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실전 모의고사 1회
18 도서관 무료 나눔 행사에 도서 기증
Dear Ms. Thompson, I trust this note finds you in good spirits.
Thompson 씨께, 이 편지를 받으시는 분께서 잘 지내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For the past 20 years, my husband and I have enjoyed our weekends at Meadowbrook Public Library, where the joy of reading together has become a treasured part of our lives.
지난 20년 동안, 제 남편과 저는 주말에 Meadowbrook 공립 도서관에서 즐겁게 지냈는데, 그곳에서 함께 책을 읽는 즐거움이 저희 삶의 소중한 일부가 되어 왔습니다.
As my husband approaches retirement, we’ve decided to return to our roots in Cedar Falls.
제 남편의 은퇴가 다가오면서, 저희는 Cedar Falls에 있는 저희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습니다.
While packing for this new chapter, we’ve discovered an extensive collection or books we’ve accumulated over the years.
이 (인생의) 새로운 장을 위해 짐을 싸던 중, 저희가 수년에 걸쳐 모아 온 방대한 양의 책을 발견했습니다.
We would be delighted if these beloved volumes could find a new home through your library’s upcoming free book giveaway event.
이 소중한 책들이 귀 도서관의 다가오는 무료 도서 나눔 행사를 통해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을 수 있다면 정말 기쁠 것입니다.
It would be a fitting way to share the joy we’ve experienced at Meadowbrook with others in the community.
그것은 Meadowbrook에서 저희가 느꼈던 기쁨을 지역 사회의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일 것입니다.
Please let us know the best way to coordinate this donation.
이 기증을 조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을 알려 주십시오.
We’re deeply grateful for the wonderful experiences we’ve had at your library.
저희가 귀 도서관에서 가졌던 멋진 경험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Warmest regards, Susan and Robert Miller
Susan과 Robert Miller 드림
19 고공 줄타기 도전
Once she strapped on the safety gear, Faith climbed up and stood at the edge of the highline.
일단 안전 장비를 착용하자마자, Faith는 위로 올라가서 고공 줄타기용 줄의 가장자리에 섰다.
Oh man, if I don’t do this right I could kill myself.
‘이런, 이것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죽을 수도 있겠어.’
She was gripped by a nearly overwhelming fear.
그녀는 거의 감당하기 어려운 두려움에 사로잡혔다.
Her body shook as she tried to walk across the narrow line — and fell.
좁은 줄을 걸어서 건너려고 할 때 그녀의 몸이 흔들렸고 결국 떨어졌다.
Now she was dangling below the line.
이제 그녀는 줄 아래에 매달려 있었다.
It took enormous strength to climb the rope to get back up.
다시 올라서기 위해 줄을 타고 오르려면 엄청난 힘이 필요했다.
Trying a few more times, she fell again and again, each time climbing back up to try once more to walk across the line.
몇 번 더 시도했지만 그녀는 계속해서 떨어졌고 그때마다 다시 올라서서 줄을 타고 건너기 위해 다시 한번 노력했다.
The voice of fear kept crushing her confidence.
두려움의 목소리가 계속 그녀의 자신감을 꺾었다.
She told herself, I’m not cut out for this.
그녀는 ‘나는 이 일에 소질이 없어.’라고 혼잣말했다.
Gradually, though, Faith’s fear transformed into resolution.
하지만 점차 Faith의 두려움은 굳은 결심으로 바뀌었다.
After multiple falls wearing the harness, she knew she was safe.
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여러 번 떨어진 다음, 그녀는 자신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Still, attached to her leash and hanging below each line, she knew she was going to keep trying.
그런데도, 자신의 (장비에 연결된) 밧줄에 매인 채 매번 줄 아래로 매달려 있으면서도, 그녀는 자신이 계속 시도하리라는 것을 알았다.
She told herself that it was important to fall in order to reinforce the fact that she was safe.
그녀는 자신이 안전하다는 사실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스스로에게 말했다.
20 학생의 학습 동기를 키우는 방법
When you start where your students are, you don’t think in terms of “should.”
학생이 현재 있는 수준에서 시작할 때, 여러분은 ‘마땅히 그래야 한다’라는 관점에서 생각하지 않는다.
If you want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first find out what currency they are spending (or what currency they value), and pay them in that currency.
만약 여러분이 학생에게 배우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싶다면, 먼저 학생이 어떤 통화를 사용하고 있는지(또는 어떤 통화를 소중히 여기는지) 파악하고, 그 통화로 그들에게 지불하라.
From there, you can teach them how to find the reward in other things.
거기서부터 그들에게 다른 것에서 보상을 찾는 방법을 가르칠 수 있다.
For many of our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has to be developed.
