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9강 무관한 문장 파악
기출 조류의 노래 학습
Avian song learning occurs in two stages: first, songs must be memorized and, second, they must be practiced.
조류의 노래 학습은 두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첫째로는, 노래를 암기해야 하고 둘째로는, 노래를 연습해야 한다.
In some species these two events overlap, but in others memorization can occur before practice by several months, providing an impressive example of long-term memory storage.
일부 종에서는 이 두 가지 일이 겹치기도 하지만, 다른 종에서는 연습보다 몇 달 앞서 암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장기 기억 저장의 인상적인 예를 제공한다.
The young bird’s initial efforts to reproduce the memorized song are usually not successful.
암기한 노래를 재현하려는 어린 새의 초기 노력은 대체로 성공적이지 못하다.
These early songs may have uneven pitch, irregular tempo, and notes that are out of order or poorly reproduced.
이러한 초기 노래에는 고르지 않은 음정과 불규칙한 박자, 그리고 순서가 맞지 않거나 제대로 재현되지 않은 음이 있을 수도 있다.
However, sound graphs of songs recorded over several weeks or months reveal that during this practice period the bird fine-tunes his efforts until he produces an accurate copy of the memorized template.
하지만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녹음된 노래의 음향 그래프는 이 연습 기간에 새가 암기된 본보기를 정확하게 모방할 때까지 노력을 미세하게 조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This process requires hearing oneself sing; birds are unable to reproduce memorized songs if they are deafened after memorization but before the practice period.
이 과정에서는 자신이 노래하는 것을 들어야 하는데, 만약 새들이 암기한 후이지만 연습 기간 전에 귀가 먹으면 암기된 노래를 재현할 수 없다.
1 스포츠 기업의 브랜딩 전략
From a competitive perspective, sport enterprises are well advised to invest heavily in their branding strategy.
경쟁적 관점에서 볼 때, 스포츠 기업은 자체의 브랜딩 전략에 힘껏 투자하는 것이 매우 현명하다.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climate built around entertainment and disposable consumerism, sport enterprises must find ways to establish long-term connections with consumers that maintain value beyond a brief transaction.
오락과 일회성 소비 지상주의를 중심으로 형성된 점점 더 경쟁적인 환경에서 스포츠 기업은 단시간의 거래를 넘어 가치를 유지하는 소비자와의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할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Branding offer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cultivating sustainable relationships between brands and their users.
브랜딩은 브랜드와 사용자 간의 지속 가능한 관계를 구축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In such intense environments where performances can ebb and flow on and off the field, the value inherent in a sport brand is the most resilient and long-lasting form of asset a sport enterprise can possess.
경기장 안팎에서 성적이 오르내릴 수 있는 매우 치열한 환경에서 스포츠 브랜드에 내재하는 가치는 스포츠 기업이 보유할 수 있는 가장 탄력 있고 오래 지속되는 형태의 자산이다.
A strong brand gives its owner a stable foundation of value that can weather poor seasons, new challenges, athletes that come and go, and rough markets.
강력한 브랜드는 성적이 부진한 시기, 새로운 도전, 오고 가는 선수들, 혹독한 시장을 견딜 수 있는 안정적 가치 기반을 브랜드의 소유자에게 제공한다.
2 과학 혁명과 패러다임 전환의 과정
Kuhn observed that sometimes anomalies stubbornly resist resolution.
Kuhn은 변칙이 때로는 해결에 완강하게 저항한다고 말했다.
Rather than washing away, they pile up, and a few may come to be viewed as especially pressing.
그것들은 씻겨 없어지기보다는 쌓이고 몇몇은 특히 무시하기 힘든 것으로 보이게 될 수도 있다.
As researchers try to fix the problem, counterexamples accumulate. Consequently, the field enters a state of crisis.
연구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할 때, 반례들이 축적된다. 결과적으로 그 분야는 ‘위기’ 상태에 접어든다.
The typical way out of this quagmire is the development of a fresh start, equipped with a host of novel tools and concepts.
이 수렁에서 벗어나는 전형적인 방법은 다수의 새로운 도구와 개념을 갖춘 새로운 출발점의 개발이다.
As the new framework rapidly establishes itself and makes progress, outdated questions and ideas are set aside and, eventually, they are forgotten.
새로운 틀이 빠르게 자리 잡고 진전을 이루면서, 구식 질문과 아이디어는 무시되고, 결국 그것들은 잊힌다.
When this happens, when an older paradigm is replaced by a newer one, we have what Kuhn calls a scientific revolution. 이것이 일어날 때, 즉 더 오래된 패러다임이 더 새로운 것으로 대체될 때, 우리는 Kuhn이 ‘과학 혁명’이라고 부르는 것을 갖게 된다.
The new paradigm eventually crystallizes into normal science, adopting a consensus-building role, producing fresh anomalies, which eventually trigger a crisis, followed by another revolution, and so on, in a continuous cycle.
새로운 패러다임은 결국 정상 과학으로 확고해지고, 합의를 형성하는 역할을 맡으며, 새로운 변칙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결국 위기를 촉발하고, 그 뒤에 또 다른 혁명이 이어지고, 이런 일이 계속해서 순환한다.
