 답한다.
By fixating words into text, the truth of the ensouled speech will be reduced to the mere appearance of truth of the characters in the inert page.
말을 글로 고정함으로써, 영혼이 담긴 말의 진실은 생기 없는 페이지 속 문자에 담긴 진실의 단순한 겉모습으로 격하될 것이다.
And, as dead records pile up, living memory will deteriorate.
그리고 죽은 기록이 쌓일수록, 살아 있는 기억은 감퇴할 것이다.
Few people alive today would think that Plato was justified in his criticism of writing.
오늘날 살아 있는 사람 중 글쓰기에 대한 플라톤의 비판이 당연했다고 생각하는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Even if — as it surely was the case — we lost something irreparably by leaving the mind of the oral tradition behind, the possibilities opened by writing far outstrip any possible downsides it may have.
우리가 구전의 정신을 영원히 떠남으로써 무언가를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잃었다고 하더라도, 확실히 그것은 사실이었는데, 글쓰기로 인해 열린 가능성은 그것이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가능한 어느 부정적인 면도 훨씬 능가한다.
Most of us would surely agree that illiteracy has proven to have much more paralyzing consequences than literacy.
우리 대부분은 글을 쓸 줄 모르는 것이 글을 쓸 줄 아는 것보다 훨씬 더 무능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에 확실히 동의할 것이다.
Plato believed that writing would damage memory and understanding of spoken words, but now the advantages of being able to write are considered far greater than any perceived shortcomings.
플라톤은 글쓰기가 기억력과 구두 언어에 대한 이해를 손상시킬 것으로 믿었지만, 오늘날에는 글을 쓸 수 있는 것의 장점이 어떠한 인지된 단점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여겨진다.
4 퍼즐 상자를 활용한 아이들의 과잉 모방에 관한 연구
Many studies of overimitation use puzzle boxes — see-through devices containing a desirable object that can only be obtained by performing certain procedures in sequence, such as unlocking or opening a series of barriers in order to retrieve an object.
과잉 모방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 퍼즐 상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내부가 보이는 장치로 탐나는 물건이 들어 있고, 물건을 꺼내려면 일련의 장애물을 해제하거나 여는 것과 같은 특정 절차를 순서대로 수행해야만 얻을 수 있다.
These boxes can be used to see which sorts of behaviour children copy, and which they don’t.
이 상자는 아이들이 어떤 종류의 행동을 따라 하고, 어떤 행동을 따라 하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tudies of overimitation usually involve a single adult going through a complicated procedure before opening the puzzle box — including weird gestures (such as hand-waving) and obviously unnecessary actions (such as tapping the box with a feather) — before giving the same task to the child.
과잉 모방에 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퍼즐 상자를 열기 전에 (손 흔들기와 같은) 이상한 제스처와 (깃털로 상자 두드리기와 같은) 명백하게 불필요한 행동을 포함한 복잡한 절차를 거치는 성인 한 명을 참여시키며, 그다음에 아이에게 동일한 과제를 준다.
After observing the model performing these sorts of actions, children will typically copy the useless bits as well as the instrumentally sensible ones.
모델이 이러한 종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관찰한 후,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수단으로서 합리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쓸모없는 부분도 따라 하곤 한다.
Even more bizarrely, it doesn’t seem to make any difference if the experimenter explicitly points out that the model will be performing some ‘silly’ behaviours that have no relevance to opening the box and explicitly advises the children not to bother copying those bits.
훨씬 더 기이하게도, 실험자가 모델이 상자를 여는 것과 관련이 없는 몇 가지 ‘어리석은’ 행동을 할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지적하고 아이들에게 굳이 신경 써서 그런 부분을 따라 하지 말라고 명시적으로 조언해도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The children still copy the unnecessary actions regardless.
아이들은 여전히 개의치 않고 불필요한 행동을 따라 한다.
Children exhibit overimitation by copying irrelevant actions performed by an adult model when opening puzzle boxes, even when directly told not to try to copy them.
퍼즐 상자를 열 때 아이들은 성인 모델이 하는 관련이 없는 행동을 따라 함으로써 과잉 모방을 보이는데, 그것들을 따라 하려고 하지 말라는 말을 직접적으로 들었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5 과학에 대한 대중의 접근성
The public’s direct experience of the empirical methods of science is widely regarded as responsible for the cultural transformation from the magical and mystical thinking that marked Western medieval thought, to the rationality of modern discourse.
과학의 실증적 방법을 대중이 직접 경험하는 것은 서양 중세 사상을 특징지었던 마법적이고 신비적인 사고에서 현대 담론의 합리성으로의 문화적 전환이 일어나게 된 원인으로 널리 간주된다.
Indeed, public accessibility to science may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e Renaissance to scientific progress.
실제로, 과학에 대한 대중의 접근성은 르네상스가 과학의 발전에 한 가장 중요한 기여였을 수도 있다.
By the time of Maxwell, Faraday, and Hooke, for example, the public’s appetite for science was voracious.
예를 들어, Maxwell, Faraday, 그리고 Hooke의 시대에 이르러서는, 과학에 대한 대중의 욕구가 대단했다.
Science demonstrations were put on as entertainments in performance halls, and science books sold as quickly as novels.
과학 공개 실험이 공연장에서 오락거리로 상연되었고, 과학 서적이 소설만큼이나 빠르게 판매되었다.
Today, however, we find ourselves in a situation where science is as inaccessible to the public as if it were written in classical Latin.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과학이 마치 고전 라틴어로 쓰인 것처럼 대중이 그것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게 되었다.
Remarkable new findings are trumpeted in the press, but how they came about, what they may mean beyond a cure or new recreational technology, is rarely part of the story.
놀랄 만한 새로운 연구 결과들이 언론에 대서특필되지만, 그것들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그것들이 치료법이나 새로운 오락 기술 이외에 무엇을 의미할 수 있는지는 좀처럼 이야기의 일부가 되지 않는다.
The result is that the public rightly sees science as a huge fact book, an insurmountable mountain of information recorded in a virtually secret language.
그 결과 대중은 당연히 과학을 사실이 담긴 거대한 책, 즉 사실상 비밀 언어로 기록된 넘을 수 없는 정보의 산으로 여긴다.
Science, which was once highly accessible to the public, is now seen as a collection of facts in an incomprehensible language.
한때 대중에게 매우 접근하기 쉬웠던 과학이 지금은 이해할 수 없는 언어로 이루어진 사실의 모음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