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3강 글의 주제
기출 평범한 것을 통한 특이한 것의 이해
It is much more natural to be surprised by unusual phenomena like eclipses than ordinary phenomena like falling bodies or the succession of night into day and day into night.
낙하하는 물체나 밤이 낮으로, 낮이 밤으로 연속되는 것과 같은 평범한 현상보다 일식과 같은 특이한 현상에 놀라는 것이 훨씬 더 자연스럽다.
Many cultures invented gods to explain these eclipses that shocked, frightened, or surprised them; but very few imagined a god of falling bodies — to which they were so accustomed that they did not even notice them.
여러 문화권에서는 그들에게 충격, 공포, 또는 놀라움을 주었던 이러한 일식을 설명하기 위해 신을 만들어 냈지만, 낙하하는 물체의 신을 상상했던 문화권은 거의 없었는데, 그런 문화권에서는 낙하하는 물체에 매우 익숙해 있었으므로, 심지어 그것을 알아차리지도 못했던 것이다.
But the reason for eclipses is ultimately the same as that of the succession of night and day: the movement of celestial bodies, which itself is based on the Newtonian law of attraction and how it explains why things fall when we let them go.
그러나 일식이 일어나는 이유는 밤과 낮이 연속되는, 즉 천체가 운동하는 이유와 궁극적으로 동일한데, 천체의 운동은 그 자체로 뉴턴의 인력 법칙과 그 법칙이 물체를 놓을 때 왜 떨어지는지를 설명하는 방식에 기반한다.
For the physicist, understanding the ordinary, the habitual, and the frequent thus allows us to account for the frightening and the singular.
따라서 물리학자에게 있어, 평범하고, 습관적이고, 빈번한 것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무서운 것과 특이한 것을 설명할 수 있게 해 준다.
As such, it was thus necessary to ask “Why do things fall?” and to have Newton’s response to understand a broad range of much more bizarre phenomena occurring at every level of the universe.
따라서, “왜 물체는 떨어지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뉴턴의 답을 얻는 것이 우주의 모든 수준에서 발생하는 훨씬 더 이상한 광범위한 현상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했다.
1 소비의 디지털화
Social media, mobile Internet, smartphones, QR codes, tablets, mobile apps, virtual fashion and digital shopping windows replace and merge with previous consumption spheres.
소셜 미디어, 모바일 인터넷, 스마트폰, QR 코드, 태블릿, 모바일 앱, 가상 패션 그리고 디지털 쇼핑 창구가 이전의 소비 영역을 대체하고 통합하고 있다.
Consumer activities such as purchasing, comparing and examining goods are increasingly handled through the Internet and mobile digital devices; consumers organize and spread service and product information on social media sites, blogs and forums; and money is spent increasingly on digital items.
상품을 구매, 비교, 검토하는 것과 같은 소비자 활동이 점점 더 인터넷과 모바일 디지털 기기를 통해 처리되고 있고, 소비자가 소셜 미디어 사이트, 블로그 및 공개 토론장에서 서비스와 제품의 정보를 정리하여 퍼뜨리며, 돈이 디지털 품목에 점점 더 지출되고 있다.
Furthermore, product searches, decision making and the relationships with physical stores are becoming more intimately dependent on smartphones, tablets and other digital devices.
게다가 제품 검색, 의사 결정, 실제 매장과의 관계도 스마트폰, 태블릿 그리고 다른 디지털 기기에 더욱 긴밀히 의존해 가고 있다.
Growing numbers of available recommendation systems and online review platforms have also assumed a prominent role in consumption practices.
점점 더 많은 이용 가능한 추천 시스템과 온라인 리뷰 플랫폼이 또한 소비 관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 왔다.
In their use and co-production of such recommendation systems for books, movies, restaurants, wines, music, electronics, musical instruments and clothes, consumers are relying increasingly on algorith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책, 영화, 레스토랑, 와인, 음악, 전자 제품, 악기, 의류에 대한 이러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하고 공동 제작하면서, 소비자들은 알고리즘과 인공 지능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다.
Taken together, these examples are manifestations of the contemporary ongoing digitalization of consumption that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new cultures of consumption.
