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6학년도 수능완성 영어 1강
1강 필자의 주장 글의 요지
기출 인간의 문화적 도구인 도덕성
Even though there is good reason to consider a dog a sentient being capable of making choices and plans — so that we might suppose ‘it could have conceived of acting otherwise’ — we’re unlikely to think it is wicked and immoral for attacking a child.
비록 개를 선택하고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지각력이 있는 존재로 간주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어서, ‘그것(개)이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라고 추정할 수도 있다 하더라도, 우리는 (개가) 아이를 공격했다고 하여 그것이 사악하고 부도덕하다고 생각할 것 같지는 않다.
Moral responsibility is not some universal concept like entropy or temperature — something that applies equally, and can be measured similarly, everywhere in the cosmos.
도덕적 책임은 엔트로피나 온도 같은 어떤 보편적인 개념, 즉 우주 어디에서나 똑같이 적용되고 비슷하게 측정될 수 있는 어떤 것이 아니다.
It is a notion developed specifically for human use, no more or less than languages are.
그것은 인간이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개념으로서, 언어가 그런 것과 마찬가지이다.
While sentience and volition are aspects of mind and agency, morals are cultural tools developed to influence social behaviour: to cultivate the desirable and discourage the harmful.
지각력과 의지가 마음 및 주체성의 측면인 반면, 도덕은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즉 바람직한 것을 함양하고 해로운 것을 막기 위해 개발된 문화적 도구이다.
They are learnt, not given at birth. It’s possible, indeed likely, that we are born with a predisposition to cooperate with others — but only within human society do we come to understand this as moral behaviour.
그것은 학습되는 것이지, 태어날 때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과 협력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은 가능성이 있고, 정말로 있을 법하지만, 오로지 인간 사회 내에서만 우리는 이것을 ‘도덕적’ 행동으로 이해하게 된다.
1 영화의 장르 관습
Conventions are frequently used stylistic techniques or narrative devices typical of (but not necessarily unique to) particular genre traditions.
관습은 특정 장르 전통의 전형적인(그러나 반드시 고유한 것은 아닌), 자주 사용되는 양식 기법 또는 이야기 장치이다.
Movies make use of many conventions.
영화는 많은 관습을 활용한다.
Bits of dialogue, musical figures, physical action, and patterns of mise-en-scène are all aspects of movies that, repeated from film to film, become established as conventions.
대사의 일부, 음형, 신체 동작, 그리고 미장센의 패턴은 모두 영화마다 반복되면서 관습으로 자리 잡게 되는 영화의 측면이다.
In a film musical, for example, narrative progression usually halts for the production numbers as characters break into song and dance accompanied by music that seems suddenly to materialize from nowhere.
예를 들어 뮤지컬 영화에서 등장인물들이 별안간 난데없이 불쑥 나타나는 듯 보이는 음악과 함께 노래와 춤을 갑자기 시작할 때, 출연진이 함께 노래하고 춤추는 장면을 위해 이야기 진행이 보통 멈춘다.
Where we might find such moments out of place in, say, a gangster film or a horror film, we allow for this artifice in film musicals.
예컨대 갱스터 영화나 공포 영화에서는 그런 순간이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느껴질 수도 있는 반면, 뮤지컬 영화에서 우리는 이러한 기교를 허용한다.
According to Bordwell, Staiger, and Thompson, each genre creates its own rules, and the spectator judges any given element in the light of its appropriateness to genre conventions.
Bordwell과 Staiger 그리고 Thompson에 따르면 장르마다 그 자체의 규칙을 만들고 관객은 어떤 특정한 요소든 장르 관습에 대한 그것의 적합성에 비추어 판단한다.
In other words, conventions function as an implied agreement between makers and consumers to expect certain techniques and devices in certain contexts.
다시 말해, 관습은 특정 맥락에서 특정 기법과 장치를 기대하기로 하는 제작자와 소비자 간의 묵시적 합의로 기능한다.
Consumers, thus, are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genres over time.
따라서 소비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르의 발전에 결정적이다.