우리 학생 중 많은 수에게 내재적 동기가 길러져야 한다.
It comes only after they have experienced the pleasure of doing well and know the rewards of success.
내재적 동기는 잘했을 때의 기쁨을 경험하고 성공의 보상을 알게 된 후에야 생겨난다.
At the beginning, many of our students haven’t experienced consistent academic success and are not convinced that it will bring any pleasure.
처음에는 우리 학생 중 많은 수가 학업에서의 꾸준한 성공을 경험하지 못했고, 그것이 어떤 즐거움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확신이 없다.
In fact, academic success has been a source of pain for them because it has been heretofore an unachievable goal.
사실, 학업에서의 성공은 지금까지 달성할 수 없는 목표였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고통의 원천이었다.
This is why it is so important to start with what motivates them and then, as they experience more success, help them transfer or become motivated by that success.
그러므로 그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부터 시작하고, 그런 다음 그들이 더 많은 성공을 경험하면서 변화하거나 그 성공에 의해 동기 부여되도록 돕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1 정보 생태계의 오염 방지
If truth is what we must seek, then we have both opportunities and responsibilities.
진실이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이라면, 그렇다면 우리에게는 기회와 책임이 둘 다 있다.
We have opportunities to discover facts, which by virtue of being true are likely to be useful, certainly more useful than falsehoods.
우리에게는 사실을 발견할 기회가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진실이기 때문에 유용할, 확실히 거짓보다는 더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
And we have responsibilities not to pollute the infosphere with falsehood and hot air.
그리고 우리에게는 거짓과 허풍으로 정보 생태계를 오염시키지 않을 책임이 있다.
This requires a form of cognitive and linguistic literacy: an awareness of how language works on the mind and in social interaction.
이를 위해서는 일종의 인지적, 언어적 문해력, 즉 언어가 마음과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And it requires intellectual discipline.
그리고 그것에는 지적 규율이 필요하다.
When we unthinkingly boost the signal of some misinformation, even just by “liking” a post we haven’t fact-checked, the effect is like burning fossil fuels in our cars.
사실을 확인하지 않은 게시물에 그저 ‘좋아요’까지 누르며 무심코 어떤 잘못된 정보의 신호를 증폭시킬 때, 그 효과는 마치 자동차에서 화석 연료를 태우는 것과 같다.
As individuals, when we produce emissions, we feel that our singular contribution to the problem does not make a difference in the larger context.
개인으로서 우리가 배기가스를 만들어 낼 때, 우리는 문제에 대해 우리가 개별적으로 원인 제공하는 것이 더 큰 상황에서 차이를 만들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But of course it would make a difference if only we acted collectively.
하지만 우리가 집단으로 행동하기만 하면 당연히 차이가 생겨날 것이다.
In the same way, says legal scholar Ilya Somin, “Widespread public ignorance is a type of pollution that infects the political system.”
같은 방식으로 법학자 Ilya Somin은 “광범위한 대중의 무지는 정치 체제를 감염시키는 일종의 오염이다.”라고 말한다.
22 목표 달성에 대한 과도한 압박이 초래하는 조직 위기
Ambitious business development goals impose high pressure on all employees to demonstrate personal achievements and improvement.
야심적인 비즈니스 개발 목표는 모든 직원에게 개인적인 성과와 향상을 입증해야 한다는 높은 압박을 가한다.
Companies often create a climate in which goals must be achieved at all costs.
회사는 흔히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목표가 달성되어야 한다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Managers will not tolerate subordinates bringing them bad news, demanding to see only successful results.
관리자는 부하 직원이 나쁜 소식을 전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고, 성공적인 결과만 보기를 요구할 것이다.
In some organizations, a state of total fear of the management develops: it becomes almost impossible to admit any professional mistake without risking sanctions or punishment, including dismissal.
일부 조직에서는 경영진을 완전히 두려워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해고를 포함하여 제재나 처벌을 감수하지 않고는 어떠한 업무상의 실수도 인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진다.
Some employees cannot function well under this pressure and, to preserve the impression of success, they falsify their achievements and embellish reality.
이러한 압박 속에서 일부 직원은 제대로 역할을 다할 수 없고, 성공의 인상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성과를 위조하고 현실을 윤색하기도 한다.
Hearing nothing but good news from their cowed employees, executives are under the illusion that everything is going well.
주눅이 든 직원들로부터 오직 좋은 소식만 듣는 경영진은 모든 것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착각에 빠진다.
When a crisis finally comes, it turns out that the real situation was being concealed to fit in with the impossible standards promoted in an organization and the demand to achieve success at any price.