종합해 볼 때, 이 예들은 새로운 소비문화의 발전을 가져오는 현대의 계속 진행되는 소비 디지털화의 징후이다.
2 미국의 재정착 정책과 부족의 정치 조직 형태
When a superior army fails to dominate a weaker enemy, the causes invariably include the unfamiliar terrain and geographical decentralization of the enemy.
우세한 군대가 더 약한 적을 제압하지 못할 때 그 원인에는 항상 낯선 지형과 적의 지리적 분산이 포함된다.
But that is not the primary characteristic that determines the outcome.
그러나 그것이 결과를 결정하는 1차적인 특징은 아니다.
The U.S. policy of resettlement on reservation land can be analyzed for each of the tribes to determine how organizational style affects military success.
조직 형태가 군사적 성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미국의 아메리카 원주민 보호 구역 토지 재정착 정책을 각 부족별로 분석해 볼 수 있다.
History never simplifies down to singular causes, such as political centralization, but some trends are more evident than others.
역사는 결코 정치적 중앙 집권화와 같은 단일한 원인으로 단순화되지는 않지만, 일부 경향은 다른 경향보다 더 분명하다.
The more sedentary tribes, who relied on agriculture and were geographically more centralized around fertile locations, were more quickly conquered than the nomadic plains tribes who were widely dispersed.
더 정주(定住) 지향의 부족들은, 농업에 의존하며 비옥한 지역 주변에 지리적으로 더 집중되어 있었고, 더 널리 흩어진 유목 생활을 하는 평원 부족들보다 더 빠르게 정복되었다.
What distinguished the tribes who were more successful against the U.S. military?
미군에 맞서 더 성공적이었던 부족을 구분 지은 것은 무엇이었을까? 정치적 분권화였다.
Political decentralization. Those with strong chieftains were more quickly settled on reservations.
강력한 족장이 있는 부족은 아메리카 원주민 보호 구역에 더 빨리 정착됐다.
The last groups to submit to U.S. military were the most politically decentralized, the Comanche and the Apache.
미군에 항복한 최후의 무리는 정치적으로 가장 분권화된 Comanche 족과 Apache 족이었다.
3 조직 정체성의 지나친 내면화
One of the reasons it is so hard to change careers — or why we change, only to end up in the same boat — is that we can so fully internalize our institutional identities, relying on them to convey our worth and accomplishments to the outside world.
직업을 바꾸는 일이 매우 어려운 이유, 또는 바꾸지만 결국 같은 상황에 놓이게 되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가 조직의 정체성을 아주 완전히 내면화하여, 그것이 우리의 가치와 성취를 외부 세계에 전달할 것이라고 믿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Even when we can honestly admit that the external trappings of success — titles, perks, and other markers of status — don’t matter much, we can hide from the need for change by telling ourselves how much the company needs us.
심지어 직함, 특전, 그리고 여타 지위 표지와 같은 성공의 외적 장식들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솔직히 인정할 수 있을 때조차도, 우리는 회사가 우리를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 우리 자신에게 이야기함으로써 변화의 필요성으로부터 숨을 수 있다.
Like Dan, who postponed vacations and overrode family obligations when the organization needed him, most working adults organize at least some portion of their working liv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self-sacrifice is OK when it’s for the good of the institution.
조직이 그를 필요로 했을 때 휴가를 미루고 가족의 의무를 무시했던 Dan처럼, 대부분의 직장인은 조직을 위해서라면 자기희생을 해도 괜찮다는 원칙에 따라 직장 생활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직한다.
Since basic assumptions tend to exist in interlocking clusters, what may often appear to be a work-life balance problem, or an inability to free ourselves from unrewarding or overly political working relationships, is in fact our inability to separate our commitment to an organization from being the organization.
기본적인 가정은 서로 맞물린 덩어리로 존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흔히 일과 생활의 균형 문제로 보일 수도 있는 것, 다시 말하면 보람이 없거나 지나치게 정치적인 업무상의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사실상 조직에 대한 헌신을 그 조직이 ‘되는 것’으로부터 분리하지 못하는 것이다.
4 AI 시스템 통제의 어려움
To make AI systems more human-value aligned, including more respect for privacy, governments are seeking to regulate AI inputs and processes.
