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능완성 영어 4강 한줄 해석

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4강 글의 제목

기출 사무실 설계 유행의 반복

There are good reasons why open-office plans have gained currency, but open offices may not be the plan of choice for all times.
개방형 사무실 설계가 유행한 데는 타당한 이유가 있지만, 개방형 사무실이 ‘모든’ 경우에 가장 자주 선택되는 설계는 아닐 수도 있다.
Instead, the right plan seems to be building a culture of change.
대신에, 올바른 설계는 변화의 문화를 구축하는 것인 듯하다.
Overly rigid habits and conventions, no matter how well-considered or well-intentioned, threaten innovation.
아무리 신중하게 고려되거나 선의에서 비롯된 것이라 해도, 지나치게 굳은 관습과 관례는 혁신을 위협한다.
The crucial take-away from analyzing office plans over time is that the answers keep changing.
시간이 지남에 따른 사무실 설계 분석으로부터 얻은 매우 중요한 핵심은 답이 계속 바뀐다는 것이다.
It might seem that there is a straight line of progress, but it’s a myth.
일직선의 진보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근거 없는 믿음이다.
Surveying office spaces from the past eighty years, one can see a cycle that repeats.
지난 80년간의 사무실 공간을 조사하면 반복되는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Comparing the offices of the 1940s with contemporary office spaces shows that they have circled back around to essentially the same style, via a period in the 1980s when partitions and cubicles were more the norm.
1940년대의 사무실과 현대의 사무실 공간을 비교해 보면 칸막이와 작은 칸막이 자리가 더 일반적이었던 1980년대 시기를 거쳐, 본질적으로 동일한 스타일로 크게 한 바퀴 빙 돌아왔음을 알 수 있다.
The technologies and colors may differ, but the 1940s and 2000s plans are alike, right down to the pillars running down the middle.
기술과 색상은 다를 수도 있지만, 1940년대와 2000년대의 설계는 중앙을 따라 늘어선 기둥에 이르기까지 유사하다.

1 배움을 통한 발전의 즐거움

One reason why we are not all sitting in a cold and dark cave right now is that progress makes us happy.
우리가 모두 지금 당장 춥고 어두운 동굴 속에 앉아 있지 않은 한 가지 이유는 진보가 우리를 행복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
Joy often comes from perceiving yourself as moving forward, changing, learning, and evolving.
기쁨은 흔히 자신이 앞으로 나아가고, 변화하고, 배우고, 진화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데서 비롯된다.
Consider research conducted in London by two neuroscientists, Bastien Blain and Robb Rutledge.
두 명의 신경 과학자, Bastien Blain과 Robb Rutledge가 런던에서 수행한 연구를 생각해 보라.
They had volunteers report their feelings every few minutes while playing a new game.
이들은 지원자들에게 새로운 게임을 하는 동안 몇 분마다 자신의 감정을 보고하게 했다.
They found that the volunteers were happiest not when they gained the highest amount of money in the game (although that did make them happy too), but when they learned about the game.
그 결과, 이들은 지원자들이 게임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벌 때가 아니라 (비록 그것도 그들을 또한 정말 행복하게 해 주었지만) 게임에 대해 배울 때 가장 행복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Learning contributed more to happiness than money.
배움이 돈보다 행복에 더 많이 기여한 것이다.
You habituate to things — a fancy car, a large-screen TV — but you don’t habituate to the joy of learning because learning by definition is change.
여러분은 멋진 자동차, 대형 화면의 TV와 같은 물건에는 익숙해지지만, 배움의 기쁨에는 익숙해지지 않는데, 왜냐하면 배움은 당연히 변화이기 때문이다.
One cannot habituate to change.
변화에는 익숙해질 수 없다.
In Oscar Wilde’s Importance of Being Earnest, Ernest Worthing tells his love interest, Gwendolen Fairfax, that she is perfect.
Oscar Wilde의 Importance of Being Earnest에서 Ernest Worthing은 자신의 애정 상대인 Gwendolen Fairfax에게 그녀가 완벽하다고 말한다.
She replies, “Oh! I hope I am not that. It would leave no room for developments, and I intend to develop in many directions.”
그녀는 “오! 저는 제가 그렇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것은 발전의 여지를 남기지 않을 테고, 저는 여러 방면으로 발전하고자 합니다.”라고 답한다.

