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7강 빈칸 추론 (1): 단어, 짧은 어구
기출 디지털 보존의 특징
When trying to establish what is meant by digital preservation, the first question that must be addressed is: what are you actually trying to preserve?
디지털 보존이 의미하는 바를 정립하려고 할 때 가장 먼저 다루어야 할 질문은 ‘실제로 무엇을 보존하려고 하고 있는가?’이다.
This is clear in the analog environment where the information content is inextricably fixed to the physical medium.
이는 정보 콘텐츠가 물리적 매체에 풀 수 없게 고정된 아날로그 환경에서 분명하다.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medium is not part of the message.
디지털 환경에서 매체는 메시지의 일부가 아니다.
A bit stream looks the same to a computer regardless of the media it is read from.
비트 스트림은 그것이 읽히는 매체와 관계없이 컴퓨터에서 동일하게 보인다.
A physical carrier is necessary, but as long as the source media can be read, bit-perfect copies can be made cheaply and easily on other devices, making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carrier of diminishing importance.
물리적 이동 장치가 필요하지만, 원본 매체를 읽을 수 있는 한, 다른 기기에서 비트 단위의 완벽한 복사본을 저렴하고 쉽게 만들 수 있어서 원본 이동 장치의 보존은 중요성이 줄어들었다.
As the physical media that carry digital information are quite delicate relative to most analog media, it is expected that digital information will necessarily need to be migrated from one physical carrier to another as part of the ongoing preservation process.
디지털 정보를 담고 있는 물리적 매체는 대부분의 아날로그 매체에 비해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보존 과정의 일환으로 디지털 정보를 하나의 물리적 이동 장치에서 또 다른 이동 장치로 반드시 옮겨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t is not the media itself but the information on the media that needs to be preserved.
정말 보존될 필요가 있는 것은 매체 자체가 아니라 매체에 담긴 정보이다.
1 집단의식 행동을 통해 얻는 소속감
Most collective rituals bond participants to each other and inspire loyalty to the group.
대부분의 집단의식은 참가자들을 서로에게 결속시키고 집단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한다.
Examples are countless, particularly from the ethnographic record but also from historical accounts.
특히 민족지학적 기록에서이지만 또한 역사적 기록에서도 예는 무수하다.
People participate in collective rituals in part because they wish to fit in with a group, and even very young children join in with ritualistic behaviors more eagerly when they are fearful of social exclusion.
사람들은 부분적으로는 집단과 어울리고 싶어서 집단의식에 참여하고, 심지어 매우 어린 아이들도 사회적 배제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때 더 열심히 의식적 행동에 참여한다.
But there are also certain elements of collective ritual that can further strengthen a sense of belonging.
그러나 또한 소속감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집단의식의 특정 요소도 있다.
One is social synchrony — moving or chanting in time with others creates an illusion of being part of something much larger and stronger.
하나는 사회적 동기화인데, 다른 사람들과 시간에 맞춰 함께 움직이거나 노래를 부르면 훨씬 더 크고 더 강력한 무언가의 일부라는 착각이 생긴다.
Another is emotional arousal which can help to create personally transformative shared experiences and produce some of the strongest forms of social cohesion known to humankind.
또 다른 하나는 개인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는 공유된 경험을 만들어 내고 인류에게 알려진 가장 강력한 형태의 사회적 결속의 일부를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서적 각성이다.
Rituals that emphasize common ancestry, such as the funeral rituals of descent groups, can also create a powerful sense of shared essence.
혈통 집단의 장례 의식과 같이 공통의 조상을 강조하는 의식도 공유된 본질이라는 강력한 느낌을 만들어 낼 수 있다.
And, finally, highly repetitive rituals may help to establish standardized identity markers and unify large populations.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도로 반복적인 의식은 표준화된 정체성 표지를 설정하고 대규모 인구를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2 어머니와 아기의 욕구 충족에서의 상호성
In a sense, we cannot speak about the infant’s needs without considering those of the mother.
어떤 의미에서, 우리는 어머니의 욕구를 고려하지 않고 유아의 욕구에 대해 말할 수는 없다.