사생활 보호에 대한 더 많은 존중을 포함하여 AI 시스템을 인간의 가치관에 맞게 더 조정되도록 만들기 위해 각국 정부는 AI 입력과 과정을 규제하려 하고 있다.
At the input level, these efforts include strengthening notice and consent regimes and requiring strong data handling safeguards; at the process level, they include rights to explanations and other forms of accountability such as validation studies, bug reports, and so on.
입력 수준에서 이러한 노력은 고지와 동의 제도를 강화하는 것과 강력한 자료 취급 안전장치를 요구하는 것을 포함하며, 과정 수준에서 설명 요구권과 검증 연구, 버그 보고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책임을 포함한다.
But given how useful the outputs of AI systems can be, any desire for control over input or process can quickly lose any sense of priority or urgency for all but the most zealous of privacy advocates.
그러나 AI 시스템의 출력물이 얼마나 유용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면, 입력이나 과정을 통제하려는 어떠한 욕구도, 가장 열성적인 사생활 보호 옹호자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에게 우선순위나 긴급성의 의미를 빠르게 잃을 수 있다.
The attraction of AI outputs that are strikingly useful, precise, efficient, accurate, and reliable — contributing to their increasing capture of human time, attention, and trust — often renders attempts to exert control over the inputs or the processes of AI moot.
놀랄 만큼 유용하고 정밀하고 효율적이고 정확하며 신뢰할 수 있어서, 인간의 시간, 주의, 신뢰를 점점 더 사로잡는 데 기여하는 AI 출력물의 매력은, 많은 경우 AI의 입력이나 과정에 통제를 가하려는 시도를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Whether we can introduce human alignment into emergent and evolvable intelligence is a much-debated issue.
우리가 창발적이고 진화할 수 있는 지능에 인간 중심 조율을 도입할 수 있을지는 많은 논란을 일으킨 문제이다.
This has led cautionary experts to argue that, while we are achieving technical progress, AI may move beyond these initial constraints imposed on it to achieve its own best goals.
이에 조심스러운 전문가들은, 우리가 기술적 진보를 이루고 있기는 하지만 AI는 그 자체의 최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그것에 부과된 이러한 초기 제약을 넘어서 나아갈 수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5 지구 내부의 미생물
Osburn and her colleagues have shown that, contrary to long-held assumptions, Earth’s interior is not lifeless.
Osburn과 그녀의 동료들은 오랫동안 믿어 왔던 가정과 반대로 지구의 내부에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는 게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In fact, the majority of the planet’s microbes — perhaps more than 90 percent — may live deep underground.
실제로, 지구의 미생물 대부분이, 어쩌면 90퍼센트 넘게, 지하 깊은 곳에서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These intraterrestrial microbes tend to be quite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on the surface.
이 지구 내부의 미생물은 지표면에 있는 미생물과 상당히 다른 경향이 있다.
They are ancient and slow, reproducing infrequently and possibly living for millions of years.
그것들은 아주 오래되었고 느리며, 번식이 드물게 이루어지고, 어쩌면 수백만 년 동안 살지도 모른다.
They often acquire energy in unusual ways, breathing rock instead of oxygen.
그것들은 흔히 산소 대신 암석을 호흡하는(암석에서 영양분을 얻는) 특이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얻는다.
And they seem capable of weathering geological disasters that would wipe out most creatures.
그리고 그것들은 대부분의 생명체를 멸종시킬 지질학적 재앙을 견딜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Like the many tiny organisms in the ocean and atmosphere, the unique microbes within Earth’s crust do not simply inhabit their surroundings — they transform them.
바다와 대기에 있는 많은 아주 작은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지각 안의 고유한 미생물은 단순히 자신의 주변 환경에 서식하지 않으며, 그것들은 그것을 변화시킨다.
Subsurface microbes carve vast caverns, concentrate minerals and precious metals, and regulate the global cycling of carbon and nutrients.
지표 아래의 미생물은 거대한 동굴을 깎아 만들고, 광물과 귀금속을 농축하며, 탄소와 영양소의 전 지구적 순환을 조절한다.
Microbes may even have helped construct the continents, literally laying the groundwork for all other terrestrial life.
미생물은 심지어 대륙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어, 말 그대로 다른 모든 지구상의 생명체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