2 초기 인류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Over the course of human history, researchers have discovered that humans’ early ancestors were not able to use verbal language.
인류 역사에 걸쳐서 연구자들은 인류의 초기 조상들이 음성 언어를 사용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발견해 왔다.
In fact, verbal language likely began with Homo sapiens, although some scholars have noted that bone structures in Neanderthals may have allowed for complex sound to be vocalized.
사실 일부 학자들은 네안데르탈인의 뼈 구조가 복잡한 소리를 발성할 수 있도록 했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지만, 음성 언어는 아마 ‘호모 사피엔스’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However, primates of all sorts are able to live in community and share the division of labor, including caring for children and sharing food that has been hunted or gathered.
그러나 모든 종류의 영장류는 공동체에서 생활하고, 아이들을 돌보는 것과 사냥하거나 채집한 음식을 나누는 것을 포함하는 일을 함께 분담할 수 있다.
How did such interactions occur if verbal language wasn’t a part of the lives of our early ancestors?
음성 언어가 우리 초기 조상들의 삶의 일부가 아니었다면 그러한 상호 작용이 어떻게 일어났을까?
Nonverbal communication like grunts or slight vocalizations was likely the early auditory form of communication, and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may have indicated important things like danger or social position or even the presence of spoiled meat.
그르렁거리는 소리나 미미한 발성과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아마 초기의 청각 형태의 의사소통이었을 것이며, 표정이나 몸짓은 위험이나 사회적 지위, 혹은 심지어 상한 고기의 존재와 같은 중요한 것을 나타냈을 수도 있다.
The idea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came first over the course of our species’ evolution is known as phylogenetic primacy, highlighting that our nonhuman ancestors had likely figured out social signaling before humans existed in our current form.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우리 종의 진화 과정 동안에 최초로 나타났다는 생각은 계통 발생적 수위(首位)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인류가 현재 형태로 존재하기 전에 인간이 아닌 우리 조상이 아마 사회적 신호를 파악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3 손실을 회피하려는 인간의 본성

Why are we so sensitive to negative information and criticism?
우리는 왜 부정적인 정보와 비판에 그렇게 민감할까?
Well, it seems to have offered a survival advantage for early humans, when the threat of rejection from the tribe could mean death.
음, 그것이 초기 인간들에게 생존의 이점을 제공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때는 부족으로부터의 배제라는 위협이 죽음을 의미할 수도 있었다.
This left us disproportionately sensitive to threats, even the merely interpersonal threat of looking bad in the eyes of others.
이로 인해 우리는 위협, 심지어 타인의 눈에 나쁘게 보인다는 한낱 대인 관계의 위협에도 지나치게 민감해졌다.
Today, many of the interpersonal threats we detect in our day-to-day lives are not truly harmful, but we’re hardwired to react, even overreact, to them.
오늘날, 우리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감지하는 대인 관계 위협 중 많은 것은 실제로 해롭지 않지만, 우리는 그것들에 반응하도록, 심지어 과잉 반응하도록 타고났다.
We also suffer from what celebrated psychologist Daniel Kahneman called “loss aversion” — a tendency to overweigh losses (of money, possessions, or even social status) compared to equivalent wins.
우리는 또한 유명한 심리학자 Daniel Kahneman이 ‘손실 회피’라고 부르는 것에 시달리는데, 이는 동등한 이익에 비해 (돈, 소유물, 혹은 심지어 사회적 지위의) 손실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성향이다.
In one study, participants were given a coffee mug and later offered the chance to sell it.
한 연구에서, 참가자들에게 커피 머그잔을 주고 나중에 그것을 팔 기회를 제공했다.
To part with their mug, participants had to be given twice as much in compensation as the amount they were willing to pay to acquire the mug. Irrational, yes.
자신의 머그잔을 포기하기 위해서는, 참가자에게 그 머그잔을 획득하기 위해 기꺼이 낼 금액의 두 배만큼이 보상으로 주어져야 했다. 그렇다, 비이성적이다.
And profoundly human. We don’t want to lose; we don’t want to fail.
그리고 극도로 인간적이다. 우리는 잃고 싶지 않고, 우리는 실패하고 싶지 않다.
The pain of failing, even in simple activities, is more emotionally salient than the pleasure of succeeding.
실패의 고통은, 심지어 단순한 활동에서도, 성공의 기쁨보다 더 감정적으로 두드러진다.