“There is no such thing as a baby,” the British pediatrician D. W. Winnicott once said, explaining,
영국의 소아과 의사 D. W. Winnicott은 “한 명의 아기 같은 그런 존재는 없습니다.”라고 일찍이 말하면서,
“if you show me a baby, you certainly show me someone else who is caring for the baby …
“만약 여러분이 저에게 아기를 보여 주면, 여러분은 분명 그 아기를 돌보고 있는 다른 누군가를 함께 보여 주는 것입니다…
One sees a ‘nursing couple’ … The unit is not the individual; the unit is the individual-environment set-up.”
우리는 ‘양육하는 한 쌍’을 보게 됩니다… 그 단위는 개인이 아니라, 개인과 주변 환경으로 이루어진 구성입니다.”라고 설명했다.
Or, in Ashley Montagu’s words, “When a baby is born, a mother is born.
혹은 Ashley Montagu의 말처럼, “아기가 태어날 때 어머니도 태어납니다.
There is considerable evidence that at this time, and for months thereafter, her needs for contact exceed those of the infant.”
이때, 그리고 그 이후 몇 달 동안 어머니의 접촉 욕구가 유아의 접촉 욕구를 넘어선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습니다.” 역시 잘된 일이다.
Good thing, too: Were there not built-in physiological and emotional incentives for the ones doing the caregiving, parenthood would be even more of a slog than it already is.
돌봄을 하는 사람에게 본래부터 갖춰진 생리학적, 정서적 보상물이 없다면, 부모 역할은 지금 이미 그런 것보다 훨씬 더 힘든 고투가 될 것이다.
Fewer babies would have their survival needs met if fulfilling those needs were not rewarding for parents.
아기의 생존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부모에게 보람을 주지 않는다면, 그 욕구가 충족되는 아기의 수는 더 적을 것이다.
With its usual brilliance, our interpersonal-biological makeup dictates that our requirements be mutual.
우리의 대인 관계적·생물학적 특성은 통상적인 탁월함을 가지고 우리의 요구가 상호적이 될 것을 요구한다.
3 문화적 겸손의 의미
Cultural humility acknowledges one’s inability to know the full story.
‘문화적 겸손’은 전체 이야기를 다 알 수 없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The term and concept were developed by doctors Melanie Tervalon and Jann Murray-Garcia in order to address health disparities and institutional inequities in medicine and are now used across industries.
그 용어와 개념은 Melanie Tervalon 박사와 Jann Murray-Garcia 박사에 의해 의료 분야의 건강 격차와 제도적 불평등을 중점적으로 다루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현재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Unlike cultural competency, which assumes that learning is finite and masterable, cultural humility recognizes the ongoing nature of this work.
학습이 유한하고 숙달 가능하다고 가정하는 문화적 역량과 달리 문화적 겸손은 이 작업의 계속 진행 중인 특성을 인정한다.
While one can never fully understand someone else, they can bring curiosity and a commitment to critical self-reflection and ongoing learning to each interaction.
다른 사람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호기심과 비판적 자기 성찰 및 계속 진행 중인 학습에 대한 전념을 각각의 상호 작용으로 이끌어 올 수 있다.
It is about humbly recognizing that there are things one doesn’t know and is likely never going to understand about a culture that is not their own, and having this knowledge guide one’s thinking, behavior, and actions.
그것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문화가 아닌 문화에 대해 우리가 알지 못하고 앞으로도 결코 이해할 수 없을 것 같은 것이 있다는 것을 겸허히 인정하고, 이러한 지식이 우리의 생각, 행동 및 실행을 이끌어 가도록 하는 것이다.
This practice encourages us to realize our power, privileges, and prejudices, to be willing to acknowledge we don’t have all the answers, and to embrace the complexity and nuance of human dynamics.
이러한 행위는 우리가 자신의 힘, 특권 및 편견을 깨닫고, 모든 답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기꺼이 인정하며, 인간 역학의 복잡성과 미묘한 차이를 포용하도록 장려한다.
4 인간의 인식이 목표 달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
Our actions influence the way we perceive the world, and the way we perceive the world influences both the way we think about the world and our ability to act within it.