2 자기 연민의 필요성
Can you tenderly look at the landscape of your life and lovingly explore its pits and grooves, its highs and lows, without releasing the harsh, hateful, and truly mean voice that lives inside your head?
여러분은 머릿속에 계속 존재하는 거칠고, 증오스럽고, 참으로 비열한 목소리를 표출하지 않고 자기 삶의 풍경을 온화하게 바라보며 그것의 패인 곳과 굴곡진 곳, 즉 그것의 고점과 저점을 사랑스럽게 탐색할 수 있는가?
You know that voice all too well.
여러분은 그 목소리를 너무 잘 알고 있다.
It’s the tape that plays over and over that you barely notice but that rules your universe.
그것은 여러분이 거의 눈치채지 못하지만 여러분의 세계를 지배하는, 반복 재생되는 테이프이다.
You are too this, too that, not enough this, not enough that.
여러분은 너무 이렇고, 너무 저렇고, 충분히 이렇지 못하고, 충분히 저렇지 못하다.
Can you quiet that voice and find the sweet, loving part of you that has been there for all of your friends, holding the light in the midst of their most devastating failures and worst mistakes?
여러분은 그 목소리를 조용히 시키고, 모든 친구들이 저지른 가장 파괴적인 실패와 최악의 실수 한가운데서 빛을 비추어 주며, 그들을 위해 그 자리에 있었던 여러분의 상냥하고 사랑스러운 부분을 찾을 수 있는가?
Can you just this once be that for yourself?
이번 한 번만이라도 자신을 위해 ‘그렇게’ 될 수 있는가?
The process of reinventing yourself and revisioning your life requires not only courage but a deep sense of compassion we don’t ordinarily shine on ourselves.
자신을 재창조하고 삶을 수정하는 과정에는 용기뿐만 아니라 평소에는 우리가 스스로에게 비추지 않는 깊은 연민의 느낌도 필요하다.
It’s brave to look at what you’ve created in every area of your life, and the compassion keeps you from wanting to resist the painful parts.
삶의 모든 분야에서 여러분이 만들어 낸 것을 바라보는 것은 용기 있는 일이며, 그 연민은 그 고통스러운 부분에 저항하고 싶어 하지 않게 한다.
It’s the reckoning that launches the dream.
그 꿈을 시작하게 하는 것은 바로 그 성찰이다.
And it’s a necessary part of the process that can’t be shortchanged.
그리고 그것은 그 과정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3 성공과 행복에 관한 그릇된 인식
If success and happiness were more aligned with what you do than who you are being, then it follows that the more work you do and the faster you do it, the more ‘success’ you will achieve and the faster you will accomplish it.
성공과 행복이 현재 어떤 사람으로 존재하고 있는가보다 무엇을 하는가에 더 많이 맞추어져 있다면, 그러면 더 많은 일을 하고 그것을 더 빨리 할수록 더 많은 ‘성공’을 이루고 그것을 더 빨리 성취하리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But that simply isn’t what happens.
하지만 그런 일은 정말로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Burnout, stress, anxiety, and mental health issues are worse in Western society than previous decades, not better.
극도의 피로, 스트레스, 불안, 그리고 정신 건강 문제는 서구 사회에서 지난 수십 년 전보다 더 나빠져 있으며, 더 좋지 않다.
Despite advances in technology, despite how hard we work,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hours and overtime we are doing, there is ample research to show that our collective sense of wellbeing is diminishing, not increasing.
기술이 발전하고, 우리가 그토록 열심히 일하고, 우리가 하고 있는 늘어나는 근무 시간과 초과 근무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집단적 행복감은 감소하고 있지 증가하고 있지 않음을 보여 주는 많은 연구가 있다.
The world is not a happy place despite all our efforts to the contrary.
정반대되는 우리의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행복한 곳이 아니다.
To follow society’s mantra of “Do more to be more!”, then, is no different from following the words of false prophets: you risk submitting yourself to the power of others and enslaving yourself to their whims and desires.
따라서 ‘더 많은 것이 되려면 더 많은 것을 하라!’는 사회의 주문을 따르는 것은, 거짓 예언자의 말을 따르는 것과 전혀 다르지 않아, 여러분이 타인의 힘에 굴복하고, 그들의 변덕과 욕망에 자신을 노예로 만드는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다.