4 생존을 위한 아름다움의 인식

Discovering what happens in the brain when we are captivated by beautiful objects won’t completely solve the question of why the objects are beautiful.
우리가 아름다운 대상에 사로잡힐 때 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으로는 그 대상이 왜 아름다운지에 대한 의문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않는다.
To address the why question, we turn to evolutionary psychology.
‘왜’라는 질문을 다루기 위해, 우리는 진화 심리학에 의지한다.
The basic idea of evolutionary psychology is that our mental abilities, like our physical traits, evolved if they enhanced our survival.
진화 심리학의 기본 개념은 우리의 신체적 특성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정신적 능력도 그것이 우리의 생존을 강화하는 경우에 진화했다는 것이다.
Our ancestors from a distant past adapted certain behavioral traits to survive tough environments and to choose partners that would give them healthy children.
먼 과거의 우리 조상들은 거친 환경에서 살아남고 건강한 자녀를 자신에게 낳아 줄 배우자를 선택하기 위해 특정한 행동 특성을 적응시켰다.
When it comes to beauty in people, certain physical features of faces and bodies advertised a person’s health.
사람의 아름다움에 관해서 말하자면, 얼굴과 몸의 특정한 신체적 특징이 그 사람의 건강을 나타냈다.
These features, which were important in choosing a mate tens of thousands of years ago, are what we now regard as beautiful.
이러한 특징들은 수만 년 전에 짝을 선택하는 데 중요했는데, 현재 우리가 아름답다고 여기는 것들이다.
When it comes to beauty in scenes, some places were more inviting to our hunter-gatherer ancestors wandering around in the distant past.
풍경의 아름다움에 관해서 말하자면, 몇몇 장소는 먼 과거에 떠돌아다니던 우리의 수렵 채집인 조상들에게 더 매력적이었다.
These scenes looked both safe and rich in resources that would help small bands survive a life that was tough, brutish, and a long time ago.
이러한 풍경은 안전해 보였고, 작은 무리가 고단하고 야만적이며 오래전에 있었던 삶에서 살아남는 데 도움이 될 자원도 풍부해 보였다.

5 의도성 없이 형성된 습관

Obviously, not all habits constitute knowledge because not all habits are acquired with predictive, regulatory, or manipulative intent.
분명히, 모든 습관이 지식을 구성하지는 않는데, 이는 모든 습관이 예측, 규제, 혹은 조작의 의도를 가지고 습득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In fact, many habits emerge from the casual reinforcement of random associations that are not part of a learning plan.
실제로 많은 습관은 학습 계획의 일부가 아닌 무작위적인 연관이 우연히 강화됨으로써 생겨난다.
Although agents may not be entirely aware of all the associations between habitual actions and their context of execution, a minimal layer of pragmatic expectations is always attached to habitual behavior.
행위자가 습관적 행동과 그것의 실행 상황 간의 모든 연관성을 완전히 인식하지는 못할 수도 있지만, 습관적 행동에는 항상 최소한의 실용적 기대치가 수반된다.
There is no assurance that habits developed unintentionally are advantageous for agents because there is no guarantee that such habits would effectively carry out expert tasks.
의도치 않게 생긴 습관이 행위자에게 유리하다고 확언할 수는 없는데, 그러한 습관이 전문적인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For example, vices are blind, harmful, and largely compulsive behaviors, often called “bad habits.”
예를 들어, 나쁜 버릇은 맹목적이고 해로우며, 대개 강박적인 행동인데, 흔히 ‘나쁜 습관’이라고 불린다.
In sport, we find kinematic and biomechanical inefficiencies, acquired early in development, that become ingrained in such fashion, for example, cyclists who significantly sway their shoulders trying to increase pedalling power rather than minimizing unnecessary upper body movements.
스포츠에서는, 발달 초기 단계에서 습득되어, 그러한 방식으로 깊이 몸에 배게 된 운동학 및 생체 역학의 비효율성이 발견되는데, 예컨대 상체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기보다는 페달을 밟는 힘을 증가시키려고 애쓰면서 어깨를 상당히 많이 흔드는 사이클 선수가 있다.
Habits do not necessarily support goal-oriented tasks nor are all habits learned for a specific purpose; hence it is correct to state that not all sensorimotor habits convey practical knowledge.
습관이 반드시 목표 지향적인 과제를 지원하는 것도 아니고, 모든 습관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학습되는 것도 아니며, 따라서 모든 감각 운동 습관이 실용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2026 수능완성 영어 4강 변형

2026 수능완성 영어 11강 변형

2026 수특 영독연 12강 변형문제 (7-12번)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