우리의 행위는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은 우리가 세상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과 그 안에서 행동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 둘 다에 영향을 미친다.
When athletes and sportspersons are performing well, they seem to perform effortlessly, but when they are performing badly, their actions seem to be so much harder.
운동선수와 체육인이 잘하고 있을 때 그들은 노력하지 않고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이 잘하지 못하고 있을 때 그들의 동작은 훨씬 더 힘들어 보인다.
A soccer player who has just scored perceives the goal to be bigger than it actually is, making it easier for the player to score again, but a player who repeatedly misses the goal after scoring once perceives it to be smaller and finds it harder to score again.
방금 득점한 축구 선수는 골대를 실제보다 더 크게 인식하는데, 이는 그 선수가 다시 득점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지만, 한 번 득점한 후 반복적으로 (슛이) 골대를 빗나간 선수는 골대를 더 작게 인식하고 다시 득점하는 것을 더 어렵게 느낀다.
Thus the greater the perceived effort required to achieve any goal, the harder it will be to achieve.
따라서 어떤 목표든 그것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인식된’ 노력이 더 클수록, 그것을 달성하기가 더 어려울 것이다.
This general rule applies beyond the playing field: a hill seems steeper when we are tired, or hungry, or when we are carrying a heavy backpack, and a journey to an unfamiliar destination seems so much longer.
이 일반적인 규칙은 경기장 너머에도 적용되는데, 우리가 피곤하거나, 혹은 배고플 때, 혹은 우리가 무거운 배낭을 메고 있을 때 언덕은 더 가파른 것처럼 보이고, 낯선 목적지로의 여정은 훨씬 더 긴 것처럼 보인다.
5 건강과 안녕의 문제와 연관이 있는 철학
What goes unnoticed is that philosophy, rightly understood, has an ancient connection to issues of health and wellness.
간과되는 것은 철학이 제대로 이해될 때 건강과 안녕의 문제와 오랜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For in addition to being a process that examines why some people’s ways of thinking about concepts and practices might be more rationally defensible than others (depending on the quality of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m), many early thinkers conceived philosophy as ‘a deliberative life-practice that brings beauty and happiness to its practitioners’.
왜냐하면 (철학이) 개념과 실천에 대한 일부 사람들의 사고방식이 왜 (그것들에 대해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주장의 질에 따라) 다른 사람들보다 더 합리적으로 옹호될 수도 있는지를 탐구하는 과정임과 아울러, 많은 초기 사상가들은 철학을 ‘그것을 실행하는 사람들에게 아름다움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깊이 생각하는 삶의 실천’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Indeed, some of history’s most renowned philosophers (e.g. Socrates) communicated their teachings and beliefs not through their theoretical writings, but through the critically reflective and purposeful conduct of their admirable lives — through modelling inspiring modes of life (and death) in the pursuit of self-knowledge about and for their own and others’ wellbeing.
실제로 역사상 가장 유명한 철학자 중 몇몇(예를 들면 소크라테스)은 이론적 저술을 통해서가 아니라 비판적으로 숙고하고 목적의식을 가진 훌륭한 삶의 행동을 통해, 즉 자신과 타인의 잘 사는 것에 대한, 그리고 그것을 위한 자기 이해를 추구하는 데 영감을 주는 삶(그리고 죽음)의 방식을 본을 보임으로써 가르침과 신념을 전달했다.
Many contemporary philosophers might scorn the concept of philosophy as the lifelong contemplation and practice of ‘artful living’ — of virtuous and healthy living for oneself, for the health and happiness of others, and for society as a whole.
많은 현대 철학자들은 ‘숙련된 삶’, 즉 자신을 위한, 타인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그리고 사회 전체를 위한 덕이 있고 건강하게 사는 삶에 대한 평생의 사색과 실천으로의 철학의 개념을 비웃을지도 모른다.
Yet care for one’s self and others was philosophy’s primary aim for centuries. It remains an admirable one.
하지만 자신과 타인을 돌보는 것은 수 세기 동안 철학의 가장 중요한 목표였다. 그것은 여전히 훌륭한 것(목표)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