3 진화 과정에서 똑똑해지기를 선택한 동물들과 아닌 동물들
Would not all animals benefit from being smart?
모든 동물은 똑똑한 것으로부터 이득을 보지 않을까?
For instance, if the common perception that social primates are smarter than social ungulates is true, then we must ask why ungulates did not undergo selection for similar abilities.
예를 들어, 사회적 영장류가 사회적 유제류보다 더 똑똑하다는 일반적 인식이 사실이라면, 그렇다면 우리는 왜 유제류가 비슷한 능력에 대한 (자연) 선택을 겪지 않았는지 질문해야 한다.
Considering this issue underscores a fundamental point of evolutionary biology (and one not incorporated into the hypotheses proposed to date), namely that virtually all benefits entail costs of some kind.
이 질문을 고찰하는 것은 진화 생물학의 근본적인 점 (그리고 지금까지 제시된 가설에는 포함되지 않은 점), 즉 사실상 모든 혜택은 어떤 종류의 비용을 수반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Among the many costs of cognitive adaptations, perhaps the most prominent one is that the neural tissue underlying the abilities is energetically expensive to grow and maintain.
인지 적응의 많은 비용 중 아마도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그 능력의 기저를 이루는 신경 조직을 성장시키고 유지하는 데 에너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Thus, the key to understanding when improved cognition will be selected for is gaining insight into the relative costs and benefits of the ability for the lineage in question.
따라서 향상된 인지 능력이 어떤 경우에 선택될 것인지를 이해하는 데 핵심은 해당되는 계통의 능력에 대한 상대적인 비용과 이득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이다.
4 일회용 의료용품의 장점
Over time the healthcare industry has grown to favor medical equipment and instruments that are used only once in a hospital, clinic, or patient’s home and then discarded.
시간이 흐르면서 보건 의료 산업은 병원, 진료소, 또는 환자의 집에서 오직 한 번만 사용되고 그런 다음 폐기되는 의료 장비와 기기를 선호하게 되었다.
Disposable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to advance patient and provider safety.
일회용품은 처음에 환자와 의료 제공자의 안전을 향상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Single-use medical supplies, such as syringes, test kits, and scalpel blades, prevent germs and viruses from spreading from one patient to another and are essential in infection control and reducing hospital bacteria.
주사기, 검사 키트, 외과용 메스 칼날과 같은 일회용 의료용품은 병균과 바이러스가 한 환자에게서 다른 환자로 퍼지는 것을 예방하고, 감염 통제와 병원 세균 감소에 필수적이다.
Disposables — including masks, plastic gloves, and body protection — reduce incidents of infection among healthcare personnel while protecting patients from germs carried by providers on their skin or clothing.
마스크, 비닐장갑, 신체 보호구를 포함한 일회용품은 의료진 사이의 감염 사고를 줄이는 한편, 의료 제공자의 피부나 옷에 붙어 옮겨지는 병균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한다.
Single-use equipment also increases the efficiency of hospital and outpatient physician-patient interactions, which is increasingly important as shortages of healthcare personnel widen.
일회용 장비는 또한 입원 환자 및 외래 환자 진료에서 의사와 환자 간 상호 작용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이는 의료진 부족이 확대되면서 점점 더 중요해진다.
By reducing the burden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fter each medical intervention, single-use items allow healthcare providers to see more patients and spend more time with them.
매번 의료 개입이 있고 난 뒤의 소독과 살균 부담을 줄임으로써, 일회용품은 의료 제공자들이 더 많은 환자를 만나고 그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 준다.
5 지속 가능성 문제와 희소성 문제의 차이
Note that the problem structure of sustainability is not the same as the problem of scarcity, which was central to the sustainability debates in the 1970s.
지속 가능성의 문제 구조가 1970년대 지속 가능성 논쟁에서 핵심이었던 희소성 문제와 같지 않다는 점을 주목하라.
Scarcity is not a good measure for sustainability guidelines because we fail to be interested until the system or resource in question is totally consumed, or nearly so.
희소성은 지속 가능성 지침을 위한 적합한 척도가 아닌데, 왜냐하면 관련 시스템이나 자원이 완전히 소비되거나 거의 소비될 때까지는 우리가 관심을 두지 못하기 때문이다.
Scarcity also does not concern itself with how cycles and systems produce the resources, like water, that become scarce.
희소성은 또한 순환과 시스템이 물과 같이 희소해지는 자원을 어떻게 만들어 내는지와 관계가 없다.
Focusing on scarcity is like mopping up water on the floor without stopping the leak that produces the problem because it is blind to the larger causes.
희소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누출은 막지 않고 바닥에 있는 물을 닦아 내는 것과 같은데, 왜냐하면 그것이 더 큰 원인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a concern for scarcity simply does not take account of the complexity within which modern societies operate.
다시 말해서 희소성에 대한 우려는 현대 사회가 작동하는 복잡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다.
Still, there is a lot of uncertainty about the concrete boundaries in these systems, and this leaves a lot of contested terrain in the politics of sustainability.
여전히 이 시스템의 구체적 경계에 관한 많은 불확실성이 있고, 이것은 지속 가능성의 정치에서 많은 논쟁의 여지를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