결국 위기가 닥칠 때, 조직에서 독려하는 불가능한 기준과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성공을 달성해야 한다는 요구에 맞추기 위해 실제 상황이 은폐되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23 산술 연산의 어려움이 가진 보편성
AMBITION, DISTRACTION, UGLIFICATION, and DERISION.
‘야망’, ‘주의 산만’, ‘추하게 함’, 그리고 ‘조롱’.
These are the playful names Charles Lutwidge Dodgson, a mathematics professor better known to us as Lewis Carroll, gave to the four arithmetical operations.
이것들은 우리에게는 Lewis Carroll로 더 잘 알려진 수학 교수 Charles Lutwidge Dodgson이 네 가지 산술 연산에 붙인 장난기 어린 이름이다.
Obviously, Carroll did not hold too many illusions about his pupils’ calculation abilities. And perhaps he was right.
분명히 Carroll은 자기 제자들의 계산 능력에 대해 너무 많은 환상을 품고 있지 않았다.
While children easily acquire number syntax, learning to calculate can be a challenge.
그리고 아마도 그는 옳았을 것이다.
Children, and even adults, often err in the most elementary of calculations.
어린이들이 숫자 체계는 쉽게 습득하지만, 계산법을 배우기는 어려울 수 있다.
Who can say that they never get 7 × 9 or 8 × 7 wrong?
어린이, 그리고 성인조차도 가장 기초적인 계산에서 실수하는 경우가 많다.
How many of us can mentally compute 113 – 37 or 10 – 24 in less than two seconds?
7×9 또는 8×7을 절대 틀리지 않는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Calculation errors are so widespread that far from stigmatizing ignorance, they attract sympathy when they are admitted publicly (“I’ve always been hopeless at math!”).
113–37 또는 10–24를 2초 이내에 암산할 수 있는 사람이 우리 중 몇 명이나 될까?
Many of us can almost identify with Alice’s difficulty as she attempts to calculate while traveling through Wonderland:
계산 실수는 매우 만연한 것이어서, 무지의 낙인을 찍기는커녕 그것들은 공개적으로 인정될 때 동정을 불러일으킨다(“저는 항상 수학에 가망이 없었어요!”).
“Let me see: four times five is twelve, and four times six is thirteen, and four times seven is — oh dear! I shall never get to twenty at that rate!”
이상한 나라를 여행하던 중에 앨리스가 계산을 시도하며 “자, 어디 보자, 4 곱하기 5는 12고, 4 곱하기 6은 13, 4 곱하기 7은, 오, 이런! 이런 식으론 절대 (올바른 계산으로) 20을 구하는 데까지 이르지 못하겠어!”라고 말할 때, 우리 중 다수가 그녀의 어려움에 거의 공감할 수 있다.
24 고고학의 연구 대상
Because archaeologists study material culture, it is easy to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physical objects versus social aspects of culture.
고고학자들은 물질문화를 연구하기 때문에 문화의 사회적 측면에 비해 물리적 대상의 중요성을 과도하게 강조하기 쉽다.
Culture and worldview, however, are far removed from a list of material-culture traits.
하지만 문화와 세계관은 물질적 문화 특성의 목록과 동떨어져 있다.
Such traits can be symptomatic of different kinds of society, but they can never be definitive: only social phenomena can define social formations.
이러한 특성은 서로 다른 종류의 사회를 나타낼 수 있지만, 결코 그것은 결정적일 수는 없는데, 오직 사회 현상만이 사회적 형성물을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Many archaeologists are wary of studying social phenomena because they are not directly observable in the archaeological record.
많은 고고학자가 고고학적 기록에서 사회 현상을 직접 관찰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연구하는 것을 경계한다.
It is nevertheless possible to study social aspects of culture in the same way as natural scientists study unobservables, that is, through their material effects.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 과학자가 관찰할 수 없는 현상을 연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즉 그것의 물질적 효과를 통해 문화의 사회적 측면을 연구하는 것은 가능하다.
Indeed, this is what archaeologists really do.
사실 이것이 고고학자가 실제로 하는 일이다.
We do not excavate technology, subsistence, or adaption, for example.
예를 들어, 우리는 기술, 생존 수단 또는 적응을 발굴하지 않는다.
These concepts are no less abstract than worldview, and all are derived from theory.
이러한 개념들은 세계관만큼이나 추상적이며, 모두 이론에서 나온다.
Even though we cannot observe prehistoric worldview directly, it was no less real: it guided technology, subsistence, and adaptive behavior and in many cases caused it.
비록 우리가 선사 시대의 세계관을 직접 관찰할 수는 없지만, 그것은 진정 실재했으며, 기술, 생존 수단, 적응 행동을 이끌었고 많은 경우에는 그것을 초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