Your life is no longer your own.
여러분의 삶은 더 이상 여러분 자신의 것이 아니다.
4 자신의 생각과 다른 관점의 수용
Just because you have a plan doesn’t mean that you can always stick to it.
여러분에게 계획이 있다고 해서 항상 그것을 고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Nevertheless, you still need to have one!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은 여전히 계획을 가질 필요가 있다!
You’ll be talking with real people who don’t necessarily have the same perspective as you.
여러분은 반드시 여러분과 동일한 관점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 현실의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게 될 것이다.
They will have their own agendas, questions that are off-the-wall to you (but fascinating to them), unanticipated confusions, and various personal concerns.
그들은 자신들만의 의제, 여러분에게는 엉뚱한 (하지만 자신들에게는 매력적인) 질문, 예기치 않은 혼란, 다양한 개인적인 관심사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They will have their own funds of knowledge.
그들은 자신들만의 지식의 체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And it’s important that you listen for all of these things and respond to them in a genuine way.
그리고 여러분은 이 모든 것을 들으려고 귀를 기울이고 진심 어린 방식으로 그것에 반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You don’t want your activity to be a performance where the public’s contributions are treated like some random humming that ought to be ignored;
여러분은 자신의 활동이 대중의 의견 제시가 무시되어야 할 하잘것없는 어떤 콧노래처럼 취급되는 행위가 되기를 원치 않는다.
these contributions are critical to the conversation too, and you will need to let your conversational partners help steer it.
이러한 의견 제시는 대화에도 매우 중요하며, 대화 상대가 그것을 이끌어 가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할 것이다.
So no matter what your plan was when you started, you will need to be flexible and open to different directions once you’re actually interacting with people.
그래서 시작할 때 여러분의 계획이 무엇이었든지 관계없이, 일단 사람들과 실제로 소통하면, 다양한 방향에 대해 유연하고 열려 있어야 할 것이다.
5 타인의 감정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설 읽기
Fiction not only satiates theory of mind but also instructs it.
소설은 마음 이론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가르치기도 한다.
People who read more fiction exhibit enhanced social reasoning, from identifying others’ emotions, to adopting their perspective, to empathizing with their situation.
소설을 더 많이 읽는 사람은 타인의 감정을 알아내는 것에서, 그들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그들의 상황에 공감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향상된 사회적 추론을 보여 준다.
Some of the most compelling evidence for this relationship comes from a test called “Reading the Mind in the Eyes.”
이 관계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증거 중 일부는 ‘눈을 통해 마음 읽기’라고 불리는 검사에서 나온다.
Determining what people are thinking just by looking at their eyes can be highly challenging.
사람들의 눈만 보고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아내기는 매우 어려울 수 있다.
It’s not too difficult to tell whether they are happy or sad, but could you tell if they were suspicious or indecisive?
그들이 행복한지 혹은 슬픈지 구별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지만, 그들이 의혹을 품었는지 혹은 우유부단한지 구별할 수 있겠는가?
Accusing or irritated?
비난하는 것인지 혹은 짜증이 난 것인지는 (구별할 수 있겠는가)?
Such differences are detectable, but not everyone is skilled at detecting them.
그러한 차이는 감지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이 그것을 감지하는 데 능숙한 것은 아니다.
People who read a lot of fiction turn out to be more skilled.
소설을 많이 읽는 사람들이 더 능숙한 것으로 밝혀졌다.
They can distinguish romantic signals from gratitude or caution from boredom just from the eyes.
그들은 눈만 보고도 낭만적인 신호와 감사를 혹은 신중함과 지루함을 구별할 수 있다.
Contemplating emotions in fiction appears to improve the detection of these emotions in real life, even though we never see anyone’s eyes when reading.
소설 속의 감정을 숙고하는 것이 실생활에서 이러한 감정의 탐지를 향상시키는 것처럼 보이는데, 책을 읽을 때 누구의 눈이든 결코 보지 않는데도 